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of Manager's Positive Leadership,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헌신 및 직무성과의 관계

  • 윤성혁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학습학과) ;
  • 정기수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학습학과)
  • Received : 2019.06.18
  • Accepted : 2019.07.18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manager' positive leadership,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organizational members 387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As a result of analysis, positive leadership factors such as positive climate, positive relationships, positive communication and positive mea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job performance in company. The positive leadership factors such as positive climate, positive relationships, positive communication and positive meaning showed 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in indirect mann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worthwhile tha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ositive leadership of manage on the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as verified, and th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role and importance of manager' positive leadership.

본 연구에서는 기업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과 조직에 대한 헌신 및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기업 조직의 20대-40대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Sobel-test를 통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 요인인 긍정적 분위기조성, 긍정적 관계촉진,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미부여 요인 모두 조직 구성원의 조직헌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조직 구성원의 조직헌신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 요인인 긍정적 분위기조성, 긍정적 관계촉진,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미부여 요인 모두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조직헌신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인적자원전략에 있어서,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을 적용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헌신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고,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의 역할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철, 긍정조직 형태의 주요 요인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진성리더십, 심리적 자본, 심리적 주인의식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 탁진규, 노태우,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319-33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319
  3. 가선영, 남승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pp.125-146, 2018.
  4. 김남균, 진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가 LMX의 조절효과 검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K. Cameron and A. Caza, "Organizational and leadership virtues and the role of forgiveness,"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Vol.9, No.1, pp.33-48, 2002. https://doi.org/10.1177/107179190200900103
  6. 박수용, 중소기업 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 태도, 학습조직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최영준, 긍정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및 과정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 권욱, 긍정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내재적 동기부여와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 J. K. Harter, F. L. Schmidt, and T. L. Hayes, Business-unit-leve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engagement, and business outcomes: a meta-analysis, 2002.
  10. L. W. Fry and L. L. Matherly, Spiritual leadership as an integrating paradigm for positive leadership development, International Galup Leadership Summit, Washington, DC., 2006.
  11. D. Arakawa and M. Greenberg, "Optimistic managers and the influence on productivity and employe engagement in a technology organization: Implications for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2, No.1, pp.78-89, 2007.
  12. C. M. Youssef-Morgan and F. Luthans, "Positive leadership: Meaning and application across cultures," Organizational Dynamics, Vol.42, No.3, pp.198-208, 2013. https://doi.org/10.1016/j.orgdyn.2013.06.005
  13. 김찬성, 외식기업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삶의 태도, 직무적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4. 최병완, 긍정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5. K. Cameron, Positive leadership: Strategies for extraordinary performance, Berrett-Koehler Publishers, 2012.
  16. E. E. Lawler, Treat people right: How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an propel each other into a virtuous spiral of success, Jossey-Bass, 2003.
  17. 김명언, 비범한 성과를 만들어 내는 긍정에너지 경영, 서울: 지식노마드, 2009.
  18. A. Wrzesniewski, "Finding positive meaning in work.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Vol.15, No.1, pp.296-308, 2003.
  19. 이공희, 이호선, "상사부하 교환관계, 권력거리, 개인주의-집단주의가 이직의도,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권, 제3호, pp.135-167, 2012.
  20. 이정미,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구조모형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1. 임동호, 김대석, "지역아동센터 상담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196-2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96
  22. A. Somech and R. Bogler,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cher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8, pp.555-577, 2002. https://doi.org/10.1177/001316102237672
  23. 김명호, 스포츠 이벤트 안전업무 종사자의 직무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도, 조직유효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4. 박해경, "코칭리더십이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368-38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368
  25. 박양규, 박한나, "직무태도-성과관계에서 공정성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3-39, 2011.
  26. 이석미, 이은영, 조상미, "휴먼서비스 조직의 조직효과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3호, pp.33-68, 2009.
  27. 김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 결정 모형: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직무동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8. 김미희, 신유형, 문철우, "개인-직무 적합성과 과업 및 맥락 성과," 인사조직연구, 제20권, 제1호, pp.93-128, 2012.
  29. 한서윤, 항공사의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와 객실승무원의 경력성공 및 직무성과 간 관계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0. E. Demerouti, A. B. Bakker, and M. Leiter, "Burnout and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trategi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9, No.1, pp.96-107, 2014.
  31. 김화선, 노인복지실무자의 역량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2. 이신전, 송계충, "문화지능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의 문화적응의 매개 역할 분석,"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5권, 제2호, pp.75-100, 2012.
  33. 변찬복, 조경섭, "직무만족 및 소진이 조직시민행동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제8권, 제3호, pp.145-167, 2012.
  34. S. T. Hannah, R. L. Woolfolk, and R. G. Lord, "Leader self-structure: a framework for positive leader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0, No.2, pp.269-290, 2009. https://doi.org/10.1002/job.586
  35. G. Chen and R. J. Klimoski, "The impact of expectations on newcomer performance in teams as mediated by work characteristics, social exchanges, and empower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pp.591-607, 2003. https://doi.org/10.2307/30040651
  36. D. O. Clifton and J. K. Harter, "Investing in strength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111-121, 2003.
  37. W. Baker and J. E. Dutton, "Enabling positive social capital in organizations. Exploring positive relationships at work," Building A Theoretical and Research Foundation, pp.325-345, 2007.
  38.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2007. https://doi.org/10.2307/256287
  39. 옥지호,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직화 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0. 고성훈, "조지기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컴페션과 긍정리더십이 집단적 자긍심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전문경영인연구, 제21권, 제4호, pp.39-59,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