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lication for Construction Computing System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 유병건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5.12.28
  • Accepted : 2016.03.03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extbook is a tool that helps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ill be constructed newly because revised curriculum 2015 was announced. The aim at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ication of the textbook writing.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textbook of informatics currently being used in middle schools and to derive the direction of access to the newly configured physical computing unit.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was used Romey. The pilot studied makes lesson harmonized with H/W and S/W by utilizing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is one textbook among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that is suitable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hinking and in the case of physical computing unit, inquiry instruction showed positive results. This study suggestions necessity of writing types that sets importance on activities in the form of textbook.

교과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도구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도 새롭게 구성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집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내용요소 분석과 새롭게 구성되는 피지컬 컴퓨팅 영역에 대한 접근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내용의 탐구적 경향은 Romey 분석을 사용하였고, 파일럿 스터디는 로봇을 활용하여 H/W와 S/W의 조화로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 중에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 도움에 적합한 교과서는 한 권이었으며, 피지컬 컴퓨팅 영역의 경우 탐구적 수업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과서 구성에서 활동을 중시하는 형태의 집필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arsh, C.(1996). Key Concepts for understanding curriculum. London: Falmer Press.
  2. 최동근 외(1997). 교육방법의 공학적 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3. 교육부 제 2015-74호 [별책1](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4. 연구자료 ORM 2015-18(2015). 2015 정보과 교육과정 시안 공개토론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강옥미(2001). 웹기반 언어학 탐구학습 개발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17(1), 37-55.
  6. Barry K. Beyer(1971). Inquiry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Strategy for teaching.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7. Looi, C. (1998).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promoting inquiry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Systems, 27(1). 3-22. https://doi.org/10.2190/L4Q4-8QMM-QPJ3-B5LJ
  8. 강성구, 양창모(2004). 초등학교 정보 통신 기술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8(2), 213-225.
  9. 한규정(2008). 초등학교 정보통신 기술 교과서의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2(3), 347-354.
  10. 김자미, 노현아, 이원규(2011). 현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정보'교과서 '정보기기'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3), 1-12.
  11. 김자미, 심재권, 김지민, 이원규, 박두순 (2012). 중학교 '정보' 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정보처리학회. 19-A(1), 9-16.
  12. 김자미, 윤일규, 김용천, 최지영, 이원규 (2011). 2009년 검정교과서로 채택된 '정보' 교과서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5(2), 253-264.
  13. 김자미, 장윤재, 이원규(2011).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7), 3022-3029. https://doi.org/10.5762/KAIS.2011.12.7.3022
  14. 강오한(2014). 2009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2), 1-9.
  15. 강오한, 박정미(2013). 공업계 고등학교 '정보기술 기초' 교과서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3), 485-494.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485
  16. 강오한, 김병순(2012).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4), 61-69.
  17. 교육부 제 2015-74호 [별책10](2015). 정보과교육과정. 교육부.
  18. 교육부 제 2007-79호 [별책10](2007). 실과 교육과정. 교육부.
  19. 교육부 제 2011-361호 [별책10](2011). 실과 교육과정. 교육부.
  20. Barnes. D. J(2002). Teaching introductory Java through LEGO MINDSTORMS models. ACM SIGCSE Bulletin, Proceedings of the 33rd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34(1), 147-151.
  21. JaeKwoun Shim, WonGyu Lee, JaMee Kim(2014). A Study on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Robot Simulation tool in Robot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425-433.
  22. In-Han Yoo(2009).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ogramming robots and learning of Informatics Educatio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2), 313-331.
  23. A. Cruz-Martin, J.A. Fernandez-Madrigal, C. Galindo, J. Gonzalez-Jimenez, C. Stockmans-Daou, J.L. Blanco-Claraco(2012). A LEGO Mindstorms NXT approach for teaching at Data Acquisition, Control Systems Engineering and Real-Time Systems undergraduate courses. Computers & Education. 59, 974-988. https://doi.org/10.1016/j.compedu.2012.03.026
  24. Norman. D. A(1994). Things that make us smart: 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25. Ornstein, A. C.(1994). The textbook-driven curriculum.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Taylor & Francis, Ltd. 69(3). 70-85. https://doi.org/10.1080/01619569409538778
  26. Schmidt. M. (1983). Textbook selection criteria handbook II. WA: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1-11.
  27. Dover(1987). State policy and guidelines for selecting textbooks and other instructional materials. Delaware State Dept. of Public Instruction. 1-17.
  28. Huetteman. J. D. (1989). Instrument for textbook assessment. Maryland state dept. of education. Baltimore. Div. of library development and service. 1-12.
  29. Romey W. D. (김승행, 임영득 편역)(1982). 탐구적 과학지도 기술. 현대과학신서 110. 서울: 전파과학사.
  30. Marsh, colin, J.(2004). Key concepts for understanding curriculum(3rd.), New York: Routledge Falmer.
  31. Yongcheon Kim, Wongyu Lee, Jamee Kim(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for Learning Object-Oriented Concepts using Arduino and Physical Etoy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9(21), 8271-8282.
  32. YunJae Jang, WonGyu Lee and JaMee Kim(2015). Assessing the Usefulness of Object-based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rduino.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8(S1), 8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