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eanographic Condition of the Coastal Area between Narodo Is. and Solido 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Disappearance of Red-Tide Observed in Summer 1998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 최현용 (군산대학교 해양정보과학과)
  • Published : 2001.05.31

Abstract

Hydrographic surveys were carried out seven times during May 31, 1998 and September 24, 1998 in order to study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coastal area between Narodo Is. and Sorido 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outh Sea) where the occurrenc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is frequently observed in summer.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water column from the surface to the depth of 30 m exhibit large seasonal variations. Mean temperature of the water column increased by 6 and mean salinity of the water column decreased by 2.71 psu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Both the freshwater supplied from the adjacent land and the precipitation over the study area cannot account for the observed salinity variations. The influx of the low salinity water from the offshore area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for the observed salinity changes. Surface salinity in the study area shows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in the period of outbreaking, mid-stage and disappearance of the red tide. Especially, salinity was abruptly lowered at the stage of disappearance of red tide as compared to salinity of the previous observation period. Vertical structure of water properties also became vertically homogeneous at the disappearance stage, while it was highly stratified in the previous observation. Such changes can only be explained by the inflow of low salinity water from the offshore,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possible cause for the disappearance of the red tide in the study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exchanges of water, and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between coastal areas and of shore area in the South Sea need to be studied in association with the general circulation of the South Sea in order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the red tide in the coastal area of the South Sea.

Cochlodinium polykrikoides 유해성적조 발생지역인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물리적인 환경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8년 5월31일부터 9월 24일까지 7회에 걸쳐 수온 및 염분을 관측하였다. 연구해역의 표층에서 30m깊이까지의 수층에서는 관측 초기인 춘계부터 하계로 갈수록 수온이 증가하고 염분은 낮아지는 물성의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하였는데 수층전체의 평균수온은 총 조사기간동안 $6^{\circ}C$ 증가하고 평균염분은 2.71 psu 낮아졌다. 관측된 평균염분의 변화는 연구해역의 강수와 인접육지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담수량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으며, 남해외해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저염수에 의해 일어났을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해역에서 적조의 발생시기, 진행시기 및 적조가 사라진 시기에 염분의 공간적인 분포가 다른 특징을 보였으며, 특히 적조가 사라진 시기에는 염분이 직전 시기에 비해 크게 낮아지고 수층구조도 직전시기의 성층구조에서 혼합층구조로 변화하였는데, 이와 같은 변화는 남해 외해역으로부터 저염수의 유입으로만 설명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물리적인 해수유동이 이 해역에서 적조가사라진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남해 연안역의 적조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접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환경적 요소들은 물론 대상해역을 포함한 남해 외해역의 해수순환특성, 그리고 해수순환에 의해 이송되는 해수의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연구해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 연안의 적조.
  2. 수로기술연보
  3. 해양조사연보
  4. 한국수산학회지 v.28 no.1 1992-93년 하계 득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김상우;조규대;노흥길;이지철;김상현;신상일
  5.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no.4 한국 남해의 해수순환:2차원 순압모델, 김충기;장경일;박경;석문식
  6. 조류도. no.1421
  7. 해창만 배수갑문 시설에 따른 어업권 피해 감정조사보고서
  8.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no.1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 화학적인 특성. 양재삼;최현용;정해진;정주영;박종규
  9. 한국수산학회지 v.29 no.1 여수연안 및 동죽구해의 세균상: 1. 일반세균, Vibrio spp., 대장균 균수에 따른 수평분포. 한국수산학회지 정규진;신석우
  10. 한국해양공학회지 v.7 no.1 여름철 남해의 저염화와 수송량. 조양기;김구;노흥길
  11. 한국수산학회지 v.30 no.2 거금수로 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변동. 추효상;이규형;윤양호
  12. Proceedings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xic Dinoflagellate Blooms, Wakefield, Massachusetts, Massachusetts Science and Technology Foundation Physiological ecology of Gonyaulax polyedrum, a red tide water dinoflagellate of southern California. Eppley, R. W.;W. G. Harrison;Locicero, V. R.(ed)
  13. Cont. Shelf Res. v.17 no.7 Cross-shelf intrusion of subtropical water into the coastal zone of northeast New Zealand. Sharples, J.
  14. Physiological Ecology of Harmful Algal Bloom, NATO ASI series v.G41 Bloom dynamics and Physiology of Gymnodinium breve with emphasis on the Gulf of Mexico. Steidinger, K. A.;G.A. Vargo;P. A. Tester;C. R. Tomas;D.M. Anderson;A.D. Cembetla;G.M. Hallegrae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