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Moschus substitute for Aquilariae Resinatum Lignum or Aucklandiae Radix" of Gongjin-Dan In The Classic Literature.

拱辰丹의 "麝香 代入 沈香 或 木香"에 관한 古典文獻 硏究

  • Lee, Min-Seok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Hoo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oon, Tae-Kwa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Jang-Cheo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Boo-Kyu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5.12.02
  • Accepted : 2015.12.2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eek and provide evidences for the possibilities of substitutional use of Aquilariae Resinatum Lignum and Aucklandiae Radix for Moschus as an ingredient of Gongjin-dan by clar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se herbs in the classic literatures. Methods : We have found out the features of Moschus, Aquilariae Resinatum Lignum and Aucklandiae Radix by searching Qi, Flavor and Effect of each herb in 『Shennongbencaojing』, 『Zhengleibencao』, 『Bencaogangmu』, 『Dongeuibogam』, 『Bencaobeiyao』, 『Euijongsonik』 and 『Bangyakhappyeon』. And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mula of Gongjin-dan and other prescriptions in 『Beijiqianjinyaofang』, 『Shengjizonglu』, 『Shiyidexiaofang』, 『Dongeuibogam』, 『Euijongsonik』, 『Euibanghwaltu』 and 『Bangyakhappyeon』. Results : We could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Qi, Flavor and Effect among Moschus, Aquilariae Resinatum Lignum and Aucklandiae Radix. And we could also find the examples of substitutional use of Aquilariae Resinatum Lignum as an ingredient of Gongjin-dan by comparing the formula of Gongjin-dan in the classic literatures as above. And in the other prescription, Aucklandiae Radix was also used instead of Moschus. Conclusions : All of three herbs have pungent in Flavor and warm in Qi. And these herbs also have similar effects in dispersing invading pathogenic factors and smoothening the flow of Qi. And according to 『Bencaobeiyao』, 『Euijongsonik』 and 『Bangyakhappyeon』, Aquilariae Resinatum Lignum and Aucklandiae Radix direct and regulate the Qi in common. The substitutional use of Aquilariae Resinatum Lignum and Aucklandiae Radix instead of Moschus in Gonjin-dan seems to be related to 'the ascent of Water and descent of Fire' effect of Gongjin-dan.

Keywords

Ⅰ.서 론

한의학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는 拱辰丹은 鹿茸, 當歸, 山茱萸, 麝香으로 구성되어 있다. 『東醫寶鑑』 雜病 虛勞編에서는‘但固天元一氣, 使水升火降, 則五臟自和, 百病不生, 此方主之.’라고 하며, 또 肝虛藥으로 ‘治虛勞肝損, 面無血色, 筋緩目暗.’의 효능이 있다고 기록1)하고 있다. 그러나 拱辰丹의 구성약물인 麝香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협약)에 의해 규제되는 약물이며 국내에서 는 麝香노루가 천연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고, 麝香의 수출입시 수출국에서 발급한 CITES 증명서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요건으로 하고 있어 사향노루에서 채취되는 원료의 특성상 향후 수요에 비해 공급물량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현재 임상에서 拱辰丹을 활용하는 경우 최초 출전의 원방뿐만 아니라 다른 약재를 가감한 拱辰丹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高宗 6년(1869년) 黃度淵이 간행한 『醫方活套』上統의 拱辰丹에서“麝香 代入 沈香 或 木香2)”이라 대체 사용법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景岳全書』의 暖肝煎은 當歸, 枸杞子, 茯苓, 小茴香, 肉桂, 烏藥, 沈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沈香 대신 木香도 가능하다(木香亦可)라고 기록되어 있다.3) 이처럼 위 3가지 약재는 어떤 처방에서는 대체 가능한 약재로 언급되고 있어 拱辰丹에서 사향을 대체할 수 있는 약물의 근거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연구로 麝香, 沈香, 木香 각각의 기원 감별, 효능 등에 대한 논문과 사향대체물질을 함유한 우황청심원액 약효에 관한 논문 등은 다수 있었으나 拱辰丹에서 麝香과 沈香 또는 麝香과 木香 또는 沈香과 木香의 대용과 관련한 논문은 없었다. 이에 3가지 약물의 기원, 기미, 효능을 역대 본초 방제 문헌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여 拱辰丹에서 사향을 이들 약물로 대체사용 할 수 있는 근거를 문헌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재료 및 방법

1.연구목적

拱辰丹은 麝香의 희귀성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木香 또는 沈香으로 대체해 활용되어온 바, 이들 본초가 상호 대체가능한 지 또는 대체가능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밝혀 향후 처방의 효율성과 약재의 오남용 방지를 도모하고자 한다.

2.연구방법

拱辰丹이 최초로 기록된『是齊百一選方』이전의 본 초서인『神農本草經』,『證類本草』와 明代의『本草綱目』및『東醫寶鑑』, 『醫宗損益』과 함께, 황도연이 방약합편을 편찬할 때 참고하라고 언급한『本草備要』의 각 본초 관련 문헌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是齊百一選方』 이전 방제서인『千金要方』,『聖濟總錄』과 이후 拱辰丹이 수록된 元代의『世醫得效方』및 황도연이 참고한『東醫寶鑑』및 황도연의 저작인『醫宗損益』,『醫方活套』,『方藥合編』등의 방제 문헌을 중심으로 拱辰丹의 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Ⅲ.결 과

1.본초학적 비교 연구

이들 3가지 약재의 기원은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과 전국한의과대학공동교재 본초학 교과서에서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麝香은 난쟁이사향노루 Moschus berezovskii Flerove, 산사향노루 Moschus chrysogaster Hodgson 또는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Linne´ (사향노루과 Moschidae)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 사슴과(鹿科 : Cervidae)에 속한 동물인 麝香노루(原麝) Moschus moschiferus L. 또는 기타 近緣動物의 성숙한 수컷의 香囊 중에 분비물을 건조한 것4)이다.

沈香은 침향나무 Aquilaria agallocha Roxburgh(팥꽃나무과 Thymeleaceae)의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 팥꽃나무과(瑞香科 : Thymelaceae)에 속한 常綠喬木인 沈香 Aquilaria agallocha Roxb. 의 樹脂가 함유 되어있는 木材의 樹脂가 들어있지 않은 부분은 제거하고 陰乾한 것 4)이다.

木香은 국화과(菊花科 : Compositae)에 속한 多年生草本인 雲木香 Aucklandia lappa Decne. 의 根4)이다.

더불어『神農本草經』5),『證類本草』6),『本草綱目』7),『本草備要』8),『東醫寶鑑』9),『醫宗損益』10),『方藥合編』11) 등 역대 대표 본초․방제 문헌에서 麝香, 沈香, 木香의 氣味, 效能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1) 氣는 溫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沈香의 氣에 대해『東醫寶鑑』에서는 熱이라 표현하고 있다. 味는 辛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苦味에 대하여는 서로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이를‘표1’에 정리하였다

Table 1.Qi and Flavor(氣味)

2) 효능과 주치는, 麝香은 一切惡氣를 주치하는 효능이 있으며, 이는『神農本草經』에는‘主辟惡氣’,『本草綱目』에는‘治一切惡氣’,『東醫寶鑑』에는‘主辟惡氣’라 기술되어 있다. 木香도 治邪氣(『神農本草經』), 治心腹一切氣(『本草綱目』,『東醫寶鑑』)하며, 沈香도 去惡氣(『證類本草』,『本草綱目』)하여 각 본초들 간의 효능 상 공통점이 있다. 또한, 沈香은 麝香에 비해 降氣하는 효능이 두드러지고, 木香은 麝香에 비해 和胃, 散滯氣하는 효능이 두드러지는 차이가 있으며, 沈香, 木香에서는 麝香이 지니고 있는 開竅하는 효능, 風과 관련한 증상들 예를 들어 中風, 驚癎 등을 치료하는 효능은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本草備要』,『醫宗損益』,『方藥合編』에서 麝香은 通關窺하고 沈香, 木香은 앞선 본초서들과 달리 모두 升降諸氣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를 '표2'에 정리하였다.

Table 2.Effect(效能)

2.『方藥合編』의 藥性歌 및 이와 연관된 본초서의 기록

拱辰丹의 “麝香 代入 沈香 或 木香”의 구절은 『醫方活套』에 처음 나타났지만 거기에는 약성에 관한 설명이 없다. 그러므로 麝香, 沈香, 木香의 활용에 관한 黃度淵의 인식을 알기 위해서는 高宗 4년(1867년) 그가 저술한 『醫宗損益』, 그리고 『方藥合編』의 藥性歌를 만들 때에 참조한 『本草備要』에서의 麝香, 沈香, 木香의 효능 주치를 살펴보아야 한다.

①『方藥合編』의 藥性歌 [獸]항에 있는 麝香의‘辛煖 善通關 伐鬼安驚 毒可刪’구절은『本草備要』의‘開經絡, 通諸竅, 透肌骨, 解毒’과『醫宗損益』의‘善通關竅 伐鬼安驚 解毒甚妙’과 같은 내용으로, 麝香의 주요한 효능을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놀란 것을 안정시킨다. 해독작용이 매우 뛰어나다’고 하였다.

②『方藥合編』의 藥性歌 [香木]항에 있는 沈香의 '沈香煖胃兼遂邪 降氣衛氣攻難加' 구절은『本草備要』의‘能下氣而墜痰涎, 能降亦能升...能理諸氣而調中’과『醫宗損益』의‘降氣煖胃 逐邪 通天徹地 衛氣堪誇’이라 하여 下氣祛痰 能升降하고 理諸氣 調中하고 保衛氣하는 효능을 인용하여, 沈香도‘降氣’뿐만 아니라‘升’하여‘通天徹地’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③『方藥合編』의 藥性歌 [芳草]항에 있는 木香의‘木香微溫能和胃 行肝瀉肺散滯氣’구절은『本草備要』의‘能升降諸氣 泄肺氣 疏肝氣 和脾氣’과『醫宗損益』의‘散滯和胃 行肝瀉肺. 入三焦 氣分理氣藥’의 내용을 축약하여 인용하여 木香의‘升降諸氣’,‘諸氣能調’하는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3.麝香,沈香,木香의 方劑 활용

1)拱辰丹의 가감 활용

『東醫寶鑑』은 1345년에 간행된『世醫得效方』12)을 인용하고 있으나, 拱辰丹이란 처방명은 1196년 간행된 『是齊百一選方』13)에 처음 나타나며 主治도 동의보감의 肝虛뿐만 아니라‘固天元一氣 使水升火降 則五臟自和 百病自去’라고 하여 폭 넓은 적응증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이보다 앞선 宋代 政和年間인 1111~1118년에 간행된『聖濟總錄』에‘精耗血少 陽氣衰弱 調營衛 利腰脚’을 치료하기 위한 香茸方은 그 구성약물이 鹿茸, 麝香, 山茱萸, 沈香14)으로 拱辰丹의 當歸가 없고 沈香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1227년 간행된 『魏氏家藏方』의 拱辰丹은‘溫暖子宮 久服能令有孕’을 위한 처방으로 그 구성약물은 鹿茸, 當歸, 山茱萸, 附子, 沈香15)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聖濟總錄』의 香茸方에서 麝香을 빼고 當歸, 附子를 加한 처방 또는『是齊百一選方』의 拱辰丹에서 麝香 대신 沈香을 사용하고, 附子를 加한 처방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是齊百一選方』,『世醫得效方』,『東醫寶鑑』의 拱辰丹은 『聖濟總錄』의 香茸方의 沈香을 去하고 當歸를 加한 처방임을 알 수 있으며, 같은 方名의 拱辰丹이라도 麝香 대신 沈香을 사용한 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高宗 6년(1869년) 黃度淵이 간행한『醫方活套』上統의 拱辰丹에서‘麝香 代入 沈香 或 木香1)’이라 대체 사용법을 기록하였다. 이는『本草備要』,『醫宗損益』과『方藥合編』에서의 麝香의 효능인‘善通關竅’와 沈香의 효능인‘能降亦能升’,‘通天徹地’및 木香의 효능인‘諸氣能調 行肝瀉肺. 入三焦 氣分理氣藥’,‘行肝瀉肺 散滯氣’는 拱辰丹의‘水升火降’에 적합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拱辰丹 이외의 方劑 상 木香과 麝香의 대체사용

『千金要方』16)과『外臺秘要』17)의 萎㽔湯은 모두『小品方』을 인용하여 기록하고 있다. 萎㽔湯은 冬溫 및 春月中風, 傷寒 즉 溫風병에 汗·吐·下法이나 燒針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치료하기 위한 처방으로 萎蕤, 白薇, 麻黃, 杏仁, 芎藭, 甘草, 靑木香 각 2냥과 石膏(『千金要方』은 3兩,『外臺秘要』는 3分)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탕방법에 “如無木香 可用麝香”이라 附記하고 있어, 木香과 麝香의 대체사용이 가능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그 비율은 木香 二兩 대신에 麝香은 一分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木香과 麝香의 대체사용 분량의 비율을 木香 200 대 麝香 1의 비율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Ⅳ.고 찰

拱辰丹은 麝香의 희귀성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木香 또는 沈香으로 대체해 활용되어온 바, 이들 본초가 拱辰丹에서 상호 대체가능한 지 또는 대체가능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역대 대표 본초 및 방제 문헌들을 고찰·분석하였다. 拱辰丹이 최초로 기록된 『是齊百一選方』이전의 본초서인『神農本草經』,『證類本草』와 明代의『本草綱目』 및 『東醫寶鑑』,『醫宗損益』과 함께, 황도연이 방약합편을 편찬할 때 참고하라고 언급한『本草備要』을 통해 麝香, 沈香, 木香의 본초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是齊百一選方』이전 방제서인『千金要方』,『聖濟總錄』과 이후 拱辰丹이 수록된 元代『世醫得效方』, 황도연이 참고한『東醫寶鑑』및 황도연의 저작인『醫宗損益』,『醫方活套』,『方藥合編』등의 방제문헌을 중심으로 拱辰丹의 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麝香, 沈香, 木香에 대한 선행연구를 찾아보면, 麝香에 대한 논문으로는 麝香의 毒性에 관한 문헌적 고찰18), 麝香에 관한 考察19), 麝香 품질검사에 관한 연구20), 麝香이 생쥐의 腦損傷에 미치는 影響21) 등이 있고, 沈香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沈香의 산지와 무역에 근거한 기원 연구22), Aquilaria 속 식물 분포도에 근거한 沈香의 학명23) 등이 있으며, 木香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木香(Saussurese Radix)으로부터 Constunolide 의 분리 및 함량분석24), 정상사람림프구와 HL-60 cell에서 木香의 세포독성과 백혈병세포 분화효과에 관한 연구25), 木香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효과26), RAW 264.7 cell에서 木香의 염증성 매개물질 억제효과27), HPLC 를 이용한 木香 및 유사 한약재에 함유된 Costunolide 비교28), 木香에서 분리한 dehydrocostuslactone의 CDK2 활성저해29), 木香 헥산추출물이 대장암세포인 HT-29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30) 등이 있다. 이들 논문은 각각 본초의 기원 감별 또는 이학적 효능에 관한 연구로, 본 논문이 본초 및 방제 문헌상의 각 본초별 기미·효능을 비교 연구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麝香의 대체물질을 함유한 우황청심원액의 중추신경계 또는 심혈관계 약효를 비교 연구한 기존 논문은 麝香의 대체물질을 모색하였으나, 인공합성한 대체물질(L-muscon)31),32)을 사용하거나, 麝香의 주성분 일부(civettone)을 함유한 사향고양이의 분비물인 靈猫香33)을 이용한 이학적 효능분석으로, 본 논문이 拱辰丹에 대해 문헌적 근거를 바탕으로 木香 또는 沈香이라는 본초를 사용할 수 있는가를 분석한 것과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麝香, 沈香, 木香의 氣味와 效能을 본초 문헌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므로, 이들 3가지 본초의 氣味와 效能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麝香, 沈香, 木香을 君藥으로 하는 각각의 方劑들을 선정·분류하고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醫方活套』및『方藥合編』上統의 拱辰丹에서 “麝香 代入 沈香 或 木香”이라 한 바에 따라, 麝香을 대체해 沈香 또는 木香을 사용한 拱辰丹의 효능을 Hong의 연구34)와 같이 이학적 실험 또는 임상적으로 비교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拱辰丹에서의 麝香과 木香 또는 麝香과 沈香 또는 木香과 沈香의 대체비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인 바,『聖濟總錄』의 香茸方과『魏氏家藏方』의 同名의 拱辰丹 등에서 麝香 또는 沈香의 가감으로 구성이 변하였으며,『千金要方』과『外臺秘要』의 萎㽔湯에서 木香과 麝香의 대체사용 분량의 비율을 木香 200 대 麝香 1의 비율로 사용한 예를 참고하여 추후 연구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Ⅴ.결 론

본 연구는 拱辰丹의 구성 중 麝香이 그 희귀성으로 인해 임상실천에서 木香 또는 沈香으로 대체해서 활용하고 있는 바, 이들 본초가 拱辰丹에서 상호 대체가능한 지 또는 대체가능한 근거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역대 대표 본초 고전문헌 및 방제 고전문헌들을 분석·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麝香, 沈香, 木香의 공통적 氣味는 辛·溫이다.

2. 효능은 麝香, 沈香, 木香은 ‘諸氣’,‘升降諸氣’,‘行氣’,‘理氣’로 기의 운행과 관련되어 있다.

3. 주치는 惡氣, 邪氣등 調諸氣이며, 沈香의 安神去邪,木香의 去邪治心腹痛하는 점이 麝香과 공통점이다.

4. 황도연의 저서인『醫宗損益』과『方藥合編』, 그리고『方藥合編』 편찬시 참고할 것을 권했던『本草備要』에서는 沈香, 木香이 모두‘升降諸氣’하는 것으로 기술되어,『醫方活套』上統에 나타난 拱辰丹의“麝香 代入 沈香 或 木香”이라는 사용법은 拱辰丹의‘水升火降’이라는 효능과 공통점을 갖고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References

  1. Heo J. Dongeuibogam. Seoul:Bubin Publishers. 2012:255, 1252.
  2. Hwang DY. Euibanghwaltu. Seoul:Yeogang. 1992:86.
  3. Zhang JY. Jingyuequanshu:xinfangbazhen. Seoul: Daesung Publishing company. 2000:47
  4. Joint Text Compilation Committee for Herbology. Herbology. Seoul:Younglimsa.2012:560-2, 399-400, 408-9.
  5. Shen LS, Lai HW, Yue XL. Shennong ben cao jing Zhong yao zai se tu pu. 1st ed.Beijing:Zhongguo Zhong yi yao chu ban she. 1996:447-9, 43-5.
  6. Tang SW. Zhengleibencao. Beijing:wen yuange. 1987:259,615,750
  7. Li SJ. Sinjuhae Bonchokangmok. 1st ed. Seoul:Yeoil. 2007;12:260-6, 9:134-9, 4:393-400.
  8. Wang Y. Bencaobeiyao. Beijing:Zhongguo Zhong yi yao chubanshe. 2009:131,186,288.
  9. Heo J. Dongeuibogam. Seoul:Bubin Publishers. 2012:255, 1252.
  10. Hwang DY. Euijongsonik: Kim Shinguen. Great series of Korean Medicine Vol.26. Seoul:Yeogang. 1992:63, 408, 437, 484.
  11. Hwang DY. Bangyakhappyun. Seoul: Young lim sa. 2002:413-4, 499. 623-4
  12. Wei YLn. Shiyidexiaofang. Seoul: Eui Seong Dang. 1990:271
  13. Wang Q. Shijibaiyixuanfang. Beijing:China National Microfilming Center for Library Resource. 2004:553-4.
  14. Zhao J. Shengjizonglu. seoul:Eui Seong Dang. 1993:3026.
  15. Wei X. Weishijiacangfang. Available from: URL: http://www.zysj.com.cn/zhongyaofang/yaofang_g/gongchendan.html
  16. Sun SM. Beijiqianjinyaofang. Beijing:Zhongyiguji chubanshe. 1999:301.
  17. Wang D. Waitaibiyao. Shanxi:Shanxi kexuejishu chubanshe. 2013:29.
  18. Roh SS, Seo BI.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of Moschus. The Journal ofEast-West Medicine. 2014;39(2):11-21.
  19. Byoun SH. A Study of the Musk.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1997;22(1):26-43.
  20. Won DH, Yoon TB, Jo JH, Hong ND, Hae JD. Studies on the Analysis of Moschus and Combined Preparation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984;15(1):56.
  21. Lee BY, Kang SB. An effect of the Moschus Were Injected on the Brain of Mic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1995;16(2):299-311.
  22. Kim KM, Kim IR. A Research on the origin of Aquilariae Lignum Based on ItsProduction Area and Trading Status in History.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1;26(4):163-8. https://doi.org/10.6116/KJH.2011.26.4.163
  23. Kim IR. The Scientific Name of Aquilariae Lignum Based on Distribution of Aquilariaspp.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3;28(5):13-9. https://doi.org/10.6116/kjh.2013.28.5.13
  24. Kang SS, Kim JS, Chi HJ, Chang SY, Ha KW.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ostunolide from Saussurea Root.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999;30(1):48-53.
  25. Lee YJ, Kang SJ, Ku SK. Cytotoxicity in HL-60 Cells and Human Lymphocytes and Effect of Leukemia Cell Differentiation Induced by Saussureae Radix Extract. The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1;26(2):31-7.
  26. Yoon TS, Sung YY, Jang JY, Yang WK. Ji YU, Kim HK. Anti-obesity Activity ofExtract from Saussurea Lapp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0;18(3):151-6.
  27. Choi WY, Jo MJ, Kim SC, Jung JY. Aucklandiae Radix Has Inhibitory Effect ofPro-Inflammatory Medicator in LPS-Induced RAW 264.7 Cell. The Journal of JeahanOriental Medical Academy. 2009;7(1):1-12
  28. Oh JH, Hong SP, Choi HY, Park YK, Lee JH. Determination of Costunolide fromAucklandiae Radix and Substitutive Herbs by Reversed-Phase HPLC.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08;23(3):61-6.
  29. Jeon YJ, Lee HS, Yeon SW, Ko JH, An KM, Yu SW, Kang JH, Hwang BY, Kim TY. Inhibitory Effects of Dehydrocostuslactone Isolated from Saussureae Radix on CDK2 Activity.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005;36(2):97-101.
  30. Kim EJ, Park HS, Lim SS, Kim JS, Shin HK. Park JH.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Saussurea lapp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8;40(2):207-14.
  31. Cho TS, Kim ND, Huh IH, Kwon KI, Park SK, Shim SH, Shin DH, Park DK.Pharmacological Actions of l-muscone on Cardiovascular System. Biomolecules & Therapeutics. 1997;5(3):299-305.
  32. Cho TS, Lee SM, Lee EB, Cho SI, Kim YK, Shin DH, Park DK. Pharmacological Actions of l-Muscone on Cerebral Ischemia and Central Nervous System. Biomolecules & Therapeutics. 1997;5:306-315
  33. Choi EW, Cho MH, Shin SD, Mar WC.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musk containing and civet containing WooHwangChungSimWon on the hypertension and heart contraction.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0;31(3):310-319.
  34. Hong SS, Lee JY, Lee JS, Lee HW, Kim HG, Lee SK, Park BK, Son CG. The traditional drug Gongjin-Dan ameliorates chronic fatigue in a forced-stress mouse exercise model. Th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5;168:268-278. https://doi.org/10.1016/j.jep.2015.04.001
  35. Li SZ. Compendium of Materia Medica(Bencao Gangmu). Beijing:Foreign Languages Press. 2003: 4067-8, 2953-4, 1503-4.
  36. Heo J. DongUiBoGam part IV-Herbology and Pharmacology. translated by Ahn SW. Kim NI, Jeong CH, Cha WS, Kwon OM, Lee MH. Seoul: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117, 277-8, 287-8.
  37. Ahn SW. Complication of formulas and medicinals addendum. Seoul: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09:273, 209,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