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nts Species Diversity and Flora of Wetlands in the Forest of Gangwon Province

강원도 지역 산림습원의 식물다양성 연구

  • Son, Ho-Jun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ol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Young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 Lee, Hak-Bong (Department of Biolog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Kim, Se-Chang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Bong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Geun (Division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5.01.21
  • Accepted : 2015.05.11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ndigenous habitat of Simjeok forest wetland, Mt. Jeombomg forest wetland, Mt. Sohwangbyung forest wetland, Jilmoi-neup, and Mt. Myeon forest wetlan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47 taxa; 92 families, 296 genera, 468 species, 4 subspecies, 67 varieties, 8 forms. The plants that are specially noteworthy are 17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3 taxa of Critical Endangered Species (CR), 4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8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17 taxa of Least Concemed Species (LC) in rare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Furthermore, V, IV, III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9 taxa, 14 taxa and 34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5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variety of plants observed in the wetlands of Gangwon Province.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Keywords

서 언

산림습원은 토사와 습원식물이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 등의 보습능력이 뛰어나므로 계곡부의 수분 공급과 홍수조절의 역할을 하며, 많은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서곤충, 어패류, 물새, 양서·파충류 및 소형 포유동물 등과 같은 습원생물의 서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습원은 탄소 저장능력이 뛰어나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해주며, 이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국지적으로는 기후조절기능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습원식물은 농약이나 공업용수와 같은 유독성 물질을 체내에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이는 수질정화 기능에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습원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태계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환경에서 진화한 독특한 생물의 서식처로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산림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소생물권역을 구성하고 있다(Son et al., 2014).

습원은 육상생태계 면적의 6%밖에 되지 않지만, 높은 생산성을 가지며(Mitsch and Gosselink, 2007), 이곳에서만 분포하는 고유종들이 많아 특징적인 식생을 형성한다. 또한, 홍수조절, 수질정화 및 서식처의 제공 등 여러 유익한 기능을 하고, 특히 습윤, 한랭한 아한대 지역에서 잘 발달하는 이탄습원은 훌륭한 탄소 저장고의 역할을 하고 있다(Tarnocai, 2006).

이탄습원은 기후와 지형 등의 영향으로 식물의 분해가 더뎌 분해되지 못한 식물체가 이탄의 형태로 쌓여 형성된다. 전 세계에서 이탄습원의 분포는 러시아, 북유럽, 북미 등 북위도의 한대지역에서 넓게 분포한다(Joosten, 2002). 우리나라는 지리적 위치와 냉온대의 기후적 요인 및 경사가 급한 산지지형이어서 이탄습원이 매우 희귀하다(Choung et al., 2009).

우리나라에서 현재 이탄습원으로 밝혀진 곳은 그 수가 매우 적으며,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이탄습원으로 보고된 습지는 대암산 용늪(Knag and Kwak, 2000; Choung et al., 2009), 정족산 무제치늪(Bae et al., 2003; Park et al., 2011), 천성산 화엄늪(Son and Chang, 2009), 신불산 고산습지((Shin et al., 2005), 오대산의 소황병산늪(Kim, 2009)과 질뫼늪(Park and Kim, 2012), 점봉산 습지(Yoon et al., 2013; Yoon et al., 2014)와 지리산 왕등재 습지(Jang et al., 2006; Yang, 2008)가 있으며, 생태학적, 수문학적 및 지질학적 연구 등도 이들 이탄습지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또한, 이탄습원은 습원식물을 유지시키는 수분의 유입형태, 지하수와 지표수와의 관계, 습원 내부의 이탄층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식물의 종류와 퇴적량, 현재 구성되어 있는 식물군락의 종류 등에 의하여 식물사회학적으로 저층습원, 중간습원 및 고층습원으로 구분되어진다(Miyawaki, 1978). 강원도의 산지 이탄습원 중 고층습원은 용늪이 보고되고 있으며,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은 중간습원 및 고층습원으로 분류되고 있다. 면산 산림습원은 새롭게 확인된 이탄습원으로 중간습원 혹은 고층습원의 형태를 보이고 있어 지질학적, 생태학적, 수문학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산림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조사는 대부분 습원과 습원의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습원에 수리학적, 생태학적, 지형학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유역(Drainage basin)에 대한 연구는 습원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강원도 이탄습원인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면산 산림습원의 식물상을 습원 유역(Drainage basin)을 포함하여 객관적이고 다각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서 산림습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본 조사는 지역별로 달리 수행하였으며, 심적 산림습원은 2011년 3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점봉산 산림습원은 2010년 3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은 2007년 5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면산 산림습원은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계절별로 현지답사를 하였다. 또한 습원내(Interior of wetland)와 습원 유역(Drainage basin)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Fig. 1, Table 1). 출현하는 식물은 표본 채취 및 현지 기입방법을 취하였고, 분류체계는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준하여 목록을 정리하였다(Appendix 1). 학명 및 국명의 표기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3)을 참조하였으며, 채집한 표본은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표본실에 보관하였다. 또한 희귀식물 등 특정 분류군의 경우 종보전을 위하여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포함된 화상자료로 기록하고 표본없이 식물상 목록에 포함하였다.

Fig. 1Location of study area.

Table 1.A: Simjeok wetland, B: Mt. Jeombomg wetland, C: Mt. Sohwangbyung wetland, D: Jilmoineup, E : Mt. Myeon wetland, I : Interior of wetland, D : Drainage basin.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에 따라 작성하였고, 특산식물은 Oh et al. (2005),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Kim (2000), 귀화식물은 Lee et al. (2011)에 따라 작성하였다. 또한 관속식물의 유형분류(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는 우리나라 습지생태계 관속식물 유형분류(Choung et al., 2012)에 준하여, 조사구역 내의 출현식물을 습지출현빈도에 따라 절대습지식물(Obligate wetland plant, OBW), 임의습지식물(Facultative wetland plant, FACW), 양생식물(Facultative plant, FAC), 임의육상식물(Facultative upland plant, FACU) 및 절대육상식물(Obligate upland plant, OBU)로 구분하고 출현종수와 비율을 산출하였다.

식물상의 유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의 종 출현 유무를 각각 1과 0으로 구분하여 자료행렬로 전환한 후(MacClade v4.08a; Maddison and Maddison, 2005), 이를 이용하여 유집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은 NTSYSpc2.2(Applied Biostatistics, USA)를 통하여 UPGMA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습원 내(Interior of wetland)와 습원유역(Drainage basin)에 출현한 관속식물과 관속식물 유형분류중 절대습지식물(Obligatewetland plant, OBW)만 추출한 자료행렬로 유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산림습원인 대암산 용늪은 Kang and Kwak (2000)의 보고된 자료를 활용하여 추가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산림습원인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및 면산 산림습원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92과 296속 468종 4아종 67변종 8품종 총 5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종(Korea National Arboretum, 2013)의 약 11.2%에 해당한다(Table 2).

Table 2The abridged list of the plants in surveyed area

지역별로 살펴보면, 심적 산림습원 유역의 관속식물은 70과 179속 226종 3아종 36변종 4품종 총 26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는 34과 62속 72종 3아종 12변종 1품종 총 8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인근 대암산 용늪의 식물상 조사는 Lee (1969) 72종류, Kang and Kwak (2000) 191종류, Choi and Heo (2007) 249종류가 보고되고 있다. 이 중 Kang and Kwak (2000)의 조사에서는 습원 내 85종류, 습원 주변 99종류로 나누어 보고하였다.

점봉산 산림습원 유역의 관속식물은 76과 196속 263종 1아종 33변종 6품종 총 30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는 36과 60속 77종 8변종 1품종 총 8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점봉산 산림습원은 식생과 화분분석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었지만, 식물상은 보고되지 않았다.

소황병산 산림습원 유역의 관속식물은 79과 198속 262종 4아종 32변종 5품종 총 30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는 43과 80속 94종 4아종 12변종 1품종 총 1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소황병산 산림습원의 식물상은 Kim (2009)이 2007년 조사 114종류와 2008년 조사 121종류로 보고되어 이 연구의 식물상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뫼늪 유역의 관속식물은 52과 132속 174종 2아종 29변종 4품종 총 20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는 46과 97속 118종 2아종 28변종 6품종 총 1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질뫼늪의 식물상은 최근 Park and Kim (2012)이 163종류로 보고하였으며, 이 연구의 140분류군과 차이가 나타난 것은 조사지역의 차이로 판단되며, 기생꽃, 독미나리 등의 특이식생 및 습지식물은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면산 산림습원 유역의 관속식물은 82과 179속 216종 2아종 28변종 6품종 총 2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는 51과 93속 95종 2아종 15변종 3품종 총 1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면산 산림습원은 2014년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대암산 용늪 등의 고층습원에서 확인된 조름나물이 대단위 군락으로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면산과 묘봉은 Nam et al. (2014)이 551분류군으로 보고되었으나, 능선 및 계곡부의 등산로 위주로 조사되어 면산 산림습원의 분포 식물은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특산식물

5지역 산림습원에서 조사된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6속 15종 2변종 총 17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심적 산림습원에서는 키버들, 노랑갈퀴, 참배암차즈기,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5종, 점봉산 산림습원에서는 키버들, 진범, 홀아비바람꽃, 할미밀망, 모데미풀, 산앵도나무, 병꽃나무, 금마타리, 금강초롱꽃, 벌개미취,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지리대사초 등 13종, 소황병산 산림습원에서는 키버들, 진범, 홀아비바람꽃, 산앵도나무, 병꽃나무, 금강초롱꽃,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등 8종, 질뫼늪은 키버들, 요강나물, 산앵도나무, 병꽃나무, 금마타리, 각시서덜취, 처녀치마 등 7종, 면산 산림습원은 키버들, 진범, 할미밀망, 산앵도나무, 병꽃나무, 금강초롱꽃,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등 8종이 확인되었다. 키버들은 전지역에서 습원 내에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꽃나무는 소황병산과 면산 산림습에서는 습원 내에, 다른 지역에서는 습원유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Table 3zA: Simjeok wetland, yB: Mt. Jeombomg wetland, xC: Mt. Sohwangbyung wetland, wD: Jilmoineup, vE: Mt. Myeon wetland, ◎: Interior of wetland, ○: Drainage basin. *Planting

희귀식물

5지역 산림습원에서 자생하는 희귀식물은 21과 31속 31종 3변종 총 34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심적 산림습원은 습원유역에서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 CR) 복주머니란, 취약종(Vulnerable / VU) 쑥방망이, 약관심종(Least Concemed / LC) 참배암차즈기, 말나리, 금강애기나리 3종이 확인되었으며, 습원 내에서는 멸종위기종 독미나리, 작은황새풀 2종, 위기종(Endangered Speices / EN) 조름나물, 취약종 끈끈이주걱, 큰방울새란 2종, 약관심종 과남풀, 꽃창포 2종으로, 총 12종이 확인되었다(Fig. 2, Table 4).

Fig. 2

Table 4zA: Simjeok wetland, yB: Mt. Jeombomg wetland, xC: Mt. Sohwangbyung wetland, wD: Jilmoineup, vE: Mt. Myeon wetland, ◎: Interior of wetland, ○: Drainage basin, *Endangered species level II.

점봉산 산림습원은 습원유역에서 취약종 만삼, 약관심종 등칡, 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금마타리, 병풍쌈, 말나리, 금강애기나리 등 7종, 자료부족종 도라지모시대로 총 9종이 확인되었으며, 습원 내에서 위기종인 만주바람꽃, 모데미풀 2종, 취약종인 가시오갈피, 금강초롱꽃, 나도제비란 3종, 약관심종인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금강제비꽃, 과남풀 4종으로, 총 9종이 확인되었다.

소황병산 산림습원은 습원유역에서 취약종인 금강초롱꽃, 약관심종인 금강제비꽃, 자료부족종인 토현삼이 확인되었으며, 습원 내에서는 멸종위기종인 독미나리, 취약종인 나도바람꽃, 약관심종인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태백제비꽃, 만병초, 과남풀, 귀박쥐나물, 금강애기나리, 연영초 8종으로, 총 10종이 확인되었다.

질뫼늪은 습원유역에서 약관심종인 금마타리, 금강애기나리 2종, 자료부족종인 도라지모시대가 확인되었으며, 습원 내에서는 멸종위기종 독미나리, 위기종 기생꽃, 취약종인 방울새란, 약관심종인 꽃개회나무, 과남풀로, 총 5종이 확인되었다.

면산 산림습원은 습원유역에서 취약종인 금강초롱꽃 1종이 확인되었으며, 습원 내에서 위기종인 조름나물, 약관심종인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과남풀, 꽃창포 4종으로, 총 5종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II급 식물은 독미나리, 복주머니란, 기생꽃, 조름나물, 가시오갈피 5종이 확인되었으며, 습원지역에서 독미나리, 기생꽃, 조름나물, 가시오갈피가 자생하였다. 독미나리는 습원 내의 가장자리에 개체 및 소군락으로 자생하고 있으며, 심적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및 질뫼늪에서 확인하였다. 복주머니란은 심적 산림습원의 유역내에 산지사면에서 3개체가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생꽃은 질뫼늪의 Bulte (hummocks)에 군락으로 자생하고 있었다. 조름나물은 습원의 Schlenke (hollws)에 자생하고 있으며, 심적 산림습원은 4개체를 확인하였고, 면산 산림습원은 대단위 군락으로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시오갈피는 점봉산 산림습원에 습원의 가장자리에 6개체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에 승마, 모데미풀, 끈끈이주걱 등 9분류군, Ⅳ등급에 쪽버들, 홀아비바람꽃, 회리바람꽃 등 14분류군, Ⅲ등급에 분비나무, 분버들, 참오글잎버들, 청시닥나무, 부게꽃나무, 병풍쌈 등 34분류군, Ⅱ등급에 난티나무, 동자꽃, 눈개승마, 큰앵초, 두루미꽃, 나도제비란 등 36분류군, Ⅰ등급에 속새, 물오리나무, 들메나무, 숫잔대, 여우오줌, 제비난초 등 38분류군으로, 총 131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체 출현식물의 23.9%에 해당한다(Table 5).

Table 5zA: Simjeok wetland, yB: Mt. Jeombomg wetland, xC: Mt. Sohwangbyung wetland, wD: Jilmoineup, vE: Mt. Myeon wetland, ◎: Interior of wetland, ○: Drainage basin.

산림습원 별 출현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심적 산림습원이 46분류군, 점봉산 산림습원이 74분류군, 소황병산 산림습원이 80분류군, 질뫼늪이 44분류군, 면산 산림습원이 4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점봉산 산림습원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이 많은 이유는 이 지역이 백두대간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으로, 식물구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귀화식물

5개 지역 산림습원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8과 16속 16종 1변종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심적 산림습원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습원 내에 미국가막사리 1종과 습원유역에서 아까시나무, 달맞이꽃, 돼지풀 등 6종이 확인되었으며, 점봉산 산림습원은 습원 내에서 말냉이 1종과 습원 유역에서 토끼풀, 지느러미엉겅퀴, 서양민들레 등 5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소황병산 산림습원은 습원 내에서 귀화식물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습원 유역은 토끼풀, 미국가막사리, 오리새 등 6종이 확인되었다. 질뫼늪의 귀화식물은 습원 내에서 애기수영, 붉은토끼풀, 토끼풀, 오리새, 큰조아재비 등 7종, 습원 유역에서 망초, 개망초, 서양민들레 3종이 확인되었다. 면산 산림습원의 귀화식물은 습원 내에서 말냉이, 달맞이꽃, 컴프리, 독말풀, 미국가막사리 5종, 습원 유역에서 아까시나무, 토끼풀, 개망초 등 5종이 확인되었다(Table 6).

Table 6zA: Simjeok wetland, yB: Mt. Jeombomg wetland, wC: Mt. Sohwangbyung wetland, wD: Jilmoineup, vE: Mt. Myeon wetland, ◎: Interior of wetland, ○: Drainage basin.

산림습원의 습원 내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말냉이, 붉은토끼풀, 달맞이꽃, 컴프리, 독말풀, 미국가막사리, 기생초, 오리새, 큰조아재비 10종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습원의 가장자리와 습원의 Bulte (hummocks) 지형의 비교적 건조한 환경에서 소군락으로 번식하고 있었다. 또한, 목초지로의 이용 및 작업로 설치로 인한 습원의 육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질뫼늪과 면산 산림습원은 타 산림습원에 비하여 귀화식물의 침입이 용이하여 출현종의 종류와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향후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속식물의 유형분류

산림습원의 습원 내에 출현한 식물을 대상으로 습지출현빈도에 따라 절대습지식물(Obligate wetland plant, OBW), 임의습지식물(Facultative wetland plant, FACW), 양생식물(Facultative plant, FAC), 임의육상식물(Facultative upland plant, FACU) 및 절대육상식물(Obligate upland plant, OBU)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심적 산림습원은 절대습지식물(16.9%), 임의습지식물(28.1%)이 다른 지역의 산림습원에 비하여 비율이 높게 확인되었고, 절대육상식물(36.0%)이 낮은 비율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7). 이는 심적 산림습원의 경우 목본층이 발달하지 않은 원형의 고층습원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비교적 교란을 덜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하여 점봉산 산림습원과 소황병산 산림습원은 목본층이 많이 발달하였으며, 주변의 산림이 극상림을 이루고 있어 절대육상식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질뫼늪과 면산 산림습원은 전형적인 고층습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주기적인 교란(임도, 산림시업, 답압 등)이 있어 습지식물에 비하여 육상식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able 7zOBW: Obligate wetland plant, yFACW: Facultative wetland plant, xFAC: Facultative plant, wFACU: Facultative upland plant, vOBU: Obligate upland plant.

식물상의 유사성 분석

강원도 산림습원으로 알려진 용늪,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및 면산 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유집분석한 결과, 종조성은 습원의 형태 및 지리적 분포와 비교적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3).

Fig. 3UPGMA tree based on vascular flora data for six regions forest wetlands in Gangwon province.

습원유역의 식물상 유사성을 보면 지형적으로 비슷한 계곡부와 능선, 산정부에 위치한 습원들이 가깝게 유집되어, 점봉산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이 종유사성이 가깝게 나타났으며, 용늪과 질뫼늪도 종유사성이 비교적 가깝게 확인되었다. 이것은 지형의 차이에 의해 유역이 발달함에 따라 상층의 목본식물의 발달 정도에 차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습원 내의 식물상 유사성은 심적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이 가장 가깝게 나타났으며,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도 종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절대습지식물(Obligate wetland plant, OBW)의 유사성은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심적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 또한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원 내의 식물상과 절대습지식물의 유사성은 지형의 차이보다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비슷하게 유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리적으로 제한된 공간에 분포하는 고유종은 기후상태 및 토양환경, 식물의 제한적 산포에 의하여 나타나며, 산지습지처럼 지리적으로 분리된 습지는 높은 고유성을 가진다(Park et al., 2011). 식물상의 유사성도 고유종에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대암산 용늪 및 심적 산림습원은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 흑삼릉(Sparganiumerectum L.), 왕비늘사초(Carex maximowiczii Miq.), 작은황새풀(Eriophorum gracile Koch) 등의 습원 고유종이 분포로 인하여 강원도 산림습원에서 유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면산 산림습원은 습원의 상부는 사초류 등이 발달한 용늪과 심적 산림습원의 형태를 보이며, 하부는 들메나무, 버드나무 등의 목본식물이 발달한 점봉산 산림습원과 비슷한 형태로 발달하여 독특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종유사성에서 유역의 식물상은 점봉산 산림습원과 습원 내 식물상과 절대습지식물은 심적 산림습원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적 요

산림습원인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및 면산 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식물상 및 식물상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92과 296속 468종 4아종 67변종 8품종 총 5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지역별로 살펴보면 심적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269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8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점봉산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303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8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소황병산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303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11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질뫼늪은 유역에서 209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1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면산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2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 1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탄산림습원으로 알려진 용늪,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및 면산 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유집분석한 결과, 종조성은 습지의 형태 및 지리적 분포와 비교적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습원의 유역의 식물상 유사성을 보면, 점봉산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이 종유사성이 가깝게 나타났으며, 용늪과 질뫼늪도 종유사성이 비교적 가깝게 확인되었다. 습원 내의 식물상 유사성은 심적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이 가장 가깝게 나타났으며,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도 종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대습지식물(Obligate wetland plant, OBW)의 유사성은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심적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 또한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s

  1. Bae, J.J., Y.S. Choo and S.D. Song. 2003. The patterns of inorgnic cations, nitrogen and phosphorus of plants in Moojechi moor on MT. Jeongjok. Korean J. Environ. Biol. 23(3):109-114 (in Korean).
  2. Choung, Y.S., W.T. Lee, K.H. Cho, K.Y. Joo, B.M. Min, J.O. Hyun and K.S. Lee.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atoration. Korea. p. 243 (in Korean).
  3. Choung, Y.S., W.T. Lee, K.Y. Joo, J.S. Lee, H.S. Seo, K.E. Lee and S.N. Seo. 2009. Review on the herbaceous flora of Keunyongneup in Mt. daeam, Korea. J. Basic Science 20:205-227 (in Korean).
  4. Choi, H.J. and H. Kweon. 2009. Flora monitoring of Yongneup, an alpine wetland, in Mt. Daeam. Korean J. Nature Conservation 3(2):93-104 (in Korean).
  5. Jang, B.O., S.U. Sin and K.R. Choi. 2006. Vegetation history of Wangdeungjae moor, Mt. Jiri in Korean peninsula. Korean J. Environ. Biol. 29(3):287-293 (in Korean).
  6. Joosten, C. 2002. Wise use of mires and peatland-background and principles including a framework for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Mire Conservation Group and International Peat Society.
  7. Kang, S.J. and A.K. Kwak. 2000.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high moor in Mt. Daeam. Korean J. Wetlands Res. 2(2):117-131 (in Korean).
  8.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Ⅰ.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9. Kim, J.G.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I. Sowhangbyungsan-neup. Korean J. Wetlands Res. 11(1):15-27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12. Lee, Y.N. 1969. Swamp plants on Mt. Dae-Am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Korean J. Pl. Taxon. 1(1):7-14 (in Korean).
  13.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14. Maddison, D.R. and W.P. Maddison. 2005. MacClade 4: analysis of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version 4.08a. http://macclade.org.
  15.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urder Borntraeger. Berlin. II Band.
  16. Mitsch, W.J. and J. G. Gosselink. 2007. Wetlands, 4 THed. John Wiley & Sons, New Jersey.
  17. Miyawaki, A., S. Okuda and R. Mochizuki. 1978.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co., LTD. Publishers, Tokyo, Japan.
  18. Nam, B.M., S. Jeong, M.G. Kim and G.Y. Chung. 2014. A floristic study of Mt. Myeonsan·Myobong (Taebaek-si, Samcheok-si, Bonghwa-gun)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7(5):501-517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4.27.5.501
  19.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a.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05 (in Korean).
  20. Park, S.J., B.R. An, S.Y. Jang and S.J. Park. 2011. Diversity of Moojechineup’s flora. Korean J. Pl. Taxon. 41(4):370-382 (in Korean).
  21. Park, J.H. and J.G. Kim. 2012.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2. Conservation area of Jilmoe-neup. Korean J. Wetlands Res. 14(1):101-120 (in Korean).
  22. Shin, Y.H., S.H. Kim and S.J. Park. 2005. The geochemical roles and properties of mountain wetland in Shinbulsan (Mt.). Korean J.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2(1):133-149 (in Korean).
  23. Son, M.W. and M.G. Chang. 2009. Formation processes of Hwaeomneup wetland, Cheonseong Mountatin. Korean J.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5(2):204-214 (in Korean).
  24. Son, H.J., Y.S. Kim, J.U. Yun, K.W. Chun and W.G. Park. 2014.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wetlands in Mt. Cheongok (Gyeongbuk Bonghwa). Korean J. Forest Society 103(3):313-320 (in Korean). https://doi.org/10.14578/jkfs.2014.103.3.313
  25. Tarnocai, C. 2006.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carbon in Canadian peatlands. Global Planet. Change (53):222-232.
  26. Yang, H.K. 2008. The hydrological roles and properties of Wangdeungjae wetland in Jirisan. Korean J.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5(3):77-85 (in Korean).
  27. Yoon, S.O., J.K. Min and S.I. Hwang. 2013. Pollen analysis of alpine wetlands on Mt. Jeombong in Gangwon-do, South Korea and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Korean J.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4):101-115 (in Korean).
  28. Yoon, S.O., J.K. Min and S.I. Hwang. 2014. The climatic change during the historical age inferred from vegetation environment in alpine moor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1(4):69-83 (in Korean).

Cited by

  1. Community Analysis of Endophyt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habiting Mujechi-neup vol.26, pp.12, 2016, https://doi.org/10.5352/JLS.2016.26.12.1446
  2. Vegetation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an Eco-technological Water Purifying Biotope in Yongin vol.20, pp.4, 2018, https://doi.org/10.17663/jwr.2018.20.4.432
  3. 필댐 하류사면 자생식물의 습생지수 결정 vol.61, pp.1, 2015, https://doi.org/10.5389/ksae.2019.61.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