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Trust and Conflict Perception on News Use

사회 신뢰와 갈등 인식이 뉴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지상파, 종합편성, 온라인채널을 중심으로

  • 김형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 허은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콘텐츠스쿨)
  • Received : 2019.01.08
  • Accepted : 2019.03.3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ocial trust and conflict perception of news users on news use. To this end, 548 adults aged 20 and under 69 were surveyed onlin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social conflict has been shown according to people's political orientation. Second, the higher the trust in society, the greater the use of news regardless of land-based, comprehensive, and online channels. Third,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was related to the use of news through JTBC, TV Chosun, Channel A and YouTube. Fourth, the age and political orientation of news users influenced the use of news by channel. Finally, the more progressive the tendency was to use news through JTBC or to watch news on portals. On the other hand, the more progressive the use of news through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TV Chosun, and Channel A decreased.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the user-oriented discussion of the news environment and the impact of an individual's social perception on news use.

본 연구는 뉴스 이용자의 사회 신뢰와 갈등 인식이 뉴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거주 20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5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정치성향에 따라 사회 갈등의 인식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 신뢰 인식이 높을수록 지상파채널, 종합편성채널, 온라인채널의 뉴스 이용이 증가하였다. 셋째, 사회 갈등 인식은 JTBC와 TV조선, 채널A, 유튜브를 통한 뉴스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응답자의 연령대와 정치성향도 채널별 뉴스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진보적 성향일수록 JTBC를 통한 뉴스 이용이나 포털에서 뉴스 다시보기가 증가하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진보적 성향일수록 지상파3사와 TV조선, 채널A를 통한 뉴스 이용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채널 다매체 시대 뉴스환경에 대한 논의를 이용자 중심에서 살펴보고, 개인의 사회 인식이 뉴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표 1. 뉴스 이용 평균과 표준편차

CCTHCV_2019_v19n4_150_t0001.png 이미지

표 2. 연령에 따른 사회 신뢰 및 갈등 인식차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4_150_t0002.png 이미지

표 3. 정치성향에 따른 사회 신뢰와 갈등의 인식차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4_150_t0003.png 이미지

표 4. 뉴스 채널별 이용의 영향 변인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4_150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동윤, 김민하, 김사승, 김익현, 이동훈, 뉴스 수용자의 진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2. 금희조, "뉴미디어 환경이 개인의 사회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4호, pp.5-26, 2009.
  3. L. Festinger, "Cognitive dissonance," Scientific American, Vol.207, No.4, pp.93-106, 1962.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1062-93
  4. 민영, "선택적 뉴스 이용,"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2호, pp.7-34, 2016.
  5. 유수정, 이건호, "메인 뉴스 논조 차별화가 드러낸 한국 종편 저널리즘의 지형,"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1호, pp.7-35, 2017.
  6. 이승엽, 양기문, 이상우, "종합편성채널의 정치적 편향성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1호, pp.149-183, 2017.
  7. R. Lance Holbert, Jay D. Hmielowski, and Brian E. Weeks, "Clarifying relationships between ideology and ideologically oriented cable TV news use: A case of suppress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9, No.2, pp.194-216, 2012. https://doi.org/10.1177/0093650211405650
  8. Su, Min-Hsin, Jiawei Liu, and Douglas M. McLeod, "Pathways to news sharing: Issue frame perceptions and the likelihood of shar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91, pp.201-210, 2019. https://doi.org/10.1016/j.chb.2018.09.026
  9. Stroud, Natalie Jomini, Niche news: The politics of news choice, Oxford University Press on Demand, 2011.
  10. Diehl, Trevor, Matthew Barnidge, and Homero Gil de Zuniga, "Multi-platform news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cross age groups: toward a valid metric of platform diversity and its effect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1077699018783960, 2018.
  11. 강명현, "지상파와 종편채널의 뉴스특성 비교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pp.5-36, 2016.
  12. 김정, 오세성, 진창현, "TV 뉴스 브랜드 이미지가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510-52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510
  13. 조은영, 유세경,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3호, pp.433-461, 2014.
  14. 황유선, "페이스북을 활용한 미디어 기업의 뉴스콘텐츠 제공 전략과 소비자 반응," 경영학연구, 제43권, 제6호, pp.2091-2115, 2014.
  15. 나은경, 이강형, 김현석, "댓글 읽기/쓰기를 통한 온라인 소통이 대의민주주의 사회에서 갖는 의미: 인터넷 뉴스 댓글 이용과 사회신뢰, 정치신뢰, 언론신뢰, 그리고 정치지식,"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1호, pp.109-132, 2009.
  16. 김수정, "누가 맞벌이를 주도하는가? 맞벌이의 이행에서 시기, 연령, 코호트 효과 분석," 한국여성학, 제31권, 제4호, pp.147-180, 2015.
  17. 김재영, 송인덕, "지역신문 독자연구: 이용 동기, 열독기사, 게재희망 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247-265, 2014.
  18. 이강형, 남재일, "종이신문 열독시간 변화 추이: 연령, 코호트 및 시기 효과(2002년-2014년),"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3권, pp.130-156, 2017.
  19. E. Lauf, "The vanishing young reader: Socio-demographic determinants of newspaper use as a source of political information in Europe, 1980-1933,"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6 No.2, pp.233-243, 2001. https://doi.org/10.1177/0267323101016002005
  20. A. M. Lee and H. R. Chyi, "Motivational consumption model: Exploring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news us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91, No.4, pp.706-724, 2014. https://doi.org/10.1177/1077699014550088
  21. C. S. Park and Barbara K. Kaye, "News engagement on social media and democratic citizenship: Direct and moderating roles of curatorial news use in political involvement,"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95, No.4, pp.1103-1127, 2018. https://doi.org/10.1177/1077699017753149
  22. 이정기, 최믿음, 박성복, "대학생들의 신문 이용 동기와 기술수용모델 변인이 유료 모바일 뉴스 콘텐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3호, pp.129-172, 2012.
  23. 이준웅, 문태준, 포털 뉴스의 대두와 다중매체 뉴스이용,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pp.1-63, 2007.
  24. 신태범, 권상희, "국내 청소년의 포털뉴스 이용특성과 뉴스신뢰, 공공성인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1호, pp.241-294, 2013.
  25.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한국인구학, 제33권, 제3호, pp.75-99, 2003.
  26. 전상진,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 한국사회학, 제38권, 제5호, pp.31-52, 2004.
  27. Patricia M. Doney, Joseph P. Cannon, and Michael R. Mulle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National 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3, pp.601-620, 1998. https://doi.org/10.5465/amr.1998.926629
  28. R. C. Mayer, J. H. Davis, and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pp.709-734, 1995. https://doi.org/10.5465/amr.1995.9508080335
  29. 서정록, "국민인식을 기반으로 한 정부신뢰의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30권, 제3호, pp.531-552, 2018.
  30. 김상돈,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치적 성향이 국가기관 불신에 미치는 영향:정부정책 불신의 매개효과," 한국사회학, 제43권, 제2호, pp.25-54, 2009.
  31. 김은미, 김반야, 서민향, "온라인에서 형성되는 사적신뢰와 사회신뢰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3호, pp.7-47, 2014.
  32. R. D.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00.
  33. 황용석, "인터넷 이용과 정치참여에 관한 탐색 연구: 제16대 총선 기간 동안 인터넷 정치사이트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421-150, 2001.
  34. 박종민, 김왕식, "한국에서 사회신뢰의 생성: 시민사회와 국가제도의 역할," 한국정치학보, 제40권, 제2호, pp.146-169, 2006.
  35. 이영희, "민주화와 사회 갈등: 공공정책을 둘러싼 사회갈등의 이해," 동향과 전망, 제61호, pp.36-67, 2004.
  36. 박기묵, 김광재, "방송시장의 경쟁구조와 뉴스콘텐츠 품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706-72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706
  37. 조은영, 유세경,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3호, pp.433-461, 2014.
  38. 강준만, "손석희 현상: 44 개월간의 기록, 2013년 5 월- 2016 년 12 월," 인물과 사상, 제226권, pp.41-81, 2017.
  39. 윤태진, "방송사의 세월호 참사 보도," 문화과학, 제79권, pp.192-212, 2014.
  40. 최진봉, "방송 뉴스의 재난보도 콘텐츠에 대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539-55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539
  41. 홍주현, 나은경, "세월호 사건 보도의 피해자 비난 경향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6호, pp.69-106, 2015.
  42. 김병진, 이상은, 양종훈, "박근혜 대통령 탄핵 보도 편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554-56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554
  43. 이승엽, 양기문, 이상우, "종합편성채널의 정치적 편향성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1호, pp.149-183, 2017.
  44. 전형준, "미디어 이용과 공공갈등 인식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167-184, 2010.
  45. 이창호, 이호영, "포털 이용자들의 포털 뉴스이용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6권, pp.177-210, 2009.
  46. 임양준, "집단적 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5호, pp.55-79, 2009.
  47. 금희조, 조재호,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대화가 정치 지식, 효능감,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3호, pp.452-48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