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ocial Cohesion: Longitudinal Analysis for OECD Countries(2006-2015)

4차 산업혁명과 사회통합: OECD 회원국 종단분석(2006-2015)

  • Received : 2018.08.29
  • Accepted : 2018.10.24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is paper explored the impact of adaptive effort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hereafter, 4IR) on social cohesion at national level. To examine this relationship,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thirty one OECD membership countries, 2006-2015. Adaptive efforts for 4IR was measured by the 4IR Relative Readiness(WEF, 2016) and social cohesion was measured by Corruption Perception Index(Transparency International) and trust on politicians(WEF). Results showed that corruption percep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4IR Relative Readiness and legal protection(judiciary independency and corporate ethics) and trust on politicians significantly increased by judiciary independency. These results imply that public and corporate efforts for the 4IR does not necessarily have negative impact on social cohesion as long as legal protection such as judiciary independency and corporate ethics are equally pursuit at nationa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적응도가 사회통합 요인 중 하나인 공공 청렴도, 정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은 OECD 31개국 2006년에서 2015년 자료에 대해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였다. 4차 산업혁명 적응도는 WEF(2016)를 활용하였으며 노동시장 유연성, 기술 혁신, 인프라, 법적 보호, 네 영역으로 구성된 지표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공공 청렴도는 4차 산업혁명 적응도 전체와 법적 보호 영역 중 사법부 독립성과 기업의 윤리적 행동의 영향을, 정치 신뢰는 법적 보호 영역 중 사법부 독립성의 영향을 유의하게 받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금과 같은 추세로 변화해간다고 할 때는 4차 산업혁명의 추진이 사회통합에 큰 위협이 된다고 볼 수는 없으나, 다만 경제 과학기술의 영역의 촉진만이 아니라 법적 보호와 같은 사회적 영역에 대한 고려가 함께 병행될 때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 산업 과학 분야 대비 사회정책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4차 산업혁명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29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분석모형(LGM)

표 1. 4차 산업혁명 적응도 측정(WEF, 2016)

CCTHCV_2018_v18n11_298_t0001.png 이미지

표 2. 사회통합(공공청렴도, 정치신뢰) 측정

CCTHCV_2018_v18n11_298_t0002.png 이미지

표 3. 공공청렴도 분석모형 적합도 측정

CCTHCV_2018_v18n11_298_t0003.png 이미지

표 4. 4IR-R과 공공청렴도 조건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8_v18n11_298_t0004.png 이미지

표 5. 법적 보호와 공공청렴도 조건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8_v18n11_298_t0005.png 이미지

표 6. 정치신뢰 모형적합도 분석결과

CCTHCV_2018_v18n11_298_t0006.png 이미지

표 7. 4IR-R과 정치신뢰 조건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8_v18n11_298_t0007.png 이미지

표 8. 법적 보호-정치신뢰 조건모형 분석결과

CCTHCV_2018_v18n11_298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C. Schwab, 제4차 산업혁명, 송경진 역, 서울 : 새로운 현재, 2016.
  2. Y. Harari, Homo Sapiens : A Brief history of Mankind, New York : Harper, 2016.
  3. C. Degryse, Digitalisation of the Economy and its Impact on Labour Markets, European Trade Union Insititute, 2016.
  4. A. L. Pelaez, The Robotics Divide, London : Springer, 2014.
  5. UBS,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BS White Paper for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6. World Economy Forum,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6.
  7. 조정원, 안상진, 불평등과 과학기술 : 피케티의 화두에 과학기술은 어떻게 응답할까?, Issue Paper 제7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8.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요 선진국의 제4차 산업혁명 정책동향 : 미국, 독일, 일본, 중국, 2016.
  9. K. Karatani, 탐구 2, 새물결, 1998.
  10. C. E. Lindblom, The Market System,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2001.
  11. A. O. Hirschman, The Rhetoric of Rea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12. P. C. Wander, “The Rhetoric of Science,” Western Speech Communication, Vol. 40, No. 4, pp. 226-235, 1976. https://doi.org/10.1080/10570317609373907
  13. J. Mahoney and K. Thelen, Explaining Institutional Change : Ambiguity, Agency, and Power, 2010.
  14. 황재홍, "불확실성과 합리성 그리고 정부개입," 경제학연구, 제59권, 제4호, pp. 147-167, 2011.
  15. 기획재정부, 2017년 경제정책방향, 2016.
  16. 김은경, 문영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안, 경기연구원, 2016.
  17.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R&D lnl, 제15권, 한국과학기술평가원, 2016.
  18. 최계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적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19. 강신욱, 이현주, 김석호, 박수진, 박은경, 사회통합지수 개발연구, 사회통합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0. OECD, Society at a Glance, 2001-2016.
  21. 정해식, 김미곤, 여유진, 김문길, 우선희, 김성아, 사회통합 실태 및 대응방안(III) : 사회통합 국민인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22. 차영란,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 102-11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