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Bloom's Mastery Learning Model o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nd Nursing Skills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Bloom의 완전학습모델 적용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류세인 (조선간호대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
  • 김애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16.11.10
  • Accepted : 2016.12.21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loom's mastery learning model o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nd nursing skills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The sample consisted of an intervention group (n=31)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30).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 2015 to November 27. Data analyses utilized $x^2$-test & t-test. After the education of Bloom's mastery learning model, learning satisfaction and nursing ski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academic self-efficacy. Findings indicated that,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nursing student to improve their fundamental nursing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Bloom의 완전학습모델 적용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교육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31명과 교육중재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30명으로 총 61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자가기입식 설문 방식으로 2015년 11월2일부터 11월 2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bloom의 완전학습모델을 적용한 간호술기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학습만족도(t=3.032, p=.004) 및 간호술기 수행능력(t=2.477, p=.016)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Bloom의 완전학습모델 적용 교육은 간호학생에게 기본간호 교육 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추천할 수 있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임, 김정아, 고자경, 정명실, "간호역량 규명을 위한 문헌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63-67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63
  2.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 sing, The essential clinical resources for nursing academic mission, Washington, DC: Author, 2008.
  3. C. Del Mar and N. Dwyer, "A radical new treatment for the sick health workforc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Vol.185, No.1, pp.32-34, 2006.
  4. R. A. Brown, S. Guinea, P. A. Crookes, M. McAllister, T. Levett-Jones, M. Kelly, K. Reid-Searl, C. Churchouse, P. Andersen, N. Chong, and A. Smith, "Clinical simulation in Australia and Newzealand: through the lens of an advisory group," Collegian, Vol.19, pp.177-186, 2012. https://doi.org/10.1016/j.colegn.2012.05.002
  5.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개정판,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4.
  6. 최순희, 소향숙, 최자윤, 유성희, 윤소영, 김명희,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341-349,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41
  7.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과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8. W. C. MaGaghie, S. B. Issenberg, E. R. Petr usa, and R. J. Scalese, "A critical review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 ation research," Medical Education, Vol.44, No.1, pp.50-63, 2009.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9.03547.x
  9. J. H. Barsuk, E. R. Cohen, and T. Caprio, "sim ulation-based education with mastery learn ing improves resident lumbar puncture skills," Neurology, Vol.79, No.2, pp.132-137, 2012. https://doi.org/10.1212/WNL.0b013e31825dd39d
  10. B. Zendejas, D. A. Cook, R. Hern an de z-Irizarry, and DR. J. Farley, "mastery learning simulation-based curriculum for laparoscopic TEP in - guinal hernia repair,"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Vol.69, pp.208-214, 2014.
  11. J. H. Barsuk, W. C. McGaghie, E. R. Cohen, "Use of simulation-based mastery lear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central Venous cather placement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J Hosp. Med, Vol.4, pp.397-403, 2009. https://doi.org/10.1002/jhm.468
  12. D. B. Wayne, J. Butter, V. J. Siddall, L. D. Wade, and J. Feinglass, "mastery learning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kills by internal medicine resident using simulation technology and deliberate practic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21, No.3, pp.251-256, 2006. https://doi.org/10.1111/j.1525-1497.2006.00341.x
  13. 권은옥, 심미영, 최은하, 임상희, 한경민, 이은준, 장선주, 이미미, "완전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훈련이 전문심장소생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8권, 제1호, pp.126-135, 2012. https://doi.org/10.22650/JKCNR.2012.18.1.126
  14. 권보환, 장선주, 최정실, "완전학습모델기반 간호미생물학 이론 및 실습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평가,"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5권, 제2호, pp.90-98, 2013.
  15. 김호권, 완전학습 이론의 발전, 서울, 문음사, pp.1-20, 1994.
  16. B. S. Bloom, mastery learning,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73.
  17. 박혜숙, "교합학 교과목 완전학습을 위한 개인별 취약단원 진단 및 보완교수. 학습방법,"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35권, 제1호, pp.59-67, 2010.
  18.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연구," 한국교육학회, 제39권, 제1호, pp.95-125, 2001.
  19. 정혜승, 기업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제 가치, 학습형태가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치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0. 이숙희,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혈압측정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66-73 201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1.066
  21. 남혜숙, 손경애, 김수현, 송영숙, 권소희, 오은희, "웹기반 간호 교육 콘텐츠가 간호수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6호, pp.1353-1360, 2014.
  22. 박인희, 신수진,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동료학습의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73-82,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1.73
  23. 송소라, "비디오 레코딩을 통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기본간호실습 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제22권, 제4호, pp.416-423, 2015. https://doi.org/10.7739/jkafn.2015.22.4.416
  24. E. A. Gardner, "Instruction in mastery goal orientation: Developing problem solving and persistence for clinical setting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5, No.9, pp.343-347, 2006.
  25. W. Shen, "Using video recording system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in high-fidelity simulation," Frontier and Futur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edicine and Education, Vol.269, pp.1753-1757, 2014.
  26. J. H. Barsuk, E. R. Cohen, and J. A. Vozenilek, "simulation-based education with mastery learning to improves paracentesis skills," Medical Education, Vol.4, pp.23-27, 2012.
  27. D. B. Wayne, A. Didwania, J. Feinglass, J. H. Bar suk, and W. C. MaGaghie, "simulation-based education improves quality of care during cardiac arrest team responses at an academic teaching hospital: A case-control study," Chest, Vol.133, No.1, pp.56-61, 2008. https://doi.org/10.1378/chest.07-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