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 분석

  • Received : 2016.02.26
  • Accepted : 2016.06.1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by analyzing how a teacher's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and questioning strategies affect class participation and problem solving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As for the purpose, after recording 7th grader's classroom using a peer mentoring and transcribing classroom discourse, we analyzed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for class participation and questioning strategies for help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and compared mathematics achievements in mid-term and final exams. As results, in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comfortable atmosphere, diverse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and appropriate questioning strategies with effectiveness of peer mentoring encourag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by motivating them, helped them to develop mathematical concepts and deepen understanding of problem solving through effective social interactions, and improved student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results can practically help to develop class design considering both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by specifically presenting a teaching method for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and teacher's contributions to it.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멘토링을 이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이 어떻게 학생의 수업 참여와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료 멘토링 방법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수업과정 중에서 대표적인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자료 수집 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참여전략과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1학기말 수학 성취도와 2학기말 수학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료 멘토링에서의 편안한 분위기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환경에서의 다양한 수업 참여전략과 멘토링의 효과성에 따른 교사의 적절한 발문은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 수업 참여를 촉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적 개념 형성과 문제해결 과정에 도움을 줌으로써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법과 교사의 역할과 기여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을 동시에 고려하는 수업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이동환, 고은성 (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수학교육, 51(2), 173-189.
  2. 김남희 (2002).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사례방법. 학교수학, 4(4), 617-631.
  3. 김명자, 안성신 (2008). 가정과 수업에서의 동료멘토링 활용 효과. 생활과학연구지, 24, 79-98.
  4. 김은주, 김민규, 임은비 (2012). 유능성과 관계성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 연구, 50(1), 193-225.
  5. 김은주, 도승이 (2009).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유능감 및 관계성 욕구와 내재동기 및 수업참여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23(1), 181-196.
  6. 김종두 (2000). 교육과 의사소통. 서울: 양서원.
  7. 김종렬 (2014).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1), 93-113.
  8. 김종렬, 이은주 (2012). 초, 중학교급별 교실목표구조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6(3), 817-835.
  9. 박소영 (2004). 학생의 자발적 참여 제고를 위한 학생변인과 교사변인. 교육행정학연구, 22(2), 91-108.
  10. 백정은, 권혁진 (2007).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4), 487-504.
  11.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12. 안미경 (2009). 동료멘토링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의 일차함수 학습에 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3. 유한구 (2001).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69-84.
  14. 윤보경, 김수연 (2011). 또래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8(1), 65-84.
  15. 이금선, 강옥기 (2008).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반성에 대한 준거 제안. 학교수학, 10(2), 199-222.
  16. 이제행 (2010). 동료멘토링의 홀리스틱 교육적 활용과 전략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14(3), 1-20.
  17. 정현식 (2005). 동료 멘토링 기법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학습 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
  18.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19. 차민정, 김창민, 권혜정, 조형대, 이주영, 정수정, 박은아, 문유, 왕몽, 서종원, 지종민, 장문, 박미선, 이예다나, 김규동, 이림, 박하식, 유세종, 김정주, 박인우 (2010). 학습자의 수업참여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22(1), 195-219.
  20. 차지혜, 최상호, 김동중 (2015). 또래교수법이 수학 문제해결과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8(2), 203-221.
  21. 하정숙, 박종호 (2010).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1(2), 93-109.
  22. 한정민, 박만구 (2010).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23. 현종익, 이학춘 (2002).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동남기획.
  24. Ames, C., & Archer, J. (1987). Mothers' beliefs about the role of ability and effort in school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4), 409-414. https://doi.org/10.1037/0022-0663.79.4.409
  25. Ames, C., &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60-267. https://doi.org/10.1037/0022-0663.80.3.260
  26.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s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4554
  27. Boaler, J., & Brodie, K. (2004). The importance, nature and impact of teacher questions. Proceedings of the 26th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pp. 774-783). Toronto, Canada.
  28. Fredricks, J. A., Blumenfeld, P. C., & Paris, A. H.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1), 59-109. https://doi.org/10.3102/00346543074001059
  29. Jang, H., Reeve, J., & Deci, E. (2010). Engaging students in learning activities: it is not autonomy support or structure but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3), 588-600. https://doi.org/10.1037/a0019682
  30. Lobato, J., Rhodehamel, B., & Hohensee, C. (2012). "Noticing" as an alternative transfer of learning proces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 433-482. https://doi.org/10.1080/10508406.2012.682189
  31. Marks, H. M. (2000).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1), 153-184. https://doi.org/10.3102/00028312037001153
  32. NCTM (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Reston, VA: NCTM.
  33. Schwartz, C. (2015). Developing the practice of teacher questioning through a K-2 elementary mathematics field experience. Investig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7(3), 30-50. https://doi.org/10.1080/24727466.2015.11790344
  3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2307/1175860
  35. Weaver, R. R., & Qi, J. (2005). Classroom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6(5), 570-601. https://doi.org/10.1353/jhe.2005.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