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employment Ne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Career Interrupted Woman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재취업욕구 차이 분석

  • 신연하 (건국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
  • 이동명 (건국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 Received : 2017.06.21
  • Accepted : 2017.07.23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and information in order to support economic activity of career interrupted woman by analysis the differences between seeking work ne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re-employment need of job-seeking activities. This study includes the result of reviewing a prospective study and an enpinical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areer interrupted woman, vocational educa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re-employment need to achieve its goal. The collected data from 150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had a vocational education was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verification and SPSS 12.0v program. In summary of this study, re-employment need would be different by individual characteristic, seeking work need and job-seeking activities. It shows that the method of re-employment should be provided as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career interrupted woma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suited education and improved system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career interrupted woman.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구직의사와 구직활동의 재취업욕구 차이를 분석하여 이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과 직업교육, 개인특성과 재취업욕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중 직업교육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15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욕구에 차이가 있으며, 구직의사와 구직활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희경,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재취업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98, 2010.
  2. 고은주, "여성직업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4권, 제4호, pp.279-298, 2010.
  3.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페미즘연구, 제16권, 제1호, pp.321-359, 2016.
  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6.
  5. 김정희, 변상해,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4호, pp.237-246, 2016.
  6. 김선화,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문집, 제21집, pp.95-131, 2010.
  7. 류호상, 장인봉, 염영배,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함의- 경기도 사회적기업의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3권, 제1호, pp.51-75, 2013.
  8. 이정숙, 강기정, "경력단절여성의 희망근로형태(시간제/전일제)에 영향을 미치는 재취업결정요인,"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8권, 제4호, pp.23-51, 2015.
  9.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산업관계연구, 제26권, 제2호, pp.1-27, 2016.
  10. 황윤주, 이희수,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지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서울시 S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6호, pp.55-79, 2014.
  11. 전혜숙, "경력단절여성의 지속가능한 경력개발로 '고용률 70%'달성," 여성우리, 제50권, pp.7-14, 2013.
  12. 김지영, 김안나, "고교유형과 학교교육경험의 차이가 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제24권, 제2호, pp.93-116, 2014.
  13. 송강영, 이태용, "전문대학체육전공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 차이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399-406,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1.399
  14. 하정윤, 김정민, 강지연, 차지철,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80-8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080
  15. 임언, 박보경, 현진실, "청소년의 직업가치관 변화: 2001년-2011년,"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9-37, 2012.
  16. 박재규, "경기도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GRI 연구논총, 제12권, 제2호, pp.225-252, 2010.
  17. 조윤아, 박민규, 문윤걸, "창업교육 전후 창업인식에 관한 연구-M대학교 시니어 창업교육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433-446, 2015.
  18. 손영미, 박정열,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65-184, 2016.
  19. P. Haan and K. Wrohlich, "Can child care policy encourage employment and fertility? Evidence from a structural model," Labour Economics, Vol.18, pp.498-512, 2011. https://doi.org/10.1016/j.labeco.2010.12.008
  20. L. Ma, "Female Employment and Fertility Change in South Korea," Stockholm University Demography Unit. Dissertation Series 11, Vol.5, No.5, 2014.
  21. 하애란,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 과제-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여성정책논집, 제10권, pp.471-508, 2010.
  22. H. Stier and M. Yaish,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 women," European Socialogical Review, Vol.19, pp.1-15, 2008.
  23. 오은진, 신선미, 박수범, 정희영, "경력단절여성 유형에 따른 사례관리 방안," 여성가족부 연구보고, 2016-92, 2016.
  24.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한국평생교육학회, 제14권, 제1호, pp.83-112, 2008.
  25. E. Bendien, "Ambiguities of work satisfaction for middle-aged and older career women in the Netherlands: Stretching a tradition," European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4, No.11, 2014.
  26. 여성가족부,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 성과분석 및 개편방안 연구, 연구보고, 2015-42, 2015.
  27. 김희연,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 방안 연구, 한국폴리텍 I대학 산학협력단 위탁연구, 2006-03, 경제사회연구부, pp.172-173, 2006.
  28. M. T. Ford, B. A. Heinen, and K. L. Langkarmer,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No.1, pp.57-80, 2007. https://doi.org/10.1037/0021-9010.92.1.57
  29. 여성가족부, 여성새로일하기 센터 재취업 경력단절 여성 고용유지 현황조사, 연구보고, 2014-23, 2014.
  30. 전국경제인연합회, 500대 기업 일.가정 양립과 제도, 조사 보고서, 2016.
  31. 서울특별시 50플러스재단, 앙코르커리어 핸드북, 마르씨 알보허, 2017.
  32. 류지영, 경력단절여성들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2014.
  33. 백재현, 경력단절여성의 현황과 외국의 지원사례, 정기국회 정책자료집,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