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Cross-Media Storytelling : Remediation of Webtoon to Drama Series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웹툰 <미생>의 드라마 <미생>으로의 재매개-

  • 김미라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Received : 2015.06.16
  • Accepted : 2015.07.18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With the growth of media platforms and fierce competition in the media market, there have been focus on cross media storytelling, a remediation of content already proven successful to another type of medium. In particular, webtoons have emerged as being successful source media, and this study analyzes how the webtoon 's narrative is expanded and transformed in the remediation process into TV dram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btoon , which was targeted at a relatively more specific audience, objectively described stories of the life and hardships of an office worker through a contractual employee at a trading company navigating work life based on strategies of Baduk; while the TV drama version, which aims to appeal to a broader audience, strengthened popular narratives with topics of social issues such as 'hardships of the non-permanent employee', 'sexual discrimination and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difficulties of a working mom', and 'romance between new colleagues'. 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dramatic enjoyment, the drama's storytelling strategy incorporated conflicts by creating confrontational relationships among good and evil characters, and added humanism and comedic effect.

미디어 플랫폼이 증가하고 콘텐츠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공한 콘텐츠를 다른 미디어 장르로 재매개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웹툰이 원천 콘텐츠(source genre)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웹툰 <미생>이 TV드라마로 재매개 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서사가 확장되고 개조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변형을 불러온 미디어의 특성과 수용자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특정 대상층을 목표로 하는 웹툰 <미생>이 바둑의 기보를 바탕으로 종합상사 비정규직 계약사원을 중심으로 직장인의 삶과 애환을 담담하게 그려냈다면, 보다 폭넓은 시청자를 확보해야 하는 TV드라마에서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의 애환', '직장내 성차별과 성희롱', '워킹맘의 애환' '신입 동기들간의 로맨스' 등 대중적 서사를 강화한 '확장'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 극적 재미를 위해 명확히 선악이 구분되는 인물 구도를 통한 갈등의 고조, 휴머니즘과 희극성의 강화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사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 Jowett and J. Linton, Movies as mass communication, Newbury Park, Calif.: Sage, 1989, 김훈순 역, 영화커뮤니케이션, 서울: 나남, 1994.
  2. 조은희, 임정수, "한국 영화산업의 시대별 특수성에 따른 원작 사용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제 17권, 제3호, pp.51-77, 2009.
  3. 이문행, "국내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 간 스토리 이동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1호, pp.61-81. 2014.
  4.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연구, 제10권, 제2호, pp.194-210, 2014.
  5. J. Bolter and R.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Maddachusetts: MIT Press, 1999, 이재현 역,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52, 2006.
  6. 김은영, 김훈순, "미디어 텍스트의 재매개 연구: 만화 <조선여형사 다모>의 재매개 TV드라마와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 2호, pp.240-273, 2012.
  7. 이재현,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콘텐츠: 멀티플 랫포밍 이론의 구성과 적용", 방송문화연구, 제18 권, 제2호, pp.285-317, 2006.
  8. 신동희,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스토 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180-189,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180
  9. 서성은, 매체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 김은영, 김훈순, 미디어 텍스트의 재매개 연구: 만화 <조선여형사 다모>의 재매개 TV드라마와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 2호, p.240, 2012.
  11. 남승연, "만화원작 TV드라마 연구: <풀하우스>, <궁>을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제26호, pp.219-247. 2007.
  12. 박승현, 이윤진, "만화의 영화로의 전환: <식객>의 사례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17호, pp.97-115, 2009.
  13. 한창완, 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 텔링 연구: 웹툰 <이끼>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86-19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186
  14.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연구, 제10권, 제2호, p.194, 2014
  15. 이수진, "만화에서 영화로의 전환 adaptation", 프랑스학연구, 제42집, pp.455-480, 2007.
  16. 이경숙, "<그대를 사랑합니다>의 서사적 재매개와 노년의 재현 관습", 드라마연구, 제38호, pp.141-168, 2012.
  17.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연구, 제10권, 제2호, p.200. 2014.
  18. 이상민, "웹 만화의 매체적 특성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 제30호, pp.237-262, 2009.
  19. S. R. Kozloff, "Narrative Theory and Television," In Allen, A. C.(Ed.), Channels of Discourse, Reassembled: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pp.67-100, 1992.
  20.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1978,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이야기와 담화, 서울: 민음사, 1990.
  21.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서울: 나남, 2015.
  22. 김은영, 김훈순, 미디어 텍스트의 재매개 연구:만화 <조선여형사 다모>의 재매개 TV드라마와 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2호, p.263, 2012.
  23. D. Thorburn, "Television as an aesthetic medium," In J. W. Carey(Ed.), Media. Myths, and Narrative: Television and Press, London:Sage, pp.48-66, 1988.
  24.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47/1825421.do?menuNo=201825
  25. http://program.interest.me/tvn/misaeng/6/Board/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