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about the Initial Process of Learning Transfer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서 나타난 초기 학습전이에 대한 분석

  • Received : 2017.11.10
  • Accepted : 2017.11.28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e Goal of SW education i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Especially, non computer majors need to apply computational thinking to their problem solving in their fields after computational thinking class. In this paper, we verified what factors affect the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mixed research method after teach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non major students. Also, w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initial learning transfer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establish the reason about he validity and justification for non major in SW education. The result shows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and self-CT efficacy affect the perception about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Also, we found that there is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 coming up with problem solving process because the initial learning transfer proc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has characteristics about concepts and practices of it in programming steps. The effectiveness and learning transfer proc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non majors will give the validity and justification to teach SW education for all students.

SW 교육의 목적은 Computational Thinking의 증진에 있다. 특히, 비전공자들의 경우 Computational Thinking을 습득하여 자신의 전공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을 실시한 후, 혼합연구방법론을 통해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였다. 또한, Computational Thinking 학습전이 초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여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SW교육의 타당성과 당위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만족도, 학습전이 동기, self-CT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Computational Thinking 학습전이 초기 과정이 실제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과 실행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므로, 문제해결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을 적용하는 사고과정이 실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의 효과와 전이 과정은 향후 모든 학생들에게 SW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타당성과 당위성의 근거가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송경진(역) (2016). 제4차 산업혁명. C. Schwab 의 The Fourth Revoluation. 서울: 새로운현재.
  2. Nacce & CAS (2014).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secondary teachers. 2016. 12. 14일 검색 http://www.computingatschool.org.uk/data/uploads/cas_secondary.pdf
  3. Tucker, A. et al. (2006).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New York, CSTA.
  4. 김경훈 외 (2015). 정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교육부. (2015). 2015년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6. Zhong, B., Wang, Q., Chen, J., & Li, Y. (2016). An Exploration of Three-Dimensional Integrated Assessment for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53(4), 562-590. https://doi.org/10.1177/0735633115608444
  7.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6, 3717-3725. https://doi.org/10.1098/rsta.2008.0118
  8.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9. 성정숙, 김수환, 김현철 (2015). 인문계열 학생을 위한 SW교육에서의 초보 학습자 특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3), 25-35.
  10. 교육부(2017). '17년도 SW교육 연구․선도학교 1200개 선정 결과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11. 한옥영, 김재현 (2017).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1), 139-141.
  12.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3), 323-332.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3.323
  13. SW중심대학. 2017. 8. 18일 검색. http://www.software.kr/um/um02/um0207/um020711.do
  14. 전용주, 김태영 (2016). 컴퓨터 비전공 예비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양 강좌에서 컴퓨터학습태도 요인 간 인과분석을 통한 정의적 교수전략 제언.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6), 15-23.
  15. 오미자 (2017).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1), 1-11.
  16. 현영섭 (2004). Kolb의 경험학습모형을 적용한 기업교육 학습전이 모형.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7. 현영섭 (2009). 학습전이 초기발생과 변화의 영향요인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인력개발연구, 11(2), 153-177.
  18.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J. W. Creswell의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서울: 학지사.
  19.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as, CA: Sage.
  20. Campbell R, Pound P, Pope C, Britten N, Pill R, Morgan M, Donovan J. (2003). Evaluating meta-ethnography: a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lay experiences of diabetes and diabetes care. Social Science & Medicine, 56, 671–684.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064-3
  21. Jenkins, T. (2002). On The Difficulty of Learning to Program. 3rd Annual LTSN-ICS Conference, Loughborough University. 53-58.
  22.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 (2011).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보학습자들의 행동 및 사고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1).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