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 Received : 2015.02.09
  • Accepted : 2015.02.27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to suggest meaningful directions to future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study, we suggested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three-themes, 'Healthy Life', 'Sustainable Life', 'Living-together Life', as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extra-disciplinary types. With the problems that employed thematic approaches, the post-achievemen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s who used 'Healthy Life' and 'Sustainable Life' textbooks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However, the post-achievemen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s who used 'Living-together Life' textbook were not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The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of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After application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we need to develop related materials, to consider various grades, levels, regions for developing better mathematics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차후 수학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탈학문적(extra-disciplinary) 융합의 형태로,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더불어 사는 삶'이라는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주제별 2개 반, 총 6반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낮았다. 반면 주제 중심 문항 점수의 경우,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에서는 실험반의 점수가 비교반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학 태도 검사 결과는 세 주제에서 사전, 사후 모두 실험반의 평균이 비교반보다 높았다. 그리고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정규교육과정에 포함시키려는 노력, 교사를 위한 자료의 제공, 융통성 있는 사용 등을 위한 연구가 지속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2013).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개선을 위한 네가지 문제점. 학교수학, 15(3). 569-583
  2. 강충열(1998). 주제 중심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2(1), 5-29.
  3. 강충열, 권동택, 정광순(2010). 주제 중심 학습프로그램(점프 리더)이 통합적 사고 성향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0(3), 1-19.
  4. 교육부(2013). ICT를 활용한 농산어촌 학생 학습 여건 개선 및 문예체험 확대 방안. 교육부.
  5. 권명광(1992). 교과서 그림에 대한 시각 디자인 측면의 연구. 교과서연구, 14, 52-64.
  6. 김경자, 조연순(1996). 주제 중심 통합교육과정 구성: 숙의과정. 교육학연구, 34(1), 251-272.
  7. 김영지(2003).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만구(2013). 초등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탐색-한국 초등수학교과서와 미국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2(2), 247-270.
  9. 박웅현(2011). 책은 도끼다. 서울: 북하우스.
  10. 박정희(2003). 주제 중심 통합교육과정 실행 및 다중지능발달 측면에서의 효과분석. 열린교육연구, 11(1), 101-129.
  11. 윤영칠(1999).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2. 이경민, 최일선(2010), 통합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 서울: 학지사.
  13. 이영준, 정귀남(2006). 통합교과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이 아동의 자기 주도적학습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논문, 15(1), 143-159.
  14. 정원호(1995). 스스로 공부할수 있는 교과서. 교과서연구, 21, 37-40.
  15. 정태범(1989). 교과서 체재 개선에 관한 연구. 교과서연구, 2, 25-27.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PISA결과에 대한 해석. http://classroom.kice.re.kr/kice/content02/second03/data01/link.jsp에서 2013년 2월 10일에 발췌.
  17. 한학범(2010). 주제 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성취 및 자기 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현영호, 김용주, 조성준(2004). 교과서 게재 시각 자료의 미적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국재단: 연구보고서 04-4.
  19. 홍영기(2004). 주제 중심의 통합단원 설계모형의 근거이론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7(2), 111-137.
  20. Anderson, C. W., & Roth, K. (1989). Teaching for meaningful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science. In J. Brophy (Ed.), Teaching academic subjects to diverse learners (pp. 265-310). Greenwich, CT: JAI Press.
  21. Brodeur, D. R. (1998). Thematic teaching : Integrating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s in elementary classrooms. Educational Technology, 38(6), 37-43
  22. California State Board of Education. (1999). Standards for evaluating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ocial content. Sacramento, CA: California State Board of Education. Retrieved December 13, 2014, at http://www.cde.ca.gov/ci/cr/cf /documents/ socialcontent.pdf
  23. Chronaki, A. (2000). Teaching maths through themebased resources: Pedagogic style, 'THEME' and 'MATHS' in less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2, 141-163. https://doi.org/10.1023/A:1004124328308
  24. Drake, S. M.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 A.: ASCD.
  25. Eichinger, D., & Roth, K. (1991). Critical analysis of a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Bouncing around or connectedness?. East Lansing, MI: Center for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Elementary Subject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0 611).
  26. Holliday, W. G., Brunner, L. L., & Donais, E. L. (1977). Differential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to flow diagram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2(1), 77-83. https://doi.org/10.1002/tea.3660120111
  27. Jones, R. (2000). Textbook troubles. American School Board Journal, December cover story. Retrieved December, 12, 2014, at http://www.asbj.com
  28. Lonning, R. A., Thomas, C. D., & Thomas, P. W. (1998). Development of theme-based, Interdisciplinary, Intergrated curriculum: A theoretical mode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312-319.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26.x
  29. MIT Media Lab (2014). Life long kindergarten. Chosun il bo, April 18, 2014.
  30. Schmidt, W. H., McKnight, C. C., & Raizen, S. A. (1997). A splintered vision: An investigation of U.S.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East Lansing, MI: U.S.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Michigan State University.
  31. The Center for Education Reform (2001). The textbook conundrum: What are the children learning and who decides?. Washington, D.C.: The Center for Education Reform.
  32. Woodward, A., & Elliott, D. L. (1990). Textbooks: Consensus and controversy. In Textbooks and schooling in the United States: Eight-nin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I.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