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Analysis of Enterprises' Cooperated Collaboration Research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재난안전분야 기업협력 공동연구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Received : 2017.10.12
  • Accepted : 2018.02.07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Enterprises'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on research is one of the effective and typical methods through which technologies go into the market or are transferred to other sectors. This study reviews enterprises' participated collaboration research and analyzes their network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rea. From 2005 to 2016, 786 technical papers from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are compiled based on the authors whose affiliations are from enterprises. During the research period, collaboration research is found to be in an increasing trend in general. However, the number of technical papers with three or less authors is in a decreasing trend, whereas that with four or more authors is in an increasing trend. This fact implies that the range of enterprises' collaboration research is widening. Technical paper productivity and each entity's collaboration network are evaluated using participation-weight based author score. Over the research period, a few universities, which attract most of the enterprises, are found to have higher productivities and centralities. Public enterprises show higher participation weights. Also, sectors such as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electronics demonstrate higher weights. This study is particularly meaningful because enterprises' participation status in collaboration research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rea is systematically analy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network analysis result from this study will be especially helpful in establishing technology transfer strategy.

기업이 참여하는 공동연구는 기술이 시장으로 나가는 통로이자, 기술이전의 방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재난안전분야 기업협력 공동연구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재난안전분야 학술지 4종에 수록된 공동저술 논문을 대상으로 기업소속 저자가 참여한 논문 786건을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기업협력 공동연구는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데, 공저자 수가 적은(3인 이하) 논문은 감소하고 공저자 수가 많은 논문은 증가하였다. 이는 기업이 참여하는 재난안전분야 연구협력의 폭이 더 넓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참여비중을 고려한 저자점수를 통해 기관별 논문 생산성을 파악하고, 전체 기관의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전 시기에 걸쳐 기관생산성 및 중심성이 높은 기관은 소수의 대학이었고, 다수의 기업이 이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한 모습이 보인다. 분야별로는 건설, 엔지니어링, 전자 관련기업과 공기업의 참여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재난안전분야 공동연구에 기업이 참여한 현황을 전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번 분석을 통해 발견된 기관 간 협력관계는 기술이전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인영 (2016), "대학측면에서의 新산학협력 방향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 49: 407-433.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계구조 분석-기업 참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3. 관계부처합동 (2017), "제6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계획".
  4.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2009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9), "2010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6.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0), "2011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7.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2012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8.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 "2013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9.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3), "2014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10.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4), "2015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1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5), "2016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1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6), "2017년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시행계획".
  1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1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6), 공공 및 도시 분야 재난안전산업 동향분석.연구기획.
  15. 국민안전처 (2017), 2016년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
  16. 김경훈.류상훈.이용수.정민수.서경아 (2014), "한국 재난안전의 R&D 연구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786-788.
  17. 김용학.윤정로.조혜선.김영진 (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 좁은 세상과 위치효과", 한국사회학, 41(4): 68-103.
  18. 류상일.이민규.정석환.강형기 (2012), "한국위기관리 연구경향 분석-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8(3): 105-120.
  19. 민문경.이나빈.이수상.안현의 (2016), "국내 정신건강 분야의 재난 연구동향-언어 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Crisisonomy, 12(6): 83-102.
  20. 배진희.오명준.김헌 (2014),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산학연협력형태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3): 604-628.
  21. 백영기 (2015), "공동저술 논문을 이용한 연구협력에 대한 공간적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0(6): 641-657.
  22. 변지혜.정은경 (2011), "국내 전력전자분야 연구기관의 공동연구 현황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7-22.
  23. 안혜원.류상일 (2007), "행정학에서 재난관리분야의 학문적 연구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183-190. https://doi.org/10.5392/JKCA.2007.7.10.183
  24. 이동훈.김세경.최태산 (2015), "재난정신건강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22(1): 41-58.
  25. 이옥철 (2014), "재난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3): 432-44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432
  26. 이원봉 (2001), "한국호텔경영학 연구문헌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와 소속기관 - 호텔경영학연구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0(3): 111-125.
  27. 이재윤 (2006가), "지적 구조의 규명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333-355. https://doi.org/10.4275/KSLIS.2006.40.2.333
  28. 이재윤 (2006나),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https://doi.org/10.4275/KSLIS.2006.40.3.191
  29. 이재윤.김수정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103-124.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103
  30. 이재윤.정은경 (2014),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위한 복수저자 기여도 산정 방식의 비교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2): 57-77.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057
  31. 이재윤.최상희 (2013), "계량정보학분야의 협력연구 네트워크 및 문헌네트워크 분석 : 국가, 기관, 문헌단위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179-19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79
  32. 임병화 (2015), "특허분석을 통한 산학연 협력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33. 임수정.박덕근 (2016), "국내 재난안전산업 특수분류 현황 및 발전방안",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6(5): 71-83.
  34. 임수정.이향이.박덕근 (2017), "국내 재난안전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략",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7(3): 125-139.
  35. 정대현.권오영.정용남 (2017), "지역 대학의 역할과 지식 네트워크 특징에 대한 연구 : 3개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0(2): 487-517.
  36. 정보권 (2017), "인포메트릭스 기반 학술 연구 네트워크 분석 : 산업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산업정보시스템전공 박사학위논문.
  37. 지용구.윤수진.황보환.윤솔희.정호상 (2012), "모바일 환경에서의 재난대응 커뮤니케이션 :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9(5): 18-26.
  38. 최수민.이주영 (2016), "재난유형과 관리단계로 본 국내 재난안전 R&D 현황 및 시사점",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6(3): 87-94.
  39. 최영훈.이강춘 (2009), "학술논문 공동저술 유형 분석-한국행정학보(1989-2008)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3(3): 51-72.
  4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기업에 대한 정부 R&D 투자 지원의 정책효과 분석 연구.
  4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 안전.방재 고도화를 위한 산업기술의 역할.
  4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5), 기업 외부기술 도입 및 활용현황 조사.
  43.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3), 기업의 융합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
  44. 한동석.양원직.이원호 (2015),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재난안전분야 연구주제 네트워크 구축연구-학술지 논문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5-256.
  45. 홍원화 (2015), "안전약자의 재난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동향분석", 건축환경실비, 9(4): 6-13.
  46. Barnett, A. H., Ault, R. W. and Kaserman, D. L. (1988), "The Rising Incidence of Co-authorship in Economics: Further Evidenc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0(3): 539-543. https://doi.org/10.2307/1926798
  47. Beaver, D. D. (2004), "Does Collaborative Research Have Greater Epistemic Authority?", Scientometrics, 60(3): 399-408. https://doi.org/10.1023/B:SCIE.0000034382.85360.cd
  48. Bird, J. E. (1997), "Authorship Patterns in Marine Mammal Science, 1985-1993", Scientometrics, 39(1): 99-105. https://doi.org/10.1007/BF02457432
  49. Bozeman, B. and Mangematin, V. (2004), "Editor's Introduction: Building and Deploying Scientific and Technical Human Capital", Research Policy, 33(4): 565-568. https://doi.org/10.1016/j.respol.2004.01.004
  50. Bozeman, B. and Rogers, J. (2002), "A Churn Model of Scientific Knowledge Value: Internet Researchers as a Knowledge Value Collective", Research Policy, 31(5): 769-794. https://doi.org/10.1016/S0048-7333(01)00146-9
  51. Butcher, J. and Jeffrey, P. (2005), "The Use of Bibliometric Indicators to Explor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Trends over Time in the Field of Membrane Use for Water Treatment", Technovation, 25(11): 1273-1280.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4.06.003
  52. Chen, C. (2006), Information Visualization: Beyond the Horizon, 2nd ed., London: Springer.
  53. De Solla Price, D. J. (1963), Little Science, Big Scien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54.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48(1): 215-239.
  55. Friedkin, N. E. (1993), "Structural Bases of Interpersonal Influence in Groups: A Longitudinal Case Stud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6): 861-872. https://doi.org/10.2307/2095955
  56. Halperin, E. C., Scott, J. and George, S. L. (1992), "Multiple Authorship in Two English-Language Journals in Radiation Oncology", Academic Medicine, 67(2): 850-856. https://doi.org/10.1097/00001888-199212000-00012
  57. Katz, J. S. and Martin, B. R. (1997),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1): 1-18. https://doi.org/10.1016/S0048-7333(96)00917-1
  58. McLoughlin, D. (1985),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Special Issue): 165-172. https://doi.org/10.2307/3135011
  59. Petak, W. J. (1985),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Wpecial Issue): 3-7. https://doi.org/10.2307/3134992
  60. Piette, M. J. and Ross, K. L. (1992),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Co-authorship in Economics",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23(3): 277-283. https://doi.org/10.1080/00220485.1992.10844762
  61. Schvaneveldt, R. W. (1990), Pathfinder Associative Networks: Studies in Knowledge Organization, Norwood, NJ: Ablex.
  62. Subramanyam, K. (1983), "Bibliometric Studies of Research Collaboration",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6(1): 33-38. https://doi.org/10.1177/016555158300600105
  63. Yi, H. and Yang, J. (2014), "Research Trends of Post Disaster Reconstruction: The Past and the Future", Habitat International, 42: 21-29.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13.1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