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of Engineering Students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 박신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이윤소 (충남대학교 교육심리학.교육과정) ;
  • 김경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육성과관리센터) ;
  • 강승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Received : 2018.02.02
  • Accepted : 2018.03.11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by drawing out the educational needs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creative engineering ability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using 29 sub - factor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presented by Kim Dae young et al(2006). from 234 engineering students in 6 universities. As a result, students recognized that all item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were important, and their level was generally recognized. The educational needs for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high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project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by considering learner's perception and professional and industrial recognition.

Keywords

References

  1. 공학교육인증기준(2015). 한국공학교육인증원 홈페이지(http://www.abeek.or.kr)
  2. 고석준(2007).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비교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4. 김경언(2017). 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공과중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8(2), 81-107.
  5. 김대영 외(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34-51.
  6. 김오범(2015). 예비교사의 공학설계 활동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인공물을 바탕으로 한 추론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인숙, 강태욱, 최정우(2011). 공학 기초설계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4(5). 3-9.
  8.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9. 박미정(2008).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인식과 요구도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3), 131-143.
  10. 배을규(2003). 기업 교육훈련 이해관계자 집단의 교육훈련 평가요구도 조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2), 113-133.
  11. 배진승, 박강(2013). 공학입문설계교과의 통합운영이 신입생의 창의적 설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173-179.
  12. 엄미리(2009). 국내 교수설계자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2(1), 1-23.
  13. 오보영, 문철(2015).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기초조영학연구, 16(6), 297-308.
  14. 윤나리(2012).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민하(2016).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미술 기반 융합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4(3), 29-46.
  16. 이창훈(2007).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임경화, 안정현(2016).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 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 (2), 75-81. https://doi.org/10.14702/JPEE.2016.075
  18. 장용철, 김건국, 김민철(2013). 공학교육 사례소개: 창의설계입문의 PBL 적용. 한국공학교육학회, 16(2), 78-85.
  19. 한지영(2011).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64-73.
  20. Claire L. Mccullough, PE, Ph.D.(2007). ABET EC2000: How Has It Changed? Has It Accomplished What Was Intended?, 2007 ASEE Southeast Section Conference.
  21. El-Haik, B., &Roy, D. M.(2005). Service design for six sigma: a roadmap for excellence.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