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 Peer Tutoring Metho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Class Satisfaction

또래교수법이 수학 문제해결과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5.18
  • Accepted : 2015.06.2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 peer mentoring method affects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lass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high school quadratic curv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this study, seventy six 11th graders in the natural sciences track participated in the peer mentoring method. After finishing the teaching method, Problem Solving Abilities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or analysis of pre-test/post-test experiments and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also gathe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entoring method positively impacts on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lass satisfaction because its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s, individualized learning contents, and unconstrained learning processes motivate them through way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to address practical implications applied in teaching quadratic curves in high school with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entoring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통해 고등학교 이차곡선 단원에 대한 수업을 진행한 후 문제해결능력과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교수학습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7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또래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이 종료된 후에 <이차곡선 문제해결능력 검사지>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 비교와 <수업 만족도 검사지>를 분석한 결과 또래교수법을 통해 친밀한 학습 환경, 개별화된 학습 내용, 자유로운 학습 과정을 통한 학습 동기유발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문제해결능력과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차곡선을 지도할 때 또래교수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여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주.김민규.임은비(2012). 유능성과 관계성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0(1), 193-225.
  2. 김은주.도승이(2009).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유능감 및 관계성 욕구와 내재동기 및 수업 참여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23(1), 181-196.
  3. 김종렬(2012).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1), 93-113.
  4. 박만구.김진호(2006).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25-457.
  5. 박소영(2004). 학생의 자발적 참여 제고를 위한 학생변인과 교사변인. 교육행정학연구, 22(2), 91-108.
  6. 박승희(2005). 아동의 학습동기 유형과 몰입과의 관계. 초등교육학연구, 12(2), 149-167.
  7. 백정은.권혁진(2007).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마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4), 487-504.
  8. 변재현.김민경(2004). 교사의 단계적 발문이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 연구, 8(2), 199-217.
  9. 손영.김성일(2005). 또래교수 집단 구성 방식이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9(3). 595-613.
  10. 안미경(2009). 동료멘토링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의 일차함수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보경.김수연(2011). 또래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8(1), 65-84.
  12. 최원영.김혜경(2014). 대학 미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53(2), 263-274.
  13. 하영자.하정희(2011).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2), 197-217.
  14. 하정숙.박종호(2010).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1(2), 93-109.
  15. King, A. (1989). Effects of self-questioning training on college students' comprehension lectur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4, 366-381. https://doi.org/10.1016/0361-476X(89)90022-2
  16. King, A., Staffieri, A., & Adelgais, A. (1998). Mutual peer tutoring: Effects of structuring tutorial interaction to scaffold peer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1), 134-152. https://doi.org/10.1037/0022-0663.90.1.134
  17. Sfard, A. (2003). Balancing Unbalanceable: The NCTM Standards in Light of Theories of Learning Mathematics. In J.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pp. 353-392). Reston, VA: NCTM.
  18. Vygotsky, L. S.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Mind a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pp. 79-91).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 Vygotsky,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 A. : MIT Press.
  20. Wittgenstein, L. (1953/2003).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e German text, with a revised English translation (3rd ed., G. E. M. Anscombe, Trans.). Malden, MA: Blackwell.
  21. Webb, N. M., & Farivar, S. (1994). Promoting helping behavior in cooperative small group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2), 369-395. https://doi.org/10.3102/00028312031002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