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s

국가고시를 앞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8.18
  • Accepted : 2016.09.20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s. A convenience sample of 212 nursing students was obtained from three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December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The mean score for test anxiety was located in the middle range, with the score of $2.84{\pm}0.53$; those fo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located higher in the 1-5 scale, each scoring $3.50{\pm}0.54$ and $3.72{\pm}0.48$. Test anxiety correlated negatively with self-efficacy (r=-.32, p<.001), social support (r=-.27, p<.001), friends support (r=-.21, p=.002), family support (r=-.25, p<.001) and professor support (r=-.14, p=.038).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gender explained 13.0% of participants' test anxiety (F=11.01, p<.001).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th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will be helpful for nursing students to relieve their test anxiety.

이 연구 목적은 국가고시를 앞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3개 간호대학의 212명 학생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자료는 2015년 12월동안 자가기입식 질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s과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시험불안의 평균은 2.84(${\pm}0.53$)로 중간 정도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평균은 각각 3.50(${\pm}0.54$)과 3.72(${\pm}0.48$)로 중간이상이었다. 시험불안은 자기효능감(r=-.32, p<.001), 사회적지지(r=-.27, p<.001), 친구지지(r=-.21, p=.002), 가족지지(r=-.25, p<.001), 교수지지(r=-.14, p=.038)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성별은 시험불안을 13%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높이는 것은 시험불안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임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인숙, "라벤더 향이 국가시험을 앞둔 간호과 학생들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87-94, 2006.
  2. 이미현, 박미숙,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63-87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63
  3. 최승혜, 이해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808-81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808
  4. 조수철, "시험불안의 개념과 이론,"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권, 제1호, pp.3-10, 1991.
  5. 이종화, 김희영, "자아존중감, 가족의 지지 및 지각된 건강상태가 성인수험생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74-180, 2007.
  6. 조수철, 정 영, 홍강의, 신민섭, 성영훈, "시험불안과 우울, 특성불안 및 상태불안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2권, pp.225-236, 2001.
  7. KEDI, "'14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발표," 한국교육개발원 보도자료, 2015.12.16. Retrieved February 5, 2016, from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b site : https://www.kedi.re.kr/khome/main/announce/selectBroadAnnounceForm.do?selectTp=0&article_sq_no=30069&board_sq_no=3¤tPage=0&doc_use_yn=N
  8. 이선혜, 김진경, "간호대학생의 국가고시 관련 시험불안,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77-185, 2010.
  9.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0. A. Bandur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4, No.3, pp.359-373, 1986. https://doi.org/10.1521/jscp.1986.4.3.359
  11. R. D. Caplan, A. D. Vinokur, R. H. Price & Ryn, and M. Van, "Job seeking, reemployment, and mental health: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in coping with job lo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4, No.5, pp.759-769, 1989. https://doi.org/10.1037/0021-9010.74.5.759
  12. 박혜랑, 상태-특성불안, 자기효능감, 행동억제체계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송영숙, 강희영, 최은영.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창립 40 주년 나이팅게일 서거 100 주년 기념 학술대회, p.222, 2010.
  14. 전화선, 여고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시험불안의 관계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5. 한미현, 유안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73-188, 1996.
  16.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제22권, 제1호, pp.23-33, 2014.
  17. 박정희, 박정미, "2010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시험불안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제31권, 제6호, pp.125-134, 2010.
  18. 정종희, 정현희, 이귀숙, "부모의 성취압력이 중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6권, 제3호, pp.377-393, 2009.
  19. T. Brewer, "Test-taking anxiety among nursing & gener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Vol.40, No.11, pp.22-29, 2002.
  20. 김영희, "간호대학생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료분석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003-2014, 2011.
  2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2. 김선희, 쪽방거주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3. Y. M. Lee, R. Schwarzer, and M. Jerusalem,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1994. Retrieved October 2, 2015. from http://web.fu-berlin.de/gesund/publicat/ehps_cd/health/korean.htm
  24. C. D. Spielberger, H. P. Gonzalez, and C. J. Taylor, Tes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1980.
  25. 김이례, 사회적 지지와 고등학생의 학업 자아개념 및 시험불안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6. 김영선, 김영희, "뇌 호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51-261, 2009.
  27.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621-631, 2002.
  28.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05-213, 2006.
  29. 박병기, 임신일,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875-894, 2010.
  30. 이영식, 성종호, 손인기, "청소년의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환경적 요인,"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1권, 제1호, pp.16-26, 2000.
  31. 조영미,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 및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2. 임순연, 조영식, 배현숙,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귀인성향,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13-323, 2011.
  33. 염시창, 박현주, "일반계 여고생의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시험불안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2권, 제1호, pp.19-35, 2005.

Cited by

  1.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Stres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Nursing Students vol.23, pp.5, 2017,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5.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