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Brain Disorder

뇌병변장애인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

  • Received : 2019.03.19
  • Accepted : 2019.04.15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of employment of person with Brain disorder. Participants were 317 individuals with brain disorders.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regression analyses. according to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s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disability and health factors, employment related factors, and household related factors. First, The employ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severe disorder, higher health status, absent of daily life helper, absent of assistive devices, higher level education, licenses, public employment service, job arrangement of acquaintance, find a job oneself, married, absent of basic living security assistance, greater supports of family compared to the unemployed group. Second,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brain disorders included daily life helper, education level, job arrangement of acquaintance, married, basic living security assistance. Base on these results, developing dailylife and education system and social supported system and modifying the benefit system can promote employment acquisition of individuals with brain disorder.

본 연구는 뇌병변장애인의 고용특성 및 취업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17명이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카이스퀘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는 장애건강 요인, 취업관련 요인, 가구관련 요인으로 구성된다. 첫째, 뇌병변장애인 취업집단은 미취업집단에 비해 중증장애,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일상생활 도움제공자가 없는 경우, 보조도구가 없는 경우, 고학력, 유자격증, 공공취업서비스 경험이 있는 경우, 주변인 취업알선 받은 경우, 직접 구직 문의 경험이 있는 경우, 유배우자, 비수급자, 가족 취업지지가 높은 경우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뇌병변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상생활 도움제공자, 학력, 주변인 취업알선 경험, 배우자, 기초생활보장수급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장애인의 취업 활성화를 위하여 일상생활, 교육제도, 사회관계망의 강화와 기초생활보장수급제도의 수정에 대해 제시하였다.

Keywords

표 1. 장애인 경제활동상태 추정(15세 이상 인구)

CCTHCV_2019_v19n5_542_t0001.png 이미지

표 2. 15개 장애유형별 장애인 취업자 수 및 고용률

CCTHCV_2019_v19n5_542_t0002.png 이미지

표 3. 주요변수

CCTHCV_2019_v19n5_542_t0003.png 이미지

표 4. 변수 특성

CCTHCV_2019_v19n5_542_t0004.png 이미지

표 5. 취업자 특성

CCTHCV_2019_v19n5_542_t0005.png 이미지

표 6. 집단 차이

CCTHCV_2019_v19n5_542_t0006.png 이미지

표 7. 뇌병변장애인 취업 영향요인

CCTHCV_2019_v19n5_542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s://www.yna.co.kr/view/AKR20180912083900002, 2018.9.12.
  2.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21410005492292, 2019.2.14.
  3. 통계청, 2018년 12월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018.
  4. 박자경, 김종진, "청년층 장애인 일자리 특성 및 취업결정요인," 직업재활연구, 제27권, 제1호, pp.1-22, 2017.
  5. 류정진,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 및 취업률이 남성장애인에 비해 낮은 원인과 대응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6. 박혜원, 김호진, 방종관, 임예직, 유완식, 김언아, 2018년 장애인 경제활동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7. http://www.moleg.go.kr/main.html
  8.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18권, 제2호, pp.57-82, 2008.
  9. 김재익, 박경순, "뇌성마비인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재활복지, 제22권, 제1호, pp.87-114, 2018. https://doi.org/10.16884/JRR.2018.22.1.87
  10. 강순화, 손용근, "뇌병변장애인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3호, pp.199-224, 2008.
  11. 임종호, "뇌성마비인의 고용 결정 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pp.311-336, 2006.
  12. T. Achterberg, H. Wind, A. de Boer, and M. Frings‑Dresen, "Factors that promote or hinder young disabled people in work particip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Vol.19, No.2, pp.129-141, 2009. https://doi.org/10.1007/s10926-009-9169-0
  13. 김성희,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4. 나운환, 정명현, "장애인의 실업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6호, pp.267-285, 2004.
  15. 류정진, 나운환,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2호, pp.167-193, 2006.
  16. 백은령, 전동일,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특성과 직업유지 결정요인," 직업재활연구, 제17권, 제2호, pp.219-237, 2007.
  17. 양정빈,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226-253, 2015.
  18. 오소윤, 나운환,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5권, 제3호, pp.517-536, 2016.
  19. 이선우, "장애인의 경제활동유형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Multinominal Logit(다항로짓)을 이용한 분석,"사회복지연구, 제18권, pp.113-135, 2001.
  20. 전이상,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1. 정병오, "여성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복지행정논총, 제20권, pp.143-174, 2010.
  22. 최운정, 박경수, 이석호,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3호, pp.123-146, 2014.
  23. 김세연, 구인순, 박자경,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318-32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318
  24. 오세란,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1호, pp.255-278, 2017.
  25. 이석원, 정솔,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6권, 제1호, pp.41-66, 2016.
  26. 조민수,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1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9.
  27. 김정아, 나운환, 김지민,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2권, 제4호, pp.321-338, 2013.
  28. 변용찬, 이정선,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55권, 제1호, pp.153-171, 2005.
  29. 이형열, "장애유형별 취업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직업훈련, 직업만족이 직업유지 기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제32권, pp.109-134, 2007.
  30. 강동욱, "노동시장의 여성장애인 이중차별구조," 사회복지정책, 제15권, pp.7-32, 2002.
  31. 유동철, "여성지체장애인에 대한 이중차별분석: 고용과 임금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15권, pp.73-108, 2000.
  32. T. M. Butterfield and J. H. Ramseur, "Research and case study findings in the area of workplace accommodations including provisions for assistive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32, No.1, pp.201-210, 2004.
  33. A. Honey, M. Kariuki, E. Emerson, and G. Llewellyn, "Employment Status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ability," Australia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49, No.2, pp.214-235, 2014.
  34. G. B. Lewis and C. L. Allee, "The impact of disabilities on federal career succes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52, No.4, pp.389-397, 1992. https://doi.org/10.2307/3110399
  35. R. Melin and A. R. Fugl-Meyer, "On predi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at a Swedish employ ability institut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5, No.6, pp.284-289, 2003. https://doi.org/10.1080/16501970310012437
  36. Y. Wang and Y. Lin, "Employment outcome predict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aiwan: A Preminary study using ICF conceptual framework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79, No.2, pp.3-14, 2013.
  37. 백은령, "여성장애노인의 특성과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총신대논총, 제27권, pp.114-146, 2007.
  38. 곽지영, 신은경, "국민기초수급대상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장애와 고용, 제16권, 제2호 pp.5-26, 2006.
  39.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79-104, 2010.
  40. 최진혁, 신별해, "발달장애인 취업의 성공 및 저해 요인 연구," 지적장애연구, 제20권, 제2호, pp.67-90, 2018.
  41. D. Pfeiffer, "The Influence of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disabled people on their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Disability, Handicap and Society, Vol.6, No.2, pp.103-114, 1991. https://doi.org/10.1080/0267464916678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