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Brain-Based Evolutionary STEAM Education on Scientific Interest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1.02.18
  • Accepted : 2021.04.14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olutionary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brain and to analyze its effects on scientific interest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 different topics based on four scientific field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were derived from the science textbook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build a brain-based evolutionary STEAM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subjects were 90 fourth graders of S-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Ko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45 students and a comparative group of 45 studen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of scientific intere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brain-based evolutionary STEAM education had meaningful effect on improving 'interest in scientific learning' and 'anxiety about scientific learning'. Second, according to the paired samples t-test of scientific inter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d 'interest in scienc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effect on the comparative group. Third, scientific creativity and origina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class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Fourth, although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cientific creativity after the class, both groups had improved scientific creativity between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STEAM education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육이 중시하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창의성을 더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해,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 모형(ABC-DEF)을 STEAM 교육에 적용하여, 새로운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소재 S 초등학교 4학년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비교반(45명) 학생들에게는 교과서·지도서 기반 STEAM 교육수업을, 실험반(45명) 학생들에게는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수업을 실시하였고, 수업 전후에 과학 흥미 검사와 과학 창의성 검사를 각각 시행하여 그 결과를 좌우·전후 비교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정량적 검사로 드러나지 않는 특성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생 관찰지, 면담일지를 추가로 분석하여 정성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흥미 변인에 대하여 독립 표본 검증(좌우비교)을 시행한 결과,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교과서 기반 STEAM 교육 수업보다 상대적으로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는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학 흥미 변인에 대하여 종속 표본 검증(전후 비교)을 시행한 결과, 사전·사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교과서 기반 STEAM 교육에 반해,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은 수업 전후에 따라 과학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 창의성 변인에 대한 독립표본 검증(좌우비교)을 시행한 결과, 뇌기반 진화적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교과서 기반 STEAM 교육수업보다 학생의 과학 창의성 점수와 독창성 점수를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과학 창의성 변인에 대한 종속 표본 검증(전후비교)을 시행한 결과, 두 가지 교수·학습 방법 모두 수업 전후에 따라 학생의 독창성, 유용성, 과학 창의성 점수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육과 STEAM 교육 연구에 관한 함의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0). 2011년 업무계획 보고 자료.
  2.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1].
  3. 교육부(2015b). 2015 개정 과학 교육과정. 국가 교육과정 정보센터.
  4. 교육부(2018). 과학 4-2 교사용 지도서. (주)비상교육.
  5. 권용주, 이준기(2010). 분류 지식의 생성과 이해 형태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두뇌활성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87-497.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487
  6. 김덕호, 고동국, 한명재, 홍승호(2014).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43-5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1.1.00043
  7. 김두정(2010). 뇌 과학: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28(3), 127-145.
  8. 김민주, 임채성(2020).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과 다중지능의 관계-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369-381.
  9. 김소영,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2016). '식물의 한 살이' 단원에서 속성 배추를 활용한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이 초등학생의 흥미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5(3), 336-347.
  10. 김재영, 임채성, 백자연(2014).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79-587.
  11. 김지원, 원효헌(2014).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창의성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지, 27(4), 965-985.
  12. 김지은,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2015). 정의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생물과 환경'단원에 대한 초등 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3(4), 464-472.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4.464
  13.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14. 김홍정, 홍옥수, 조향숙, 임성민(2013).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269-289.
  15. 류제정, 이길재(2013). 뇌 기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와 초등일반학생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1), 36-46.
  16. 박형민, 김재영, 임채성(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야외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흥미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2), 252-263.
  17. 박혜원, 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18.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9.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 보고서.
  20.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21. 윤종현(2011).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과학 교과서. 교과서연구, 65, 24-28.
  22. 이석진, 김남숙, 이윤진, 이승진(2017). 융합인재교육(STEAM)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87-10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87
  23. 이은주, 김재영, 임채성(2015). 초등 과학 창의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69, 49.
  24. 이종승(2009).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5. 임라미, 임채성(2018).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 수준별 자유탐구 안내자료 개발 및 효과. 초등과학교육, 37(3), 233-253.
  26. 임채성(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27. 임채성(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28.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29. 장영록, 민영경, 김주현, 임동욱, 김석희, 신연옥, 손미현, 오우상(2015). 눈에 보이는 STEAM교육. 한국과학창의재단.
  30. 정진수, 민영경, 박청담, 홍후조, 권혁수, 이경진, 민부자, 박기석, 임유나, 임혜진(2013). 융합인재교육(STEAM) 교육과정 총론 연계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31. 최은영(2017). 학습자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미술과 중심 STEAM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미술교육연구논총, 48, 187-223.
  32. Bradley, A. (1999). Zeroing in on teachers: Quality counts '99. Education Week, 18(17), 46-52.
  33. Jesen, E. (2000). Brain-based learning 2nd Ed. Turning Point Publishing.
  34. Koren, Y., Klavir, R., & Gorodetsky, M. (2005). Students' multi-modal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9(3), 191-212. https://doi.org/10.1002/j.2162-6057.2005.tb01258.x
  35. Kwon, Y. J., Lee, J. K., Shin, D. H., & Jeong, J. S. (2009). Changes in brain activation induced by the training of hypothesis generation skills: An fMRI study. Brain and Cognition, 69, 391-397. https://doi.org/10.1016/j.bandc.2008.08.032
  36. Martin, M. O., Mullis, I. V., Foy, P., & Stanco, G. M.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Herengracht 487, Amsterdam, 1017 BT, The Netherlands.
  37. Mullis, I. V., Martin, M. 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pp. 139-171).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38.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 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52&3_01
  39.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Successful K-12 STEM education: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e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National Academies Press.
  40. Sousa, D. A. (2001). How the brain learns. Corwin Press.
  41. Weisberg, R.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 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John Wiley & Sons.
  42. Wenglinsky, H. (2005). Using technology wisely: The keys to success in schools.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