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Amygdalaceae in Korea

한국산 앵도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本草學的) 연구

  • Jeong, Jong-Gil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정종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Received : 2015.12.14
  • Accepted : 2016.01.15
  • Published : 2016.01.30

Abstract

Objectives :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herbology of the plants belonging to Amygdalaceae in Korea. The literatures of the successive generations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to prepare this article.Methods : The 22 herbological books and research paper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were researched into their total catalog, medicinal plants, distribution, medicinal properties, actions etc.Results : There are totaled to 1 genus and 48 species in Amygdalaceae in Korea and among them, medicinal plants were 1 genus, 17 species, some 35 % in total. The Fructus is the main medicinal parts in the Amygdalaceae, which was used in 18 species. According to nature and flavor of medicinal plants in the Amygdalaceae, they were classified into balance 22 species, and warm 11; bitter taste 23, sweet taste 14 and sour taste 13 in the order. According to meridian propism of medicinal plants in the Amygdalaceae, they were classified into large intestine meridian 13 species, lung and liver meridian 11 speci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principal curative ac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drugs for activation of blood 11 species, drugs for detoxification 10 species, drugs for clearing away heat 9 species in the order. The number of toxic species in the Amygdalaceae was examined to be 5 species.Conclusions : Among 48 species in Amygdalaceae in Korea, medicinal plants are 17 species, and are mostly used for drugs for activation of blood, which are 11 species.

Keywords

서 론

원시시대의 인류는 자연계와 살아오는 과정 가운데서 약이 되는 물질을 탐구할 때 사람이 직접 먹어 보거나 또는 맛을 보아 그 물질에 대한 특수 작용을 시험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류가 약물에 대한 지식을 알게 되었고 또 생활 속에서 살아오는 동안이나 또는 같은 질병을 누차 치료하는 동안 끊임없는 창조와 풍부한 경험을 쌓고 쌓아서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1). 특히 앵도과 식물은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목본형태로 대다수가 존재한다. 종자나 잎에는 Amygdalin, Prunasin 등의 청산배당체가 널리 분포하며, 그 외 탄닌, 지방산 에스텔, 유기산류, Saponin등 여러 종류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용으로 이용되는 식물도 많다. 또한 과수나 원예식물로 재배되어 식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2).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한약재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약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자원이 고갈될 우려가 있으므로 鄕藥을 발굴, 개발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식생활에서 과일로 상용하는 살구, 매실 등의 앵도과 식물의 기원 및 약효 등을 정리 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연구된 논문으로는 韓國産 脣形科, 繖形科 植物에 관한 本草學的 硏究3)의 科別 식물에 관한 多數의 硏究 報告가 있었으나 앵도과 식물에 대한 조사 보고는 아직 접하지 못 하였다. 그러므로 저자는 국내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앵도과 식물에 대하여 문헌적으로 조사하여 정리함으로서 한의학 임상연구는 물론 한약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국내외에서 발간된 歷代 本草書, 약용식물 및 일반식물 문헌을 중심으로 〈中華人民共和國藥典〉외 22종을 조사하였다.

2. 방법

 

결 과

1. 한국산 앵도과 식물에 대한 조사

한국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앵도과 Amygdalaceae 식물을 조사한 결과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外 47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Notes. ⓜ : 藥用植物 Ra : 근류, Rh : 근경류, Fr : 과실류, Se : 종자류, He : 전초류, Fl : 화류, Fo : 엽류, Li : 경류, Lf : 경엽류. Co : 피류(근피, 수피).

2. 한국산 앵도과 식물중 약용식물에 대한 조사

表 1에서 약용식물을 조사하여 약용부위별로 분류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1) 根類

앵도과 약용식물중 根類는 이스라지나무 Prunus nakai Leveille 郁李根 외 9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2).

Table 2.The Radix of Amygdalaceae

2) 葉類

櫻桃科 藥用植物중 葉類는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inne杏葉 외 13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The Folium of Amygdalaceae

3) 花類

앵도과 약용식물중 花類는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inne杏花 외 7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4).

Table 4.The Flos of Amygdalaceae

4) 果實類

앵도과 약용식물중 果實類는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inne杏子 외 16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5).

Table 5.The Fructus of Amygdalaceae

5) 種子

앵도과 약용식물중 種子는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杏仁 외 14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6).

Table 6.The Semen of Amygdalaceae

6) 樹皮, 根皮

앵도과 약용식물중 樹皮, 根皮는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杏樹皮 외 9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7).

Table 7.The Cortex of Amygdalaceae

7) 木材 및 樹枝

앵도과 약용식물 木材 및 樹枝는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杏枝 외 10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8).

Table 8.The Lumber of Amygdalaceae

8) 樹脂

앵도과 약용식물중 樹脂는 복숭아나무 Prunus persica (Linne.) Batsch桃膠 외 2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9).

Table 9.The Resins of Amygdalaceae

9) 其他類

앵도과 약용식물중 기타는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 Sieb. & Zucc. 白梅 외 2종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0).

Table 10.The Besides of Amygdalaceae

3. 한국산 앵도과 약용식물의 분포 현황에 대한 조사

한국産 앵도과 식물은 총 1屬 48種이나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살구나무 P. armeniaca Linne 외 1屬 17種에 대한 전국적인 분포현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Table 11).

Table 11.Notes, North regions : North regions of line which connects Whang-hae-do Jangsangot and Hamgyeong-nam-do wonsanman Middle regions : Regions of line which connects Whang-hae-do Jangsangot, South area of Hamgyeong-nam-do, Chungcheong-nam-do Taean peninsula and Gyeongsang-buk-do Yeongilman South regions : Regions of line which connects Gyeongsang-buk-do Yeongilman and Chungcheong-nam-do Taean peninsula

4. 藥用部位別 分類에 따른 藥物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

1) 根類

根類 한약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2).

Table 12.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Radix in oriental drugs.

2) 葉類

葉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3).

Table 13.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Folium in oriental drugs.

3) 花類

花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4).

Table 14.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Fols in oriental drugs.

4) 果實類

果實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5).

Table 15.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Fructus in oriental drugs.

5) 種子類

種子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6).

Table 16.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Semen in oriental drugs.

6) 樹皮,根皮類

樹皮,根皮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7).

Table 17.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Cortex in oriental drugs.

7) 木材

木材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8).

Table 18.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Lumber in oriental drugs.

8) 樹脂

樹脂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19).

Table 19.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Resins in oriental drugs.

9) 其他

其他類 韓藥의 性味, 歸經, 效能 및 主治는 다음과 같다(Table 20).

Table 20.Properties, Meridian, Tropism, Action, Application of Besides in oriental drugs.

 

고 찰

인류가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면서 몸에 이로운 식물과 해가 되는 식물을 점차 알게 되고 이러한 지식의 축적과 문자의 발명으로 체계적인 하나의 학문을 이루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本草學이다.

특히 東漢末에 《神農本草經》이 완성된 뒤로 本草學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明代에 李時珍에 의해 완성된 《本草綱目》은 약물의 가지 수와 내용면에서 本草學의 금자탑을 이루었다. 그 뒤로 많은 약물이 추가되었으며 다수의 서적이 출간되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中國의 서적의 도입을 통한 藥物學의 발전을 가져 왔으며 특히 조선시대 세종때 國産 鄕藥을 이용한 질병치료에 이용하고자 《鄕藥集成方》이 출간되어 국내의 本草學 발전에 크게 기여 하였다. 그 뒤로 《東醫寶鑑》이 출간되는 등 韓醫學의 발전은 계속되었으나 本草學의 발전은 미흡하였다.

최근에 이르러 韓醫學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약물의 자원문제와 정확한 起源植物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앵도과 Amygdalaceae 식물은 매실, 살구, 복숭아, 앵도 등을 식용 및 약용으로 다용하였다.

앵도과 식물 중 효능에 관한 연구는 행인은 MC/9 비만세포에서 행인(杏仁) 추출물의 Th2 cytokine 발현 억제 효과 및 신호전달 기전 연구23), 행인의 알레르기 천식 효과에 대한 연구24)등이 연구되었으며, 귀룽나무는 약리학적 연구로 귀룽나무의 쎄레브로사이드 및 페놀성 성분25)등이 연구되었다. 매실의 효능에 관한 연구로는 매실추출물이 활성산소종 소거효과와 B16F1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26), '인체 백혈병세포에서 매실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27)등이 연구 되었다. 특히 매실은 東醫寶鑑 등 각종 처방에 사용되고 있으며 매실을 주재료로한 처방에는 梅花湯, 醍醐湯, 烏梅木瓜湯, 烏梅湯, 烏梅丸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농산물 수입개방,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농업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으나 저농약, 저노동력으로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매실의 대표적 약리성분인 구연산은 피로의 원인이 되는 유산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신경통, 류마티스 등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하여 호르몬으로 알려진 파로틴(Parotin)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노화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살구의 종자에는 아미그달린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항암효과 외에도 통증완화, 혈압조절, 조혈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22). 앵도과Amygdalaceae 식물은 杏仁, 桃仁, 烏梅, 郁李仁 등을 약용으로 사용하였으나 本草學的인 문헌 조사는 없었으므로 문헌적으로 총 목록을 작성하였고 이중 약용식물을 정리하여 그 약용 부위와 起源, 韓藥名, 韓國名, 性味, 歸經, 效能, 主治, 毒性 등과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앵도과 Amygdalaceae 식물은 총 1屬 變種을 包含하여 48種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가운데 약용식물은 살구나무 P. armeniaca Linne외 17種으로 조사되었다.

앵도과 Amygdalaceae 식물중 藥用植物은 18種으로 조사되었으며 각각의 약용부위에 따라서 중복하여 根, 葉, 花, 果實, 種子, 樹皮·根皮, 木材·樹枝, 樹脂 등의 약용 부위로 분류하였다.

그중 根類 藥物은 이스라지나무 Prunus nakai Leveille 郁李根 외 9種, 葉類 藥物은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inne 杏葉 외 13種, 花類 약물은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inne 杏花 외 7種, 果實類 藥物은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inne 杏子 외 16種, 種子類 藥物은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 杏仁 외 14種, 樹皮·根皮類藥物은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杏樹皮 외 9種, 木材·樹枝類 藥物은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 杏枝 외 10種, 樹脂類는 복숭아나무 Prunus persica (Linne.) Batsch 桃膠 외 2種이다. 그 외에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 Siebold. & Zuccarini.의 미성숙한 과실을 40 ℃ 內外의 低溫으로 2~3시간 불에 쬐어 말리되 일반적으로 과육이 황갈색을 띠면서 주름이 생길 때까지 말린 다음 2~3일 뚜껑을 덮고 加溫 하거나, 靑梅를 볏짚이나 왕겨를 태우는 매연 속에서 훈증하여 흑색이 되도록 건조하여 가공한 烏梅, 梅實의 未成熟 과실을 밤에는 소금에 담갔다가 낮에는 햇볕에 말리기를 10일 동안 되풀이 하여 加工한 白梅, 복숭아나무·복사나무 Prunus persica (Linne.) Batsch 산복사나무· 산복숭아나무 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et 의 미성숙 과일을 건조한 碧桃乾, 복숭아나무·산복숭아나무의 과실에 붙은 털을 桃毛라 하여 약용한다.

앵도과 Amygdalaceae 藥用植物 중에서 果實類가 18種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분포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문헌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北部, 中部, 南部, 濟州, 울릉도등 곳곳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各 약물의 起源에서 櫻桃는 Prunus pseudocerasus Lindl로 우리나라에는 없는 식물로 喬木으로 中國의 中南部에 자생하는 식물이고, 文獻上 櫻桃, 櫻桃水, 櫻桃核, 櫻桃葉, 櫻桃枝, 櫻桃花의 起源植物 이다. 우리나라에서 앵도나무로 栽培되는 植物은 Prunus tomentosa Thunb로 《本草綱目》에 山櫻桃로 기재되어 있다. 郁李仁은 이스라지나무 Prunus japonica Thunb. var. nakaii (Lev.) Rehder·산이스라지나무 Prunus ishidoyana Nakai·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Thunb·풀또기 Prunus triloba Lindley var. truncata Komar를 起源植物로 하고 있으나 郁李仁의 起源植物은, 郁李 Prunus japonica Thunb·歐李Prunus Humilis Bge·長梗扁桃 Prunus pedunculata (Pall)Maxim로 국내에는 없는 식물로 우리나라의 식물은 변종이거나 同屬 近緣植物로 조사 되었다. 甛杏仁은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 var. ansu Maxim.로 다른 起源植物이 存在하는 것이 아니라 杏仁 중에서 種仁이 甘味를 가진 것을 甛杏仁으로 苦味를 가진 것이 苦杏仁으로 藥用하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性味, 歸經, 效能, 主治는 根類藥物에서는 平性藥이 2種, 凉性藥이 2種, 寒性藥이 1種으로 平·凉性藥物이 가장 많았고, 苦味가 3種, 酸·澁味가 各各 1種으로 苦味가 가장 많았고, 歸經은 肝經이 1種으로 가장 많았으며, 效能은 淸熱·解毒藥物이 3種, 活血·利濕·殺蟲藥物이 各各 2種으로 淸熱·解毒藥物이 가장 많았다.

葉類 藥物에서는 平性藥이 3種, 寒性藥物이 1種, 苦·酸·辛味가 2種이었고, 肝經이 2種으로 가장 많았으며, 效能에 있어서는 淸熱·解毒·祛風藥物이 各各 2種으로 나타났다.

花類 藥物에서는 平性藥과 苦味 그리고 肝經에 歸經하는 藥物이 가장 많았고, 活血藥物이 2種으로 調査 되었다.

果實類 藥物에서는 溫性藥이 3種, 平性藥이 3種으로 나타났으며, 甘味가 5種, 酸味가 4種으로 酸·甘味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大腸經과 肺經에 歸經하는 藥物 많았다. 效能에서는 生津藥物이 4種, 澁腸·止瀉藥物이 各各 3種으로 대부분 食用할 수 있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種子類 藥物은 平性藥物이 6種, 溫性藥이 2種이었고, 甘味가 7種, 苦味가 6種, 辛味가 5種으로 平性과 甘味를 가진 藥物이 많았다. 歸經에 있어서는 大腸經이 5種, 肺經이 4種으로 大腸經으로 歸經하는 藥物이 가장 많았고 止咳平喘藥物이 가장 많았다.

以上의 내용을 종합하면 性味에 있어서 平性藥物이 22種, 溫性藥이 7種이었고, 苦味가 23種, 甘味가 14種, 酸味가 13種으로 平性과 苦味를 가진 藥物이 많았다. 歸經에 있어서는 大腸經이 13種, 肺·大腸經으로 歸經하는 藥物이 各各 11종으로 조사되었다. 效能 및 主治症에 있어서는 活血藥物이 11種, 解毒藥物이 10種, 淸熱藥物이 9種으로 活血藥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毒性을 띠고 있는 藥物은 杏子7,23), 桃子7,23), 杏仁1-3,5,7,9-11,15,17,20-21,23), 桃仁11), 郁李人11)에서 小毒 및 微毒, 有毒으로 조사되었다.

앵도과 Amygdalaceae 식물은 과실류의 약용식물이 가장 많아서 溫·平하고, 甘·酸한 藥性에 의해서 生津·澁腸·止瀉 작용을 하고, 전체적으로는 平하고, 苦·甘·酸하여 活血·解毒·淸熱 작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앵도과 Amygdalaceae 식물 중에서 아직 개발하지 못한 부분을 좀더 연구하여 임상에 활용해야 할 것이며 기원식물의 種數가 다양한 것과 近緣植物을 약용하는 것 들은 실험적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아직 정리하지 못한 다른 科의 식물들도 이러한 문헌적 고찰을 통한 기원식물을 조사하여 임상과 실험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국내에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앵도과 Amygdalaceae에 대하여 국내외적인 문헌과 국내의 조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조사한 뒤에 총 목록을 만들고, 그 가운데서 한약이나 민간약으로 이용가능한 약재를 조사하여 그 분포현황에 관한 조사와 약용부위에 따른 韓藥名·學名 및 韓國名 등과 약물의 性味, 歸經, 效能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아울러 독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References

  1. Shin MK. The clinical herbal medicine. Seoul :Younglimsa. 2002 : 540-1, 776-8, 781-2, 824-5.
  2. Korea Medicinal Plant Research Council. Medicinal plants, comprehensive studies. Seoul : School history Company. 2001 : 190-6.
  3. Ro BK. A Herba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Labiatae in Korea. Leeri.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91.
  4. Jiangsu xinyixueyuan. Zhongyao dacidian. Vol. zhong.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78 : 254.
  5.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honghuabencao. Vol. 2.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99 : 67-299.
  6. Shin MJ, Jeong BB. A unabridged picture dictionary of Hyangyak(herb medicine). Seoul : Younglimsa. 1990: 607-58.
  7. Kim JG.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Vol 1). Seoul : Namsandang. 1984 : 406-37.
  8. Yan JG, Lee, ML. Zhongguo changbaishan yaoyong zhiwu caise tuzhi.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75 : 211-3, 410-1, 488-92, 662-4.
  9. Zhu YC. Northeast Medicinal plant. Harbin : Heilongjiang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89 : 494-561.
  10. Yan JG, Lee ML. Zhongguo changbaishan yaoyong zhiwu caise tuzhi.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 : 307.
  11. Sang MK. Medicinal Plants of Receive Treatments for Cancer. Sangdam City : Honam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87 : 32-3, 36-8, 66-8, 79-80, 86-8, 119-22, 155-6, 267-8.
  12. Chinese pharmacopoeia commissio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harmacopoeia. Beijing : Chemistry industry publishing house. 2005 : 54, 140-1, 144, 196-7, 218.
  13. Yan JG, Lee ML. Zhongguo changbaishan yaoyong zhiwu caise tuzhi.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97 : 214-39.
  14. Yang CL. Poison and Herb. Beijing :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Publishers. 1993. 347-8, 528-30, 619-22, 647-8, 762-7.
  15. Jeong KH. The Medicinal Botany.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85 : 141-6.
  16. Choi SD. The Dictionary of Chinese Herb. Harbin : Heilongjiang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89 : 187-8, 428-30, 647-8, 658-60.
  17. Huh J. Original dongyibogam. Seoul : Namsandang. 1981 : 185-98, 262, 276, 324.
  18. Dhal MG. Lu XR. The Botany and Herbalogy Text.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94: 426-39, 1011-4, 1255.
  19. Jiangsu xinyixueyuan. Zhongyao dacidian. Vol. zhong.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78 : 896-901, 1468-72, 1526-8, 1744-5, 2802-4.
  20. YR. Lee. The color illustrates of Korean plants. Seoul : Gyohaksa corporation. 1997 : 301-62.
  21. Lee WC. The standard color illustrates of Korean plants. Seoul : Academy-Book Publishers. 1996 :157-84.
  22. Lee CB. The illustrates of Korean plants. Seoul :Hyangmunsa 1980 : 450-6.
  23. Kang KH, Han JK, Kim YH. The Suppressive Effect on Th2 Cytokines Expression and the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 in MC/9 Mast Cells by PRAL. J Korean Orient Ped. 2014 ; 28(2) : 23-39. https://doi.org/10.7778/jpkm.2014.28.2.023
  24. Hwang DR, Kang YS, Kim SS, Kim DH, Shin MK, Song HJ. Studies on the Allergic asthma effect of Semen Armeniaceae Amarum. Kor J Herbol. 2003; 18(2) : 201-8.
  25. Na DS, Yang MC, Lee KH, Lee KR. Cerebrosides and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padus L. Korean J Pharm. 2006 ; 37(3) : 125-9.
  26. Park HJ, Kim MM, Oh Y. Effect of fruit extract of Prunus mume on the scavenging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 cells. J Life Sci. 2012 ; 22(7) : 936-42. https://doi.org/10.5352/JLS.2012.22.7.936
  27. Chung YJ, Park C, Jeong YK, Choi YH. poptosis Induction by M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Fruits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J Life Sci. 2011 ; 21(8) : 1109-19. https://doi.org/10.5352/JLS.2011.21.8.1109

Cited by

  1. 한국산 수련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vol.31, pp.4, 2016, https://doi.org/10.6116/kjh.2016.31.4.19.
  2. 한국산 현호색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vol.31, pp.4, 2016, https://doi.org/10.6116/kjh.2016.31.4.27.
  3. 한국산 양귀비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vol.31, pp.5, 2016, https://doi.org/10.6116/kjh.2016.31.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