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Career Identity, Job-seeking Stress, Self Control on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취업스트레스, 자기통제력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Yeom, Eun Yi (Department of Nursing, Chungwoon University) ;
  • Seong, Ji A (Department of Nursing,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염은이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 성지아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6.03.14
  • Accepted : 2016.08.27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identity, job-seeking stress, self control, and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nursing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orm November 15 to December 10, 2015.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9.0 using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test anxiety included job-seeking stress(${\beta}=0.40$ p<0.001), career identity(${\beta}=-0.17$, p=0.010), fourth grade(${\beta}=-0.14$, p=0.020). These factors together explained 25% of the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F=25.48, p<0.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job-seeking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and academic career identity enhanc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 and that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on the effects of such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통계서비스. 2005, 2015 교육통계연보. 서울:한국교육개발원, 2005, 2015.
  2.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원적 유형화[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1997.
  3. 김순희, 이선희.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15;27(1):63-72. https://doi.org/10.7475/kjan.2015.27.1.63
  4. 김영희. 간호대학생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2011;13(4):2003-2013.
  5. 류태자. 자기관리훈련이 시험불안 감소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6.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2009; 10(1):417-435.
  7. 박복순, 조하나, 박병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취업스트레스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2):1109-1117. https://doi.org/10.5762/KAIS.2015.16.2.1109
  8. 박진아,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1;17(3):267-276.
  9. 박현희. 자기 불일치 및 자기 통제력이 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0. 박혜연.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 훈육방식과 자기통제[석사학위논문]. 전남: 전남대학교대학원, 2004.
  11. 배성숙, 노희진, 문소정.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4;15(1):45-59.
  12. 서은선, 정경아.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2015;17(3):213-225.
  13. 신현규, 장재윤.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03;22(4):815-827.
  14. 안세윤, 하창순.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지방의 한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008;9(2):391-403.
  15.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2014;22(1):23-33.
  16. 유혜숙, 양야기. 자아탄력성, 학업적 자아개념이 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14;21(3):275-282. https://doi.org/10.7739/jkafn.2014.21.3.275
  17. 윤성욱, 권연숙.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을 융합적으로 한 시험불안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5;6(5):91-98. https://doi.org/10.15207/JKCS.2015.6.5.091
  18. 이경희.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귀인 성향 및 진로정체감과 시험불안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창원: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19. 이동길. 시험불안 극복훈련이 고등학생들의 시험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경북; 경북대학교 대학원, 1982.
  20. 이선혜, 김진경. 간호대학생의 국가고시 관련 시험불안,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2):177-185.
  21. 임숙빈 외 10명. 심리적 탄력성과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014;23(4):278-287.
  22. 임신일, 박병기. 국내외 시험불안 연구의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013;27(3):529-553.
  23. 정점숙, 정미조, 유일영.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20(1):27-36.
  24. 정혜승.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기통제성 및 비행기회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25. 조미경, 최은지, 이지원, 이유나, 채지영.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간호학의 지평 2013;10(2): 141-150.
  26. 통계청. 2015 고용동향. 대전: 통계청, 2015.
  27. 한국교육개발원. 2015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5.
  28. 황성원.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부산;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29. Finkenauer C, Engels RCME, Baumeister RF. Parenting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05;29(1):58-69. https://doi.org/10.1080/01650250444000333
  30. Gottfredson MR, Hirschi T. A general theory of crime.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31. Grasmick HG, Tittle CR, Bursik RJ, Arneklev BJ.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993;30:5-29. https://doi.org/10.1177/0022427893030001002
  32. Holland JL, Daiger DC, Power PG.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0.
  33. Tangney JP, Baumeister RF, Boone AL.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2004;72(2): 271-322.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