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interrupted Liv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their thirties

직업 경력단절 기혼 여성에 대한 질적 연구: 30대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 Kim, Su Ri (Dept. of Education, Hongik Univ.) ;
  • Lee, Sulim (Dept. of Counseling Psychology, Open Cyber Univ.) ;
  • Ryu, Jeong Yi (Dep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yang Univ.)
  • 김수리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
  • 이수림 (열린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유정이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15.04.01
  • Accepted : 2015.05.12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interrupted lives of highly 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The participants were 11 women in their thirties who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graduated and had a child.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using a focused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personal histories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there were marriages and births, difficulties with child care, priority placed on the family, pressure to retire, and an absence of a layoff system related to births and child care. Second, with regard to their interrupted lives, while there was comfort and an absence of work-stress, there was child care stress, financial stress, anxiety due to career uncertainty, a loss of the social self, depression, emptiness, low self-esteem, dependence on husbands, regret, conflict in career choices, and envy of childcare support. Third, their reasons for seeking reemployment included the financial benefits, increased independence, self-realization in their job, hope for a stable job, self-management, and hope for a social network.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2006). 교육통계연보.
  2. 구명숙.홍상욱(2005).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전업주부 재취업 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63-167.
  3. 권희경(2010).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87-98.
  4. 김남주.권태희(2009).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여성연구, 76(1), 43-70.
  5. 김미경.백진아.이미숙.이미정.이선이.이숙현(2004). 일과 가족사이. 서울: 조은글터.
  6. 김선미(2004).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37-553.
  7. 김영옥(2002).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취업 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5(2), 5-40.
  8. 김영옥(2006). 여성노동시장의 양극화 추이와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9. 김영옥.양인숙.김한준(2002). 지식경제의 여성인력 수요와 직종개발. 한국여성개발원.
  10. 김인지.이숙현(2005).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 이데올로기와 부모역할 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25.
  11. 김정희.문혁준(2006).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 대한가정관리학회지, 440(1), 115-129.
  12. 김주영(2010). 여성의 경력단절과 노동시장 재진입. 월간노동리뷰, 8월호, 36-50.
  13. 김지경(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 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3), 91-104.
  14. 김지연.황매향(2004). 실업자의 진로결정수준.진로준비행동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5(3), 637-646.
  15. 김태홍(2000). 여성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방향. 서울: 한국 여성개발원.
  16. 김태홍.민무숙.김영옥.김선미.양순애.진미석.주재선(2001). 여성인적자원 개발 및 활용제고를 위한 추진 전략.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7. 김희삼(2009).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18. 김희연(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위탁 과제 보고서.
  19. 곽다은(2012). 한국 대학생의 진로신념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노동부(2006). 2006년도 여성과 취업. 노동부.
  21. 민무숙(2002).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 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2. 민현주(2011).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 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 34(1), 53-72.
  23. 박경숙, 김영혜(2003). 한국 여성의 생애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24. 박미석.박미려 (2014). 에코부머의 근로빈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2(1), 87-101.
  25. 박성미(2010).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165-179.
  26. 박성미.황주혜(2008). 울산지역 경력단절 여성 일자리창출을 위한 요구조사 보고서. 울산광역시여성회관.
  27. 박성정(2005). 전업주부 직업능력개발 및 취업제고 정책 방안. 젠더 리뷰, 여름호, 3-8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8. 박수미(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29. 방경숙(2004). 취업모와 미취업모의 양육태도, 양육부담감 및 학령전기 자녀의 기질과 건강관련 변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0(2), 217-224.
  30. 서영주, 장서영, 이보민 (2009). 서울시 전문직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맞춤형 취업지원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31. 손서희.이재림(2014).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3). 157-177. https://doi.org/10.7466/JKHMA.2014.32.3.157
  32. 손은령(2002).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지, 15(2), 1-14.
  33. 손진희(2013).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진로경험 :직장 경력 5-10년 여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1), 501-522.
  34. 신혜자.정숙현.박성미(2007). 이공계출신 여성의 취업과 현장 적응에 관한 연구보고서. 부산: 부울경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35. 안재희(2005). 대학교육을 통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형성 및 활용과 대졸 여성의 취업.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엄경애.양성은(2011).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정환리학회지, 29(1), 21-40..
  37. 오은진.박성정.민현주.김난주.송창용. 김지현(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8. 윤택림(1996). 생활문화 속의 일상성의 의미: 도시 중산층 전업 주부의 일상성과 모성 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79-117
  39. 윤혜경(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14(1), 83 -112,
  40. 은혜경(2010).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성공요인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1. 이기학(2003).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13-21.
  42. 이민경(2007).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 자녀교육 지원 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7(3), 159-181.
  43. 이상희(2005).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 성숙의 관계: 진로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인학.최성열.송희원(201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2(1), 69-81.
  45. 이재흥(2014). 최근 고용 동향과 2014년 일자리 정책 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6. 이진영(2013). 출생연도별 한국 여성의 경제 활동참가율 현황 및 시사점. KERI Brief, 13-28.
  47. 이현림.김영숙.박혜경(1999). 여성 진로상담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진로상담학회지, 4(1), 1-19.
  48. 장서영(2008).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9. 정지후.이상희(2014). 진로정체감 6개 단계에 따른 정체감 스타일, 진로신념, 우연기술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27(1), 151-170.
  50. 최윤정.안후남.이지은.최정순.박선주(2013). 여성 진로 발달 및 상담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상담학연구, 14(2), 1285-1308.
  51. 하정혜.김지현(2012). 한국 중년여성 성역할 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3(6), 2987-3007.
  52. 통계청(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분석 -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중심으로.
  53.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104_12
  54. Becker, G. S.(1991). "Human Capital, Effort, and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55.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56. Betz, N.E., & Luzzo, D.A. (1996). Career assessment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413-428.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405
  57. Budig, M. J. and P. England(2001). The wage penalty for motherhood.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2), 204-225. https://doi.org/10.2307/2657415
  58. Brown, C. Garavalia, L., Fritts, M. & Olson, E. A.(2006). Computer science majors: Sex role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4(4), 331-345.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6.tb00198.x
  59. Chang, J., & Boo, G.(2003). Hidden choice: Paid work and child care for married female workers. The Women's Studies, 65(2), 149-179.
  60. Coalner, C. W. & Warner, S. C.(2005). The effect of egalitarian and complementarity gender role attitudes on career aspirations in evangelical female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logy & Theology, 33(3), 224-228. https://doi.org/10.1177/009164710503300307
  61. Dillaway, H., & & Pare, E. (2008). Locating mothers: How cultural debates about stay-at home versus working mothers define women and home. Journal of Family Issues, 29, 437-464. https://doi.org/10.1177/0192513X07310309
  62. Ferry, T. R, Fouad, N. A., & Smith, P. L.(2000). The role of family context in a social cognitive model for career-related choice behavior: A math and scienc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7, 348-364. https://doi.org/10.1006/jvbe.1999.1743
  63. Fuqua, D. R., Blum, C. R., & Hartman, B. W.(1988). Empirical suppor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areer indecision.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6, 364-373. https://doi.org/10.1002/j.2161-0045.1988.tb00511.x
  64. Gysbers, N. C., & Moore, E. J.(1973). Life Career development: A model. Columbia, MO: University of Missouri.
  65. Halpern, D. F.(2000). Sex difference in cognitive abilities. NJ: Erlbaum.
  66. Harmon, L. W.(1997). Career counseling for women, In E. Rawlings & D. Carter(Eds.), Psychotherapy for women. Springfield, IL: Thomas.
  67. Kaufman, G.(2005). Gender role attitudes and college student's work and family expectations. Gender Issues, 22(2), 58-71. https://doi.org/10.1007/s12147-005-0015-1
  68. Krumboltz, J. D.(1999). Career Belief Inventory: Applications and Technical Guid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69. Lent, R. W.(2005). A social cognitive view of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In S. D. Brown & R. W. Lent(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101-127), NJ: Wiley.
  70. Lent, R. W., & Brown, S. D.(2001). The role of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in the choice of math/science educational option: A test of social cognitive hypothe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4), 474-483. https://doi.org/10.1037/0022-0167.48.4.474
  71. Lindholm, J. A.(2004). Pathways to the professorate: The role of self, others, and environment in shaping academic career aspiration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5(6), 603-635. https://doi.org/10.1353/jhe.2004.0035
  72. Mendez, L. M. R. & Crawford, K. M.(2002). Gender-role stereotyping and career aspirations: A comparison of gifted early adolescent boys and girl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3(3), 96-108. https://doi.org/10.4219/jsge-2002-375
  73. Miller, L. & Hayward, R.(2006). New jobs, old occupational stereotype: gender and jobs in the new economy. Journal of Education & Work, 19(1), 67-93. https://doi.org/10.1080/13639080500523000
  74. Super, D. E.(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Bros.
  75. Swanson, J. L., & Woitke, M. B.(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4), 443-462.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405
  76. Tak & Lee.(2003).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3), 328-345. https://doi.org/10.1177/1069072703254503
  77. Taylor,K. M.,&Betz, N. E.(1983).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