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level Analysis of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Caterers for Elementary School Lunch Services

초등학교 급식 조리노동자의 근골격계증상 위험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연구

Jung-Choi, Kyung-Hee;Lee, Sang-Yun;Ki, Myung;Cho, Kee-Hong;Kang, Hee-Tae;Kwon, Young-Jun;Kim, Hyun-Joo;Kim, Myoung-Hee;Min, Kyoung-Bok;Park, Hye-Sook;Kim, Jeong-Youn;Ha, Eun-Hee;Paek, Do-Myung
정최경희;이상윤;김기명;조기홍;강희태;권영준;김현주;김명희;민경복;박혜숙;김정연;하은희;백도명

  • Published : 20041200

Abstract

Objectives: To examine the complaint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o fin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caterers for school lunch servic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85 caterers who were working for school lunch services in 71 elementary schools and 114 housewives who had visited a hospital for routine health check-up. A self-record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labor conditions, job stress and nature of musculoskeletal symptom. Caterers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03 and the housewives during September by post. The ergonomic risk factors were examined for the cater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Kyonggi Province in November, 2003. Results: The complaint proportion of self-reported posi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52.0% and that of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24.9%. Ergonomic assessment revealed that washing the dishes, carrying the soup containers and cleaning the sewage drain were highly risky activities in terms of repetitive and heavy weight-bearing motions. As for personal factors, the caterers having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had high psychological job demand. As for the workplace factors, the proportion of schools having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significant higher where each caterer prepared more than 150 lunches. Among schools without school lunchroom, more schools had caterers having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Using multilevel analysis, we found that the number of lunches to be prepared per caterer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O.R. 4.67).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lunches prepared per cater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that caterers work in an ergonomically highly risky job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caterers be increased to decrease the number of lunches prepared per caterer and the ergonomic environment be improved.

목적: 초등학교 급식 조리노동자의 근골격계증상 호소율 및 특성을 파악하고 근골격계증상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출군은 초등학교 급식 조리노동자 385명으로 2003년 9월 15일부터 2003년 10월 15일까지 일반적 특성, 노동조건, 직무스트레스, 근골격계증상에 대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비노출군은 전업주부 114명을 대상으로 2003년 9월 중 우편설문작업을 하였다. 인간공학평가는 2003년 11월 경기도 지역의 일개 초등학교 조리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급식 조리노동자 중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자는 52.0%, 근골격계질환 의심자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사람은 24.9 %로 조사되었다. 전업주부에 비해 근골격계질환 의증의 위험도가 5.01배 더 높았다. 자각증상 양성부위는 손/손목, 어깨, 등/허리, 팔 순이었다. 인간공학평가 결과 식판 설거지 과정, 국통 나르기 작업, 배수구청소작업 등이 반복 작업과 중량물취급 면에서 매우 위험이 높은 작업으로 평가되었다. 개인수준 요인들의 분포에서는 근골격계질환 의증이 있는 사람에서 정신적 직무요구도가 높았고, 연령, 근무기간, 조합원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업장수준 요인 중에서는 1인당 급식인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150식 미만인 학교 중 근골격계질환 의심자가 있는 학교는 26.3%인데 비해, 150식 이상인 학교는 62.5%였다. 식당이 없는 학교에서 근골격계질환 의심자가 있는 학교의 분포가 많았다. 근골격계질환 의증 관련요인들에 대한 다수준 분석 결과 연령, 직무스트레스, 식당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1인당 급식인원수가 150식이상일 경우 교차위험비 4.6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1인당 급식인원수가 초등학교 급식 조리노동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의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리노동자들이 인간공학적 위험이 높은 환경에서 작업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필요인력 수준으로 인력을 충원하여 1인당 급식인원수를 감소시키고 인간공학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준. 여수지역 건설노동자 건강실태 발표 및 제도개선공청회.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2003. pp 8-36.
  2. 기 명. PRECEDE-PROCEED 모델의 개념틀을 이용한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수준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 김명희. 사회경제적 요인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한다수준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 김영옥, 구정완.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요인. 한국의 산업의학 2002;41:131-41.
  5. 김일룡, 김재영, 박종태, 최재욱, 김해준 등. 자동차 조립작업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3):220-31.
  6. 김정래. 학교급식 관리기술 지원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7. 김종은, 강동묵, 신용철, 손미아, 김정원 등. 일개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인자.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401-10.
  8. 김형렬, 원종욱, 송재석, 김현수, 김치년 등. 일부 의료서비스업 VDT 작업자의 상지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와 관련된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2):140-9.
  9. 박병찬, 정해관, 김수근. 일부 조선업종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위험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373-87
  10. 박수경, 최영진, 문덕환, 전진호, 이종태 등.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3):395-404.
  11. 성낙정, 사공준, 정종학. 교향악단 연주자의 근골격계 장애와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48-58.
  12. 손미아. 다수준분석의 이해와 활용. 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4.
  13. 양일선. 학교급식 질 향상을 위한 심포지움. 대한영양사회. 1995. pp 83-105.
  14. 유정임, 구정완.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를 착용하는 방사선관련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와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4;16(2):166-77.
  15.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8.
  16. 이영은, 양일선, 차진아, 채인숙, 강혜승. 학교급식의 운영현황 및 실태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7(3):361-72.
  17. 이윤근. 자동차 조립 작업의 근골계 질환 발생 특성과 관리대책. 산업보건 2001;(9):12-23.
  18.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 창구 작업자의 경견완 장애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85-98.
  19. 장세진.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수준의 파악,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의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2001.
  20. 장은철, 김현주, 권영준, 박시복, 이수진 등. 일부 소규모시계조립 사업장의 상지 누적외상성장애의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4):457-72.
  21. 정해관, 최병순, 김지용, 유선희, 임현술 등. 전화번호안내원의 누적외상성 장애.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140-55.
  22. 조정순. 우리나라 학교급식의 현황 및 방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9;12(2)169-85.
  23. 주영수, 권호장, 김돈규, 김재용, 백남종 등. VDT 작업별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463-75.
  24. 주영수, 권영준, 강희태, 김용규. 한국의 직업별 직무스트레스 수준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422-35.
  25. 최순임. 학교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근로실태 및 차별해소 방안 마련 토론회 자료집. 전국여성노동조합, 서울. 2003. pp 15-48.
  26. 텐묘 요시오미. 한.일 노동보건 학술교류회. 원진녹색병원/노동환경건강연구소. 2000.
  27. 허경화, 한영선, 정혜선, 구정완. 골프장경기보조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4;16(1):92-102.
  28. Bongers PM, Winter CR, Kompier MAJ, Hildebrandt VH.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3;19:297-312. https://doi.org/10.5271/sjweh.1470
  29. Bongers PM, Kremer AM, Laak J. Are psychosocial factors, risk factors for symptoms and signs of the shoulder, elbow, or hand/wrist?: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Am J Industr Med 2002;41:315-42. https://doi.org/10.1002/ajim.10050
  30. Gawkrodger DJ, Lloyd MH, Hunter JA. Occupational skin disease in hospital cleaning and kitchen workers. Contact Derm 1986;15: 132-5. https://doi.org/10.1111/j.1600-0536.1986.tb01312.x
  31. Gleeson D. Health and safety in the catering industry. Occup Med 2001;51:385-91. https://doi.org/10.1093/occmed/51.6.385
  32. Hjorth N. Occupational dermatitis in the catering industry. Br J Dermatol 1981;105, suppl 21:37-40.
  33. Hoogendoorn WE, Poppel MNM van, Bongers PM, Koes BW, Bouter LM.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in the personal situation as risk for back pain, Spine 2000;25:2114-25.
  34. Karasek R, Brisson C, Kawakami N, Houtman I, Bongers P et al.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psy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 Occup Health Psychol 1998;3:322-55. https://doi.org/10.1037/1076-8998.3.4.322
  35. Koh KB, Park JK, Kim CH, Cho S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Psychosom Med 2001;63:668-78.
  36. Linton SJ. A review of psychosocial risk factors in back and neck pain. Spine 2000;25:1148-56. https://doi.org/10.1097/00007632-200005010-00017
  37. Louis HR, Roger LS, Otto G, Laurence TG, Stephen UH et al. Burn Injury in Kitchin Workers: A Cause for Prevention. J Burn Care Rehabil 2000;21:563-4. https://doi.org/10.1097/00004630-200021060-00017
  38. NIOSH.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90-013-2277, NIOSH 1993.
  39. Ono Y, Shimaoka M, Hiruta S, Takeuchi Y. Low back pain among cooks in nursery schools. Ind Health 1997;35:194-201. https://doi.org/10.2486/indhealth.35.194
  40. Rose. Individuals and populations. In:The strategy of preventive medicine. 1st ed. Oxford medical pub. Oxford New York Tokyo, 1995. pp 53-63.
  41. Wood BP, Greig DE. Catering industry. Clin Dermatol 1997;15:567-71. https://doi.org/10.1016/S0738-081X(97)00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