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 Received : 2016.02.02
  • Accepted : 2016.04.28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trends of research in STEAM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shed articles in Korea on STEAM education between 2011~2014. By looking into the research trend, this study check out research's achievements for four years and suggest guiding light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f STEAM education. The number of papers of STEAM education had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11 to 2014 but the increase in research tended to stall by 2014. In 2014 the research for kindergartens started to increase and research for slow learning students and special students was done.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studies published relating to the curriculum, many studies centered in the study of the actual and science curriculum which took a large portion since the adoption. In the kindergarten and university level, the study based on art showed the highest whil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the actual and science curriculum took a major portion in its studies. The general academic associations continue to expand their research area with regard to STEAM education while the academic related associations show a 16% decline in its number of studies published when comparing 2014 to 2013. A higher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ies are needed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while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on education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share the program that contains the distribu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and its utilization. In addition, a long-term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ing candidates and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관련 논문 271편에 대해 발행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 발행 기관별로 연구 성과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결정하는 지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의 논문 게재 수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2014년에는 연구의 증가 추세가 주춤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013년부터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고, 2014년에는 유치원 대상의 연구의 증가와 부진 학생과 특수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유치원과 대학교급에서는 미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고, 초.중.고등학교급에서는 실과와 과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 학문 분야에서는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반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2014년에 논문 게재 편수가 2013년에 비하여 약 16% 감소하였다. 앞으로 융합인재교육 연구에 있어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연구 방법론이 더 높은 비중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프로그램 보급 및 활용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와 교육정책 및 제도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예비 교사 및 현장 교사의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와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김태훈(2014).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4(6), 1025-1038. https://doi.org/10.9722/JGTE.2014.24.6.1025
  2. 교육부(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저자.
  3.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4. 김민정, 조형숙, 김대욱(2014). 국내 초등학교 STEAM 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교 육에서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4(4), 139-161.
  5. 김방희, 김진수(2014).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을 활용한 STEAM 교육의 연구 논문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674-682.
  6. 김지숙(2014). 기술학에서의 융합교육(STEAM) 실현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21-38.
  7. 김진수(2007). '공학교육연구' 논문들에 대한 연구 방법론과 내용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0(2), 19-43.
  8. 노희진, 백성혜(2014).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 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375-402.
  9. 박기문(2014).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234-257.
  10. 백희수(2013). 수학영재를 위한 STEAM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학교수학, 15(4), 867-888.
  11.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12. 신재한(2013).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학습과학연구, 7(2), 29-53.
  13. 이지연(2013).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과 우리 교육의 과제. 물리학과 첨단기술, 22(4), 13-16.
  14. 임수민, 김영신, 이태상(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8(1), 133-143.
  15. 조재주, 최유현, 이소이, 김연진(2011).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210-227.
  16. 조향숙, 김훈, 허준영(2012).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현안보고 OR 2012-02-02).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7. 한혜숙(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육논문집, 27(4), 523-545.
  18. 한혜숙, 이화정(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19. 허희옥, 임규연, 서정희, 김영애(2011).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연구보고 2011-2).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 Toffler, A. (2006). 제3의 물결 (3판). 원창엽 역. 서울: 홍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