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개념 수준이 수업곤란도, 수업만족도, 수업평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Concept Level on the Teaching Difficulty, Teaching Satisfaction, and Class Evaluation

  • 투고 : 2016.12.01
  • 심사 : 2016.12.24
  • 발행 : 2016.1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개념 수준에 따라서 수업곤란도, 수업만족도, 수업평가는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P교육대학교 1학년 1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과학 '지구와 우주'영역의 개념수준에 따라서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이들 집단의 수업곤란도, 수업만족도, 수업평가에 대한 사전 사후 점수의 결과를 추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개념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수업곤란도가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개념수준이 높으면 수업단원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개념수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수업만족도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지만,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수업의 만족도는 교수자의 능력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수준이나 학습 환경 등 다른 요인이 더 많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수업자의 언어구사능력, 상호작용 능력 등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개념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수업평가 점수가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개념수준이 높으면 수업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concept level on teaching difficulty, teaching satisfaction, and class eval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17 first grad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P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is study, 117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cience concept level, and teaching difficulty, teaching satisfaction, and class evaluation score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pre - service teacher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science concept showed significantly lower teaching difficulties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This shows us that i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high science concept level, they can teach primary school science more effectively. Second, the elementary pre - service teacher group with high level of science concept got higher score on teaching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science concept, but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lementary pre - service teachers with higher science concept leve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class evaluation than those with lower concep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석(2007).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교육과정연구, 25(2), 1-35.
  2. 고민석(2010).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곤란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영순(2005). 과학과 수업평가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94-502.
  4. 곽정실(2009).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 권재술(1994). 학교 과학교육의 과제와 과학교육 연구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103-108.
  7. 김상윤(2008). 과학과 물질영역에서 초등교사의 수업곤란도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순식(2012).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수업에 대한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45-255.
  9. 김순식, 이용섭(2014).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33-143.
  10. 김예슬, 송수민, 유찬송, 이용섭(2012).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과학과 수업에 대한 연구, 부산 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학회지, 27, 72-81.
  11. 김옥희(2006).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 수업의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혜(2009). 초등학교 고학년 과학수업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병찬(2015). 창의.인성교육 기반 지구과학 수업모형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97-308.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297
  14. 서근원(2007). 수업을 왜 하지? : 수업으로 읽는 우리교육. 우리교육.
  15.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 권용주, 정재구, 서지혜, 이혜정(2004).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74-84.
  16. 유주선(2009). 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도와 만족도에 관한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3(1), 74-84.
  18. 이영덕(1985). 교육의 과정. 서울 : 배영사
  19. 이종승(2002).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이희원, 김영수(2004). 과학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 과한 평가 준거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8-359.
  21. 임아름(2014). 초등 과학과 '전기회로'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교수.학습 곤란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임재근(2006). 좋은 수업을 하는 과학 교사의 수업 특성 및 전문성 발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하나(2012). 초등 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의 교수.학습 곤란도와 원인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효해(2003). 초등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교수학습 에 대한 곤란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와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26. 홍상현(2003). 초등학교 교사의 소리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황선미(2011). 초등학교 초임 교사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과학 불안 및 태도 인식 조사. 대구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Feldman, S. (1998). A Teacher Quality Manifesto, keynote speech to AFT's 1998 Convention, July 17, 1998.
  30. Sergiovani, T. J., Starratt, R. J.(1983). Supervision: A redefinition(6th ed). Boston: McGraw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