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and Social Trust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사회신뢰수준이 기업의 공익연계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윤서 (전북대학교 경영학과/빅데이터비즈니스연구소) ;
  • 김용식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
  • 단빙양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
  • 우교혜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8.07.11
  • Accepted : 2018.08.22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Cause-Related Marketing is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marketing activ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an offer from the firm to contribute a specified amount to a designated cause when customers engage in revenue-providing exchanges that satisfy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objectives. Many companies obtain benefits such as increasing sales profits and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rom Cause-Related Marketing as a strategic market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essag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attitud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social trust and types of product(utilitarian vs. hedonic) on consumer's product attitud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ers tend to adopt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ose advertisements with Cause-Related Marketing message. In the meanwhile, the ethic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social trust also have moderating effects on Cause-Related Marketing message's influence, but the types of product have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 are discussed.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공익연계마케팅은 소비자들이 조직이나 개인의 목적을 만족시키려는 기업과의 이윤 창출적인 교환행위에 참여함에 있어, 기업이 지정된 사회적 명분을 대상으로 일정금액을 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활동이다. 본 연구는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 제시여부가 소비자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더불어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 및 사회신뢰성향 그리고 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의 조절적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가 제시되지 않은 제품보다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가 제시된 제품에 대하여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사회적 신뢰성향이 높을 경우 공익연계 마케팅 메시지가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품유형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기업이 공익연계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사회적 신뢰성향을 높여줄 수 있는 다양한 캠페인 등을 전개할 때, 이러한 마케팅 활동이 보다 큰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P. R. Varadarajan and A. Menon, "Caused-Related Marketing: A Coalignment of Marketing Strategy and Corporate Philanthropy," Journal of Marketing, Vol.52, No.3, pp.58-74, 1988. https://doi.org/10.2307/1251450
  2. 정성광, 장재훈, "공익연계마케팅 정보제시형태와 브랜드 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881-889, 2018.
  3. 정송, 김현경, 민태기, 김형준, "공익연계마케팅 광고의 인식가능성과 사회적 거리감 지각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경영연구, 제55권, 제2호, pp.25-56, 2018.
  4. M. Strahilevitz and J. G. Myers,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4, No.4, pp.434-446, 1998. https://doi.org/10.1086/209519
  5. S. M. Smith and D. S. Alcorn, "Cause Marketing: A New Direction in the Marketing of Corporate Responsibil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8, No.3, pp.19-35, 1991. https://doi.org/10.1108/07363769110035054
  6. S. L. Grau, J. A. Garretson, and J. Prisch, "Cause-related Marketing: An Exploratory Study of Campaign Donation Structures Issues," Journal of Nonprofit and Public Sector Marketing, Vol.18, No.2, pp.69-71, 2007. https://doi.org/10.1300/J054v18n02_04
  7. D. R. Lichtenstein, M. E. Drumwright, and B. M. Braig,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ustomer Donations to Corporate-Supported Non-profits," Journal of Marketing, Vol.68, No.4, pp.16-32, 2004. https://doi.org/10.1509/jmkg.68.4.16.42726
  8. 조형오, "공익연계 광고메시지가 소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상표친숙도와 공익적 특성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49권, 제1호, pp.231-249, 2000.
  9. M. J. Barone, A. D. Miyazaki, and K. A. Taylor, "The Influe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Choice: Does One Good Turn Deserve Anothe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2, pp.248-262, 2000.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2006
  10. T. J. Brown and P. A. Dacin,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Associations and Consumer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Vol.61, No.1, pp.68-84, 1997. https://doi.org/10.2307/1252190
  11. B. D. Till and L. I. Nowak, "Toward Effective Use of Cause-Related Marketing Alliance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9, No.7, pp.472-484, 2000.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1394
  12. D. J. Webb and L. A. Mohr, "A Typology of Consumer Responses to Cause-Related Marketing: From Skeptics to Socially Concerned,"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Vol.17, No.2, pp.226-238, 1998.
  13. J. Mullen "Performance-Based Corporate Philanthropy: How 'Giving Smart' Can Further Corporate Goals," Public Relations Quarterly, Vol.42, No.2, pp.42-48, 1997.
  14. S. Sen and C. B. Bhattacharya, "Dose Doing Good Always Lead to Doing Better? Consumer Reac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8, No.2, pp.225-243, 2001. https://doi.org/10.1509/jmkr.38.2.225.18838
  15. 최자영, 최윤식, "공익연계 마케팅(CRM) 메시지 제시여부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22권, 제3호, pp.115-138, 2011.
  16. I. P. Murphy, "Pillsbury Proves Charity, Marketing Begins at Home," Marketing News, Vol.31, No.4, pp.16-16, 1997.
  17. R. Cone, Cause-Related Marketing Trends Report 1997: CRM Becomes a Tie-breaker in the Purchase Decision, Cause Related Marketing Trend Report, 1997.
  18. 김정현,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 공익연계 마케팅: 그 개념 및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복지행정연구, 제19권, 제8호, pp.153-173, 2003.
  19. B. A. Lafferty, Cause-Related Marketing: Dose the Cause Make a Difference in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 the Product?, Department of Marketing Florida State University, 1996.
  20. 최우석, 김형준, "공익연계마케팅과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 진정성의 매개효과와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 마케팅논집, 제25권, 제1호, pp.47-65, 2017.
  21. 박은아, 허연주, 유홍구, "공익연계 광고에서 브랜드-공익의 관련성과 소비자 참여 방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1호, pp.286-325, 2005.
  22. K. Becker-Olsen and C. J. Simmons, "When Do Social Sponsorship Enhance Or Dilute Equity? Fit, Message Source, and the Persistence of Eeffcet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9, No.1, pp.287-289, 2002.
  23. J. W. Pracejus and G. D. Olsen, "The role of brand/cause fit in the effectiveness of cause-related marketing campaig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7, No.6, pp.635-640, 2004.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306-5
  24. 김자경, 김정현, "공익연계 마케팅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광고학연구, 제12권, 제3호, pp.31-52, 2001.
  25. G. D. Olsen, J. W. Pracejus, and N. R. Brown, "When Profit Equals Price: Consumer Confusion About Donation Amounts in Cause-Related Marketing,"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Vol.22, No.2, pp.170-180, 2003. https://doi.org/10.1509/jppm.22.2.170.17641
  26. 조용석, 이명천, 황장선, "공익연계 광고의 메시지 소구 유형과 기부수준의 명확성 정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권, 제4호, pp.347-372, 2005.
  27. 홍연금, 송인숙, "친환경농산물 소비자의 구매동기 분석을 통한 윤리적 소비 행동 사례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1권, 제3호, pp.23-42, 2008.
  28. 허은정,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관련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2권, 제2호, pp.89-111, 2011.
  29. 홍연금, 송인숙, "우리나라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사례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3권, 제2호, pp.1-25, 2010.
  30. 박현정, 이상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 구매의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관계," 상품학연구, 제30권, 제7호, pp.103-122, 2012.
  31. P. Honkanen, B. Verplanken, and S. O. Olsen, "Ethical Values and Motives Driving Organic Food Choice,"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Vol.5, No.5, pp.420-430, 2006. https://doi.org/10.1002/cb.190
  32. 이승아, 김광석, 송장근, "윤리적 소비주의 관점에서 Fair Trade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8권, 제1호, pp.295-315, 2009.
  33. 강문실, 김윤숙, "사회적 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만족,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윤리적인 소비성향 조절효과," 상업교육연구, 제28권, 제6호, pp.479-498, 2014.
  34. 엄묘섭, "시민사회의 문화와 사회적 신뢰," 문화와 사회, 제3권, 제2호, pp.7-45, 2007.
  35. T. Yamagishi, "Exit from the Group as An Individualistic Solution to the Free Rider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4, No.6, pp.530-542, 1988. https://doi.org/10.1016/0022-1031(88)90051-0
  36. B. Barbe, The Logic and Limits of Trust,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1983.
  37. 김용식, 박윤서, 이영미, "제품 인증마크가 소비자의 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62-17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162
  38. 박상준, "사회신뢰와 국가의 부 창출과정," 소비자학연구, 제23권, 제2호, pp.45-58, 2012.
  39. K. J. Arrow, "Gifts and Exchanges,"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Vol.1, No.4, pp.343-362, 1972.
  40. S. J. Hoch and Y. W. Ha, "Consumer Learning: Advertising and the Ambiguity of Product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2, pp.221-233, 1986. https://doi.org/10.1086/209062
  41. D. S. Kemph and R. E. Smith, "Consumer Processing of Product Trial and the Influence of Prior Advertising: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5, No.3, pp.325-338, 1998. https://doi.org/10.2307/3152031
  42. M. B. Holbrook and E. C. Hirsc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2, pp.132-140, 1982. https://doi.org/10.1086/208906
  43. C. W. Park, B. J. Jaworski, and D. J. Maclnnis,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Journal of Marketing, Vol.50, No.4, pp.135-145, 1986. https://doi.org/10.2307/1251291
  44. R. Batra and O. Ahtola,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ources of Consumer Attitudes," Marketing Letters, Vol.2, No.2, pp.159-170, 1990. https://doi.org/10.1007/BF00436035
  45. D. J. Maclnnis and B. J. Jaworski, "Information Processing from Advertisements: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Marketing, Vol.53, No.4, pp.1-23, 1989. https://doi.org/10.2307/1251376
  46. 두정완, "공익연계 마케팅의 효과: 제품유형, 가격할인과 회사-공익 적합성의 조절적 역할," 경영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99-123, 2017.
  47. R. Dhar and K. Wertenbroch,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7, No.1, pp.60-71, 2000. https://doi.org/10.1509/jmkr.37.1.60.18718
  48. 김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광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275-28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275
  49. A. Everard and D. F. Galletta, "How Presentation Flaws Affect Perceverd Site Quality,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from and Online Stor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2, No.3, pp.55-95, 2006.
  50. 서현석, 이종만, 나윤규, "CRM 특성요인이 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제품 관여도와 공익연계 메시지 표현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마케팅저널, 제9권, 제2호, pp.49-95, 2007.
  51. 김소현, 아트마케팅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쾌락재와 실용재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2. 이재완, "계층이동 사다리가 사회신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비선형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제3호, pp.189-223, 2013.
  53.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975.
  54.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80.
  55. Y. Pan and B. Schmitt, "Language and Brand Attitudes: Impact of Script and Sound Matching in Chinese and English,"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5, No.3, pp.263-277, 1996.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0503_03
  56. 오구연, 권익현, "제품보증의 유형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제조업체 기업윤리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제11권, 제1호, pp.93-11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