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at di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feel through teaching practic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 -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느꼈을까? -대학 교육과정과 교육실습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3.17
  • Accepted : 2017.04.1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gone through training have thought about teaching practice. Specifically, I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 and what they had felt in teaching practice. The study included 20 third grade students in teacher's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knowledge and the pedagogical knowledge of the subjects taught at the university were helpful for the teaching practice. Second, they were thought that teaching practice would be helpful just to watch the class. And pre-service teachers felt that class demonstration was a necessary part of becoming a teacher. Third,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lecture in the university that can have opportunity for class demonstration for teaching practice. And also they wanted to open a lecture to learn various teaching techniques and the newest teaching methods. Fourth,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relationships with students in order to complete the lessons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And they said that they felt that the education scene was more powerful and harder than they thought. In addition, they said that through this exercise, it became a moment to feel the importance of thorough preparation and experience. In this way, teaching practice is an essential process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come teachers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have many influenc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revise the curriculum of the training colleges in relation to the teaching practice.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느꼈으며 교육실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실습기간 동안 느낀 교육실습과 대학 교육과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사 양성 기관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2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을 위해 대학에서 배운 내용학 지식과 교육학 지식과 관련된 교과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예비교사들은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은 수업을 보는 것만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위해 수업시연의 기회가 대학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교수 기술과 새로운 교수방법을 배울 수 있는 강의가 개설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은 수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교육현장에서는 그들이 생각한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고 응답하였다. 더불어 그들은 이런 교육실습을 통해 많은 것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은 미래 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을 위해 매우 필수적인 과정이며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교육실습과 관련된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한영(2006). 실용지능의 개념이 예비교사 교육과정 개선에 갖는 함의에 대한 연구. 시인교육연구, 38(1), 1-18.
  2. 김자영, 김정효(2003).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0(2), 77-96.
  3. 김필성, 강현석(2014).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실습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A대학교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1), 51-78.
  4. 김한별(2009). 교실친화적 교사의 능력요소. 한국교원대학교(편), '교실친화적 교원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pp. 17-26).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5. 김현정(2013). 반성적 사고 중심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김현정, 홍훈기, 홍지혜(2013).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실행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반성 분야와 반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087-110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087
  7. 김현진, 김진수, 최성욱, 박영민, 이광호, 이혁규 (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I; 2010-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배소연, 윤기영, 조부경(1994).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의 교육실습현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4(1), 173-197.
  9. 백순근, 함은혜 (2007).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교육적 가치' 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0(4), 1-29.
  10. 서혜애(2010). 과학.수학교사 생애주기 연수체제 구축을 위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1. 설규주(2011). 교생의 수업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과 인식 연구. 사회과교육, 50(1), 69-91.
  12. 성용구(2014). 교육 실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 성장. 열린교육연구, 22(4), 207-228.
  13. 소경희, 김종훈(2010).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48(1), 133-155.
  14. 엄미리, 엄준용(2009).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491-508.
  15.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16. 이지현(2009).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 연구. 교육과학연구, 40(1), 1-33.
  17. 이혁규(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념화 및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평가원(편),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방안(연구자료 ORM 2010-56) (pp23-4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정한호(2014). 교육실습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0(1), 5-39.
  19. 주미경, 양성관(2007).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63-384.
  20. 조석훈(2008). 교사양성 교육과정으로서 교육실습의 가치. 교육행정학연구, 26(2), 317-342.
  21. 최승현, 황혜정(2009).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27-45.
  22. 최영, 이무상, 송명섭(2010).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요구. 과학교육연구지, 34(2), 369-382.
  23. 최진숙(2005).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비교. 한국아동학회, 26(4), 113-123.
  24. 황윤한(2007). 교육대학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광주교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1), 301-333.
  25. Ball, D. L., & Forzani, F. M. (2009). The work of teaching and the challenge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5), 497–511. https://doi.org/10.1177/0022487109348479
  26. Baumgartner, F., Koemer, M., & Rust, F. (2002). Exploring roles in student teaching. Teacher Education Quaterly, 29, 35-58.
  27.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8.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9. Gallimore, R., Ermeling, B. A., Saunders, W. M., & Goldenberg, C. (2009). Moving the learning of teaching closer to practice: Teacher education implications of school-based inquiry team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5), 537-553. https://doi.org/10.1086/597001
  30.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1. Lederman, N. G., Gess-Newsome, J., & Latz, M. 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5
  32. Lincoln, Y. S., & Guba, E. 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33. Matthew, K. (2014). Identifying a Core Set of Science Teaching Practices: A Delphi Expert Panel Approach. Journal of Researching in Science Teaching, 51(9), 1185-1217. https://doi.org/10.1002/tea.21171
  34. Niess, M. L., & Scholz, J. M. (1999). Incorporating subject matter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into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257-276).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5. Okhremtchouk, S., Seiki, B., Gilliland, C., Ateh, M., Wallace, M., & Kato, A. (2009). Voi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california teachers (PACT), Issues in Teacher Education, 18(1), 39-62.
  36. Orland-Barak, L. (2002). The impact of the assessment of practice teaching on beginning teaching: Learning to ask different question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29(2), 99-122.
  37.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38.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39.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https://doi.org/10.1002/sce.20259
  40. Yager, R. E. (2005). Toward needed reform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6(2), 89-93. https://doi.org/10.1007/s10972-005-26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