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 천희영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7.10.13
  • Accepted : 2018.01.29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Methods: 158 childcare center teachers responded to 56 questions on a questionnaire extracted and revised from previous research.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Many teachers agreed that the software education policy was timely appropriate. Most of them needed th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nswered that it is appropriate to start the education at age 5.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small group and free choice activities, play activities linked with daily life topics and coding programs by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were desirable as educational methods. Provision of educational HW/SW environment was a relatively important element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The coding educational qualities perceived by the teachers were not high, and were related to the age of the children they were in charge of and their computer litera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was relatively positive, bu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eachers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and qualitie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variables.

Keywords

References

  1. 부산광역시교육청 (2017. 02). 2017학년도 유치원 교육과정 내실화 계획. http://www.pen.go.kr/crcl/board/view.pen?boardId=BBS_0000274&menuCd=DOM_000000204007000000&orderBy=REGISTER_DATE%20DESC&startPage=1&dataSid=101109에서 2017년 11월 20일 인출
  2.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016. 5). 유아코딩-로봇 창의융합교육 워크숍.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개소25주년 기념 워크숍 자료집(pp.1-50). 부산: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3. 고영해 (2016). 초등정보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0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5&lev=0&statusYN=C&s=moe&m=030104&opType=N&boardSeq=49148에서 2017년 6월 5일 인출
  5. 교육부 (2015. 02).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http://www.unjeong.es.kr/wah/main/bbs/board/view.htm?menuCode=629&pageNo=1&scale=10&searchField=&searchKeyword=&cateCode=&domain.topThread=&domain.depth=&domain.dataNo=16201에서 2016년 6월 5일 인출
  6. 교육부 (2016. 12).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계획 발표.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503&opType=N&boardSeq=65033에서 2017년 11월 20일 인출
  7. 구영은 (201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놀이학습 기반 언플러그드 교육의 효과성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길현영 (2015. 11). 초.중등 SW교육의 필요성. https://spri.kr/posts/view/12083?code=column에서 2017년 6월 5일 인출
  9. 김갑수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47-56. doi:10.14352/jkaie.2016.20.1.47
  10. 김경규 (2014).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경현 (2015).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교육종합연구, 13(1), 69-91.
  12. 김민정 (2015).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 471-485.
  13. 김보현 (2017). 유아 연령에 따른 ICT활용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5), 287-314. doi:10.22251/jlcci.2017.17.5.287
  14. 김성렬 (2015). 초.중등 교원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태도, 스마트 교육의 속성, 활용 의지 및 지각된 유용성.용이성에 관한 인식.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수환, 한선관 (2014).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8(4), 461-470. doi:10.14352/jkaie.2014.18.4.461
  16. 김정민, 홍일경, 김경민 (2016. 8). 놀이를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한 유아 교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38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발표 논문, 부산.
  17. 김진숙, 한선관, 장의덕, 전수진, 김수환, 김정남 등. (2015). SW교육 교수학습모델 개발 연구(CR2015-3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김진미 (2017). 지능정보사회에서 유아교사직에 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85-109. doi:10.24211/tjkte.2017.34.2.85
  19. 김현아 (1999). 사회과 예비교사의 Information technology(IT)에 대한 경험에 따른 IT의 활용, 능력 및 태도와 인식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형숙 (2015).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교육인식 및 개선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남창우, 박영희 (2016).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및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199-226.
  22.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2015. 7. 21).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소프트웨어(SW) 교육 청사진 나왔다!. 보도자료,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tId=1270998에서 2017년 6월 15일 인출
  23. 백종수 (2016. 5). 초등교육에서의 창의융합 인재양성.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개소25주년 기념 워크숍 자료집(pp.16-25). 부산: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4. 송혜진 (2016. 9. 10). 창의력 위해 한다는 코딩(컴퓨터 언어로 명령문 작성), 결국은 암기력?.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pdf_ReadBody.jsp?Y=2016&M=09&D=10&ID=2016091000120에서 2017년 3월 20일 인출
  25. 심숙영 (2010). 구성주의 교사 신념과 교사의 ICT 태도와 ICT 활용능력 관계. 아동과 권리, 14(1), 109-128.
  26. 양창모 (2016). 초등학생을 위한 그래프 학습 언플러그드활동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20(1), 93-100. doi:10.14352/jkaie.2016.20.1.93
  27. 유지한, 박상현 (2016. 3. 6). '알파고 세대' 코흘리개, 코딩 배운다는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16/2016031600245.html에서 2017년 3월 20일 인출
  28. 이민영 (2017). 코딩(Coding)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선영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30. 이원광 (2017. 8. 24). 유치원은 금지. 어린이집은 허용 '코딩교육' 논란.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82314594275357&outlink=1&ref=http%3A%2F%2Fsearch.naver.com에서 2017년 9월 15일 인출
  31. 이종연, 손영빈, 윤기영 (2014). 보육교사의 창의성교육 교사역할에 대한 적절성 인식과 수행정도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2), 265-284.
  32. 이종향, 정재은 (2012).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153-171.
  33. 이현주 (2002). 유아 컴퓨터 활용 현황 및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임상훈 (2016). 미래 교육 대비 교육정보화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임상훈, 조미헌 (2016). 미래교육을 대비한 정보관련 정책들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 121-130. doi:10.14352/jkaie.20.2.121
  36. 임승렬 (2009. 5). 유아교사 수업전문성 신장의 실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서울.
  37. 조경미 (2014). R - 러닝 대학동아리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재경 (2013). R - 러닝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정아 (2016. 8). 누리과정에서의 유아코딩교육: 로봇과 함께하는 자유놀이.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교사연수 자료집(pp.4-31). 부산: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40. 조준오, 박창현, 홍광표 (2017).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83-106. doi:10.22251/jlcci.2017.17.3.83
  41. 진명희 (2015). 예비교사의 컴퓨터 통합 인식, 지식과 관련변인: 컴퓨터 통합교육 효과. 유아교육연구, 35(5), 159-179. doi:10.18023/kjece.2015.35.5.008
  42. 차미영 (2016. 8). 로봇과 함께하는 유아코딩교육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교사연수 자료집(pp.32-51). 부산: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43. 최숙영 (2015). 초중고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3), 93-104.
  44. 최정숙 (2016). 초등 소프트웨어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하희정 (2017). SW코딩기반 메이커교육용 교수학습모형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한동숭 (2016).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 42, 9-24. doi:10.18658/humancon.2016.09.42.9
  47. 한선관, 김수환 (2015).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187-196. doi:10.14352/jkaie.2015.19.2.187
  48. 한선아, 강민정, 유희정 (2013). R-러닝 학생 동아리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유아교사들의 R-러닝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1058-1068. doi:10.5392/JKCA.2013.13.12.1058
  49. 홍광표, 조준오, 박창현 (2017). 유아 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육연구, 17(1), 469-494. doi:10.22251/jlcci.2017.17.1.469
  50. 황면중 (2015). 유치원/초등생 로봇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 로봇학회 논문지, 10(2), 53-60. doi:10.7746/jkros.2015.10.2.053
  51. Bell, T., Witten, I. H., & Fellows, M. (2015). CS unplugged: An enrichment and extension programme for primary-aged students. Retrieved March 20, 2017 from http://csunplugged.org/wp-content/uploads/2015/03/CSUnplugged_OS_2015_v3.1.pdf
  52. Bullock, D. (2004). Moving from theory to practice: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that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 as the attempt to gain experience teaching with technology during field placement experience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2(2), 211-237.
  53. Clements, D. H. (2002). Computer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3(2), 160-181. doi:10.2304/ciec.2002.3.2.2
  54. Earle, R. S. (2002).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into public education: Promise and challenges. Educational Technology, 42(1), 5-13.
  55. Jeong, H. I., & Kim, Y. (2017). The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5(4), 496-512. doi:10.1080/10494820.2016.1143376
  56. Jobs, S. (1995). The lost interview. Retrieved March 2, 2017, from https://arstechnica.com/gadgets/2012/07/steve-jobs-on-programming-craftsmanship-software-and-the-web/
  57. Kazakoff, E. R., Sullivan, A., & Bers, M. (2013).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4), 245-255. doi:10.1007/s10643-012-0554-5
  58. Kersaint, G. (2003). Technology beliefs and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faculty.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1(4), 549-577.
  59. Krause, M., Pietzner, V., Dori, Y. J., & Eilks, I. (2017). Differences and developments in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prospective chemistry teachers concerning the use of ICT in education.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3(8), 4405-4417. doi:10.12973/eurasia.2017.00935a
  60. Lamb, M. E., & Ahnert, L. (2006). Nonparental child care: Context, concep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In W. Damon, R. M. Lerner, K. A. Renninger, & I. E. Sie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Child psychology in practice(pp. 950-1016). Hoboken, NJ: Wiley.
  61. Manches, A., & Plowman, L. (2017). Computing education in children's early years: A call for debat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8(1), 191-201. doi:10.1111/bjet.12355
  62. Markauskaite, L. (2006). Gender issues in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ICT literacy and online learning.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1), 1-20.
  63. Strawhacker, A., Lee, M., Caine, C., & Bers, M. (2015). ScratchJr demo: A coding language for kindergarten. In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IDC '15). ACM, Boston, MA: USA. doi:10.1145/2771839.2771867
  64.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366(1881), 3717-3725. doi:10.1098/rsta.2008.0118
  65. Wohl, B., Porter, B., & Clinch, S. (2015). Teaching computer science to 5-7 year-olds: An initial study with Scratch, Cubelets and unplugged computing. In Proceedings of the Workshop in Primary and Secondary Computing Education(pp. 55-60). New York, USA: ACM Press. doi:10.1145/2818314.2818340

Cited by

  1. A Study on Organizing Softwar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vol.28, pp.4, 2018, https://doi.org/10.21024/pnuedi.28.4.201812.441
  2.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vol.16, pp.5,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