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e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 Knowledge in Accordance Oral Healthcare Behavior of Seniors Over 60 in Some Areas

일부지역 60대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도

  • Received : 2017.09.04
  • Accepted : 2017.09.25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evancy between the subjective awareness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oral health by surveying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citizens over 60 years old in certain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30, 2016 among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in the GyeongBuk, and 442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in the groups who brush their teeth better and for longer duration (p<.05), where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in the groups who received toothbrushing training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and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elderly citizen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educations for ideal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in order to promote oral health of elderly citizens.

본 연구는 일부지역 6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구강 건강지식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는 경북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44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은 칫솔질을 전체적으로 잘 닦을수록, 칫솔질 시간이 길수록 높았으며(p<.05), 구강건강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지식도는 칫솔질 교육을 받은 경우 높았다(p<.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올바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구강에 대한 주관적인 구강 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도를 높여주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숙, 강은주, 원영순, "충북 일부지역 노인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49-158, 2014.
  2.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3. 우석류, 서부일, 한창현,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제35권, 제2호, pp.39-71, 2010.
  4. 통계청, 자살충동이유, 통계청, 2007.
  5. D. R. Herman, "Self-rated ealth and its relationship to functional status and well-being in a group of elderly Guatermalan subjects Asia pacific," J Vlin Nur, Vol.1, pp.176-178, 2001.
  6. S. I. Richmond, J. Chestnutt, Shennan, and B. Brown, "The relationship of mendical and dental factor to perceived oral and general health," Community Dentistry Epidemiology, Vol.35, pp.89-97, 2007.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7.00296.x
  7. 정유연, 박효정,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행태가 의치필요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41-28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41
  8. 보건복지부,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06.
  9. 이상숙, 노인의치보철사업에 따른 구강건조증 및 구취발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최유진, 권수진, 류황건, "울산지역 노인의 구강 건강이 노인의 전반적 건강상태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1호, pp.185-193,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1.185
  11. 김미경, 정향미, 박공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과 악기능제한 관련 삶의 질,"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1호, pp.87-102,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1.087
  12. 박정란, 이연경, "일부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9권, 제3호, pp.344-356, 2009.
  13. 박인숙, 김정숙, 최미혜, "일부 노인의 구강보건 지식, 행태 및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0권, 제2호, pp.413-423, 2010.
  14. 임현주, "대도시 일부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1호, pp.47-55,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1.047
  15. 안권숙, 신미아, "노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1권, 제6호, pp.923-938, 2011.
  16. 안은숙, 황지민, 신명숙, "노인의 치과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위생과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0-66,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1.60
  17. 이현옥, 김진,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 관리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8권 제2호, pp.57-63, 2008.
  18. 박명호, 박미영, 이희성,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보건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989-4995, 2013.
  19. 이가령, "농촌지역 노인들의 구강상태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2권, 제3호, pp.396-404, 2008.
  20. 노은미, 전은숙, 고수연, "노인의 구강보건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67-175, 2014.
  21. 이가령, "일부 농촌노인들의 구강건강영향지수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평가," 치위생과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09-11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