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Effects of Learners'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Patterns on Program Understanding and Writing in Basic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기초 코딩 교육에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이 프로그램 이해와 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박찬정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현정석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20.01.16
  • Accepted : 2020.02.28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As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December 2019,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plans to expand software and AI education to mandator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y 2022. In addi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ost universities are actively engaged in software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but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Nowadays, college students, called Millennial and Generation Z, prefer visual information and are familiar with computers as digital nativ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styl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n examined whether the students'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styles influenced coding-based problem solving in coding subjects.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an alternative to do programming education more efficiently for students who are new to coding.

최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2019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까지 초·중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을 필수교육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물론, 대부분 대학교에서도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불리는 요즘 대학생들은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고 디지털 네이티브로 컴퓨터에 익숙하다.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을 조사한 후, 기초 코딩 과목에서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유형이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코딩 기반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코딩이 처음인 컴퓨터 비전공자 학생들을 위한 코딩 활동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보도자료. http://www.moe.go.kr/web/100063/ko/board/view.do?bbsId=316&boardSeq=62381& mode=view에서 인용.
  2.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2015).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2015 개정시기. http://ncic.go.kr/mobile.dwn.ogf.inventoryList.do#에서 인용.
  3. 손병국.송상호 (2018).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에듀테인먼트 특성에 대한 주관성 유형 탐색.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2), 177-193.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2.177
  4. 주현재.이현민.최성경 (2019). 4Cs 역량 증진을 위한 코딩 교양 교과목 개발 - S 전문대학 교양 교육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1(6), 817-846.
  5. 오소희.김응진.김성식 (2017).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엔트리 프로그래밍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5), 61-68. https://doi.org/10.32431/KACE.2017.20.5.005
  6. 소프트웨어중심대학. http://www.software.kr/um/um03/um0303/um030302/um03030203.do에서 인용.
  7. 피수영 (2016). IT 융합교육을 위한 비전공자 코딩교육의 발전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4(10), 1-8. https://doi.org/10.14400/JDC.2016.14.10.1
  8. 이민정 (2017). 비전공자 SW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모형의 효과성 탐색: SW 해결안의 시각적 표현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7), 1313-1321.
  9. Scratch. https://scratch.mit.edu/에서 인용.
  10. AppInventor. http://ai2.appinventor.mit.edu/에서 인용.
  11. Kim, K., & Kim, H. (2014).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computer programming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339-348.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339
  12. Python Software Foundation. (2017). Python about. https://www.python.org/about/에서 인용.
  13. Guo, P. (2014). Python is Now the Most Popular Introductory Teaching Language at Top U.S. Universities, BLOG@CACM, http://cacm.acm.org/blogs/에서 인용.
  14. https://cacm.acm.org/blogs/blog-cacm/176450-python-is-now-the-most-popular-introductory-teaching-language-at-top-u-s-universities/fulltext에서 인용.
  15. 이영석 (2018).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파이썬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3), 73-78. https://doi.org/10.15207/JKCS.2018.9.3.073
  16. 윤인성 (2019).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한빛미디어.
  17. 원유헌 (2011). 프로그래밍 언어 개념. 정익사.
  18. Koschke, R. (2003). Software Visualization in Software Maintenance, Reverse Engineering, and Re-engineering: A Research Survey. Journal of Software: Evolution and Process, 15(2), 87-109.
  19. Brumberger, E. (2011). Visual Literacy and the Digital Native: An Examination of the Millennial Learner. Journal of Visual Literacy, 30(1), 19-47. https://doi.org/10.1080/23796529.2011.11674683
  20. Moody, D. L. (2010). The "Physics" of Notations: A Scientific Approach to Designing Visual Notations in Software Engineering. 2010 ACM/IEEE 3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2, 485-486.
  21. 박찬정.현정석 (2018).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시각적 다이어그램 구조화의 성별 및 추상적 사고 성향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3), 11-2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3.002
  22. 박찬정.현정석.진희란.정혜선 (2015). C와 스크래치 프로그램 이해에 대한 고등학생의 추상적 사고, 언어 친밀성,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6), 1-12. https://doi.org/10.32431/KACE.2015.18.6.001
  23. 신지형 (2019).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미디어 이용. KISDI STAT Report, 19(4), 2-7.
  24. Hattwig, D., Bussert, K., Medaille, A., & Burgess, J. (2013). Visual literacy standards in higher education: New opportunities for libraries and student learning. Libraries and the Academy, 13(1), 61-89. https://doi.org/10.1353/pla.2013.0008
  25. 강인애.이재경.남미진 (2014). 융합인재교육(STEAM) 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효과 연구: 인포그래픽 동영상 만들기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 30(1), 89-110.
  26. Kiper, A., Arslan, S., Kiyici, M., & Akgun, O. E. (2012). Visual Literacy Scale: The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Online Journal of New Horizons in Education, 2(2), 73-83.
  27. Pem, K. (2019). Enhancing High Order Science Visual Literacy Skills in Biology Learners. Open University of Mauritius. Online Submission.
  28. Vallacher, R. R. & Wegner, D. M. (1987). What Do People Think They're Doing? Action Identification and Human Behavior. Psychological Review, 94(1), 3-15. https://doi.org/10.1037/0033-295X.94.1.3
  29. Vallacher, R. R. & Wegner, D. M. (1989). Levels of Personal Agency: Individual Variation in Action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4), 660-671. https://doi.org/10.1037/0022-3514.57.4.660
  30. Trope, Y. & Liberman, N. (2003). Temporal Construal. Psychological Review, 110(3), 403-421. https://doi.org/10.1037/0033-295X.110.3.403
  31. Trope, Y. & Liberman, N. (2010).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117(2), 440-463. https://doi.org/10.1037/a0018963
  32. George, D. & Mallery, P. (2003).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1.0 update. (4th ed), Allyn & Bacon, Boston.
  33. 이학식.김영 (2002). SPSS 10.0 매뉴얼. 법문사.
  34. 남준우.이한식 (2010). 계량경제학 이론과 EViews/Excel 활용 (제3판). 홍문사.
  35. Daniels, S. (2019). Why Visual Learning and Teaching?https://www.insightresources.org/2019/04/26/why-visual-learning-and-teaching/에서 인용. (Visual Learning and Teaching: An Essential Guide for Educators K-8에서 발췌).
  36. 백순근 (2007). 교육연구 및 통계작성. 교육과학사
  37. 임시혁 (2017). 통계자료의 분석의 이해와 적용. 아카데미프레스.
  38. 김재휘.김태훈.박인희 (2010). 예방 행동의 결과를 얻는 시점에 따른 효과적인 설득 메시지 유형: 해석수준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 광고, 11(3), 451-474.
  39. Entry. https://playentry.org/#!/에서 인용.
  40. https://www.thecampbellinstitute.org/wp-content/uploads/2017/09/Campbell-Institute-Visual-Literacy-WP.pdf 에서 인용.
  41. 박소라.김정선 (2011). 시각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그 림책의 그림 읽기 전략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30, 27-53. https://doi.org/10.35657/JAE.2011.30.0.002
  42. Lohr, L. L. (2007). Creating graphics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Lessons in visual literacy. Prentice Hall Press.
  43. https://www.pathstoliteracy.org/blog/recognizing-and-building-abstract-thinking-child-visual-impairment#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