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기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 -화학적 특성

  • 임동일 (한국해양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엄인권 (한국해양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전수경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유재명 (한국해양연구원 생태환경연구본부) ;
  • 정회수 (한국해양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emporal estuarine environment form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consecutive rainy days with average 50 mm day$^{-1}$ precipitation)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Sea of Korea. The freshwater from the Seomjin River was characterized by lower temperature, salinity and pH, and high concentrations of COD and nutrients. In the summer flood season, such peculiar Somejin-River freshwater was dispersed southward along the coast of Yeosubando-Dolsando-Geumodo, form-ing temporal estuarine environment (defined as "Coastal Pseudo-Estuary" in this study) throughout the entire study area (as far as 60 km from the Seomjin River mouth). Compared to the winter dry season, the DIN/DIP ratio was almost doubled (16-36)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This excessive nitrate supply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was probably due to nitrogenous fertilizer. Distribution and behaviors of physiochemical factors in this coastal pseudo-estuarine environment were controlled not only by the runoff of the Seomjun River (physical mixing of river water with seawater) but also by the biogeochemical estuarine processes which are mostly similar to those of the river estuary.r estuary.

본 논문은 섬진강 담수가 해양으로 유입하는 남해의 여수해협 -소리도 연안 해역에서 홍수기 (일평균 강우량 50 mm 이상이 10일간 지속)동안 형성된 염하구 환경의 물리-화학적 특성(공간분포 및 조절인자)에 관하여 조사 . 연구한 결과이다. 섬진강 담수는 해수와 비교하여 수온, 염분, pH가 낮고 COD와 영양염(특히 질산염 ) 농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겨울철 갈수기와 달리 여름철 홍수기에는 이러한 특성의 담수가 섬진강 하구에서 약 20~60 km떨어진 전 연구해역으로 유입ㆍ확산되어 광범위한 염하구 환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홍수기 동안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염하구를 일반적인 강 하구의 염하구(river estuary)와 구분하여 “연안 염하구(coastal pseudo-estuary)"로 정의 하고자 한다. 한편, DIN/DIP비는 겨울철 갈수기보다 여름철 홍수기에 훨씬 더 높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논에서 사용되는 질소 화학비료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안 염하구 환경의 해수중에서 물리-화학적 인자들의 공간 분포와 거동 특성은 일차적으로 섬진강이 공급하는 담수와 해수의 물리적 혼합과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탈착 및 기타 생지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안 염하구 환경 특성은 전반적으로 강 하구의 염하구 환경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월보 2002 기상청
  2. 한국기상학회지 v.4 10대강 유역의 물수지. 김광식
  3.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3 1996년 여름철 남해 표층수의 이상저염수 현상과 영양염류의 분포 특성. 김성수;고우진;조영조;이필용;전경암
  4.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v.43 마산만의 편모조 적조의 발생과 환경특성. 김학균
  5. 한수지 v.34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영양염의 거동. 권기영;문창호;양한섭
  6.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6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동-식물플랑크톤의 현종량 및 종조성. 권기영;이평강;박철;문창호;박미옥
  7.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전남 고흥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양재삼;최현용;정해진;정주영;박종규
  8.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7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연구 1.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변화. 유영두;정해진;심재형;박재연;이경재;이원호;권효근;배세진;박종규
  9.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2 퇴적물 내 유기물의 초기 속성작용에 나타난 유기 질소의 선택적 분해. 이강현;한명우
  10.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양양염 분포 특성. 이동섭
  1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3 228Ra을 이용한 이상 저염 대마난류의 기원 추적 연구. 이동섭;김기현
  12.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6 Cocholdinium polyrikoides 적조발생기작과 대책 1. Cocholdinium polyrikoides 적조 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이영식;박영태;김영숙;김귀영;박종수;고우진;조영조;박승윤
  13.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6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증식의 제한영양염. 이영식;이재성;정래홍;김성수;고우진;김귀영;박종수
  14.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정해진;박종규;최현용;양재삼;심재형;신윤근;이원호;김형섭;조경제
  15.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6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학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최현용
  16. Marine Geochemistry Chester, R.
  17. Cont. Shelf Res. v.4 Chemical dynamics of the Changjiang estuary. Edmond, J.M.;A. Spivack; B.C. Grant;H. Ming-Hui;C. Zexiam;C. Sung;Z. Xiushau https://doi.org/10.1016/0278-4343(85)90019-6
  18. Mar. Ecol. Prog. Ser. v.82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Fisher, T.R.;E.R. Peele;J.W. Ammerman;L. Harking https://doi.org/10.3354/meps082051
  19. Estuar. Coast. Shelf Sci. v.25 Nurt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in a brackish water bay highly influenced by river discharge. Graneli, E. https://doi.org/10.1016/0272-7714(87)90114-4
  20. J. Exp. Mar. Biol. Ecol. v.140 Phosphate limitation in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of China. Harrison, P.J.;M.H. Hu;Y.P. Yang;X. Lu https://doi.org/10.1016/0022-0981(90)90083-O
  21. Limnol. and Oceanogr. v.33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t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richment. Hecky, R.E.;P. Kilham https://doi.org/10.4319/lo.1988.33.4_part_2.0796
  22. Nitrogen In Marine Environment Nitrogen Kaplan, W.A.;Carpenter E.J.(ed);D.C. Capone(ed)
  23.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orption behaviour of radium isotopes and nutrient fluxes in the Seomjin estuary of Korea, during high river discharge. Kim, T.J.
  24. Ocean Research v.10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utrients at the cultivation ground of laver in Kwamgyang Bay. Kim, S.H.;C.B.;Song, S.H.;Kang, D.B.;Yang and Hong, J.S.
  25. Japan. Wat. Res. v.30 Kimiting nutrient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Hiroshima Bay. Lee, Y.S.;T. Seiki;T. Mukai;K. Takimoto;M. Okada https://doi.org/10.1016/0043-1354(95)00307-X
  26. J. Oceanogr. Soc. Korea[The Sea] v.6 Kimiting Nutrient on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Lee, Y.S.;J.S. Lee;R.H. Jung;S.S. Kim;W.J. Go;K.Y. Kim;J.S. Park
  27. Nitrogen In Marine Environment Nitrogen in Estuaries and Coastal Marine System. Nixon, S.W.;M.E. Pilson;Carpenter E.J.(ed);D.C. Capone(ed)
  28.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arsons, T.R.;Y. Maita;C.M. Lalli
  29. J. Oceanogr. Soc. Korea v.10 On the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Kwangyang Bay. Shim, J.H.;Y.K. Shin;W.H. Lee
  30. The Yellow Sea v.5 Features of plane distributions and seasonal variations of dissolved oxygen over the Yellow Sea. Wang, B.D.;G.Y. Wang;G.H. Hong;C.S. Chung
  31. Estuar. Coast. Shelf Sci. v.46 Excess nitrate in the East China Sea. Wong, G.T.F.;G.C. Gong;K.K. Liu;S.C. Pai https://doi.org/10.1006/ecss.1997.0287
  32. The Yellow Sea v.7 Blooming of Skeletonema costatum in relationship to environmental factors in Jiaozhou Bay, China. Yu. Z. Song;W. Huo;B. Zh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