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mage and Perception of The Engineering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 분석

  • Received : 2014.12.26
  • Accepted : 2015.02.16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mage and perception of the engineeri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ve.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of 182 students who are freshman or sophomore in science high schools. First, we analyzed the image of the engineering and science based on the survey. Second,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engineering and the need for engineering education. Third, we analyzed the attitude toward the engine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We found that they perceived engineering positively as much as that they gave an affirmative answers to the most of questions about engineering and field of engineering. Even though engineering careers and fields of career are very important particularly for gifted students, they have not only lack of recognition and negative image of engineering but also a misconception. It seems to be due to the lack of opportunities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addition, gifted student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level, future career group. In conclusion,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engineering for them, the image and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engineering gifted students have were examined to be very lack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 학생들이 갖고 있는 공학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과학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182명의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과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비교분석하고, 공학 및 공학분야에 대한 인식과 공학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공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영역과 문항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은 공학에 대해 보통 이상 정도의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높지는 않았다. 특히, 과학 영재 학생들은 과학 기술 분야에 대한 흥미와 지식을 갖고 있는 학생들로 진로 및 직업에서도 대부분이 과학 기술 분야를 선택하게 되는 것에 비해 공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인식이 많이 부족하였다. 공학에 대한 체험과 교육 기회의 제한으로 인해 공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다양한 부정적인 이미지 및 인식과 오개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장래희망 직업군별 집단에 따라 공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함께 있었다. 공학의 중요성에 비해 과학 영재 학생들은 공학에 대한 인식, 이미지, 태도 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교육과학기술부.
  2. 김기수, 이창훈 (2006). 공학도를 위한 창의 공학 설계 입문. 서울: 충남대학교 출판부.
  3. 김기수, 이창훈 (2010). 의미분별법에 의한 공업계 고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5(2), 25-42.
  4. 김영민 (2012). 공학전문가가 인지하는 고등학교 공학 기술 교과 교육 목표와 내용 요소.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5. 김영민, 허혜연, 이창훈, 김기수 (2013a).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136-155.
  6. 김영민, 허혜연, 이창훈, 김기수 (2013b). 초․중등교육에서의 초․중등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16(5), 9-17.
  7. 김종승, 김영민, 김현정, 이창훈, 김기수 (2012). 의미분별법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공학, 기술, 실과'에 대한 이미지 연구. 실과교육연구, 18(4), 23-43.
  8. 김진연 (2014).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9. 매일경제세계지식포럼사무국 (2010). 부의 창조. 메일경제신문사.
  10. 문대영 (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11. 문대영 (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 연구 : STEM통합 접근 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12. 배선아 (2009).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3.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4. 이소이 (2011). STEM 통합 접근의 기술 수업 설계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5. 이신동 (2010).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과의 연계 강화 방안. 한국과학창의재단.
  16. 이창훈 (2007).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7. 이춘식 (2008).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실과교육연구, 14(2), 157-174.
  18. 정진현 (2011). 초등학생 공학기술 학습의 배경요인 조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3), 25-54.
  19. 최유현, 박기문, 류승민, 이정균 (2009). 공학에 대한 태도 측정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168-178.
  20. 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05). 공학인증기준설명서 2005(KEC2005)
  21.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2.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ABET] (1997). Criteria for Accrediting Programs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Author.
  23.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ITEA] (2000/2002/2007).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24. Kelly, T.R. (2008). Using engineering cases in technology education. Technology education, 68(7), 5-9.
  25.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 National Research Council[NAE & NRC] (2009). Engineering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6.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 National Research Council[NAE & NRC] (2010). Standards for K-12 Engineering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7.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8. Quacquarelli Symonds (2014). QS World University $Rankings^{(R)}$ 2014/15. Retrieved November 7, 2014, from http://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
  29. Thompson, B. S. (1998). 창의적 공학설계(1). (서영성, 박문식, 곽문규, 권오붕, 김영진, 김용한 외, 역). 서울: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