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aw data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The types of soil were sandy loam, loam and silty clay loam and the correlation o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ppeared that T-N and C.E.C were highly correlative. In case of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and diameter in 1st site, crown in 2nd site, number of leaves in 5th site and number of seeds in 4th site were better than other sites.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and diameter were highly correlative. In case of growth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EC and height were highly correlative.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R-square of height and EC was some 70.4% and that of number of leaves and T-N was some 70.2%. To conserve and restore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there were demanded that the accurate environmental analysis that considered such diverse factors as light intensity, temperature, genetic quality and so forth.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선나무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생육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전 및 복원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것이다. 토양의 종류는 사양토, 식양토, 미사질양토이고 화학적 특성간 상관성은 전질소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게 나타났다. 생육특성의 경우 수고와 줄기직경은 I지역에서, 수관폭은 II지역에서, 엽수는 V지역에서, 종자수는 IV지역에서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하였다.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성에서는 수폭과 줄기직경이 높게 나타났다. 생장특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전기전도도와 수고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특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수고와 전기전도도의 설명력은 약 70.4%. 엽수와 전질소량은 약 70.2%였다. 미선나무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광도, 온도, 유전형질 등 다양한 인자들이 고려된 정밀 환경분석이 요구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보구, 정인명, 민경범, 김재정(1996) 염류집적이 상추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 토양비료학회 29(4): 360-364
  2. 강현경, 大黑 俊哉, 井手 任(2003) 절멸위기종 낙지다리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환경특성 -일본 茨城縣 南部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83-93
  3.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진운학(1994) 덕유산 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 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7(2): 155-163
  4.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엄태원(1995) 주왕산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8(2): 135-141
  5.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6. 김계환, 박종민(1998)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순비기나무 군락의 생육환경 및 형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1): 91-101
  7. 김용식, 전승훈, 강기호(1996)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77-98
  8. 김용식(1998) 우리나라산 미선나무 집단의 생태적 형태적 특성.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논 문집 17(1): 67-81
  9. 김지연, 이종석(1998)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Sw.) 자생지의 생육환경에 관하여. 원예과학기술지 16(1): 30-32
  10. 김치선, 김정만, 류정, 최정식, 최영근, 박학봉, 박정민, 변무섭 (2002) 변산반도 내 팔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43(6): 777-781
  11. 김태훈, 정진현, 구교상, 김규훈, 차정훈, 김준섭, 이충화, 구창덕(1988) 산림토양분류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연구보고 37: 18-34
  12. 민병미, 김준호(1997) 서해안 간척지 토양의 토성과 탈염. 한국생태학회지 20(2): 133-143
  13. 박정민, 장계현, 이성태, 송근우, 강진호(2000) 삽주의 자생지환경과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 학회지 8(4): 327-333
  14. 박종민, 서병수, 임성진(1999) 변산반도 내 꽝꽝나무군락의 서식환경 및 생육실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2): 118-128
  15. 송호경, 박관수, 이선, 이미정, 지윤의(2000) 안면도 및 태안군 근홍면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69-75
  16. 신현철, 박남창, 송호경, 최채채, 정영교, 권영한, 이광수, 김영걸 (2002) 후박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1(6): 765-774
  17. 심경구, 서병기, 이규완, 조남훈, 심상철(1992) 한국 자생 노각나무에 관한 연구 - I. 노각나무 소백산 자생지 분포-. 한국원예학회지 19(1): 89-96
  18. 심경구, 하유미, 이원한, 김영해, 김동수(2003) 한국 특산 회귀 식물 히어리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44(2): 260-266
  19. 안영회, 심경구(2003) 제주도 산딸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2(1): 15-22
  20. 양회문, 홍(2002) 생태적인 산림관리률 위한 군집 구조적 속성의 분석과 활용. 임학회지 91(4): 545-553
  21. 유용권, 오장근, 박천호(2000) 자란 자생지의 지리적 분포 및 식생. 한국원예학회지 41(2): 212-216
  22. 유청환, 김춘식, 변재경, 구교상, 채지석, 차순형, 이원규(1997) 도시와 농촌지역의 산림 토양의 화학적 성질 비교. 산림과학논문집 55: 19-24
  23. 유주한, 진연회, 장혜원, 조흥원, 한주환, 이철회 (2003)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17(2): 112-122
  24. 유철현, 김종구, 이종식, 강종국, 소재톤, 박건호(1990) 간척지 토양의 숙성화 정도별 이화학성 변화 연구-공활 및 포승통에 관하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3(4): 259-267
  25. 이우철, 길봉섭 (1991)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자생지조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1(1): 1-8
  26. 이원규, 김춘식, 구교상, 김영결, 변재경, 서호석(1996) 굴참나무임분의 임지생산력 추정에 미치는 토양 인자의 영향. 산림과학논문집 53: 142-149
  27. 이창복(1976) 미선나무의 신품종. 한국식물분류학회지 7(1-2): 21-22
  28. 이창복(1980) 멸종위기식물의 보존. 관악수목원연구보고 3: 190-196
  29. 임진회, 상채규(1990) 노루귀(Hepatica asiatica Nakai) 재배화를 위한 자생지 생육환경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31(1): 81-89
  30. 정인구(1981) 수량화에 의한 우리나라 삼림토양의 형태 학적 및 이화학적 성질과 잣나무 및 낙엽송의 생장 상관분석. 한국임학회지 53: 1-26
  31. 정정학, 김기선, 홍영표(1991) 한국 자생 나리의 분포와 자생지의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32(2): 270-277
  32. 정정학(1999) 한국 자생 둥근잎꿩의비름(Sedum rotundi-folium)의 분포와 생육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조사. 원예과학기술지 17(4): 501-503
  33. 정진현,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34. 정진현, 김춘식, 구교상, 이충화, 원형규, 변재경 (2003) 한국산림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2(3): 254-262
  35. 정희돈, 최영준(2002) 토양 EC에 대 한 토마토(Lycoper-sicon spp.)의 생장반응 및 내염성 대목 선발. 한국원예학회지43(5): 536-544
  36. 조우(2002) 도시자연공원의 식생구조에 따른 관리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0(1): 61-74
  37. 진현오, 이명종, 신영오, 김정제, 전상근(1994) 삼림토양학. 향문사, 156-188쪽
  38. 최송현, 권전오, 송근준(2000) 지리산국립공원 대원사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54-366
  39. 홍영표, 홍규현, 정정학(1986) 생장조절제 처리 및 차광처리가 제라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7(1): 6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