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Saemangeum Reservoir after the Construction of Dike in 2006-2007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 어류 종조성의 변화

  • Lee, Tae-W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ak-Bi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un-Wan (Marine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이태원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황학빈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황선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Saemangeum Reservoir was determin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April 2006 to February 2007 after the dike construction, and compared with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in 2001-2002. A total of 35 species, 8,960 individuals and 53,084.4 g of fish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Of the fish collected, brackish and coastal fishes such as Konosirus punctatus, Synechogobius hasta and Repomucenus lunatus, and migrant fishes such as Engraulis japonicus and Scomberomorus niphonius predominated in abundance accounting for 95%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showed a similar seasonal trend to those in the other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The resident species were mainly collected in spring and in autumn.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high in summer by the large amount of catch of migrating species. Catch was low in winter and only 2 species were collected. A brackish and coastal fish, K. punctatus and two migrant fishes, E. japonicus and S. niphonius were abundantly collected after the dike construction. However, the dominant fishes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such as Leiognathus nuchalis, Neosalanx jordani and Chaeturichthys stigmatias were rarely collected. Fish density was $1,149\;inds./10,000m^2\;and\;12,644g/10,000m^2$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and increased 6 times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7,467\;inds./10,000m^2$) and 3 times in biomass ($44,237g/10,000m^2$) after the dike construction. Annual species richness (R) and species diversity (H') decreased from R=0.0160 and H'=2.47 during the dike construction in 2001-2002 to R=0.0038 and H'=1.11 after dike construction in 2006-2006, respectively. These change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reduction of the saline area and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in Semangeum Reservoir after the dike construction.

새만금 방조제 4공구 물막이 완공 후인 2006년 4월부터 2007년 2월 사이 새만금호에서 계절별로 otter trawl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물막이 공사 중인 2001-2002년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35종, 8,960 마리, 53,084.4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기수 및 내만어종인 전어(Konosirus punctatus), 풀망둑(Synechogobius hasta)과 돛양태(Repomucenus lunatus), 회유종인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가 우점하여 이 5종이 전체 개체수의 95%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와 채집량은 서해의 다른 연안역에서와 같이 봄과 가을에는 주거종이 주를 이루었다. 여름에는 회유종이 대량 출현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가장 높았으며, 겨울에는 2종만이 채집되었고 생체량도 가장 낮았다. 물막이 공사 후 기수 및 내만성인 전어의 양이 크게 증가 하였고, 일시적으로 새만금호에 몰려온 멸치나 삼치와 같은 외해 부어류들이 좁아진 새만금호 해수역에 밀집되어 otter trawl에 일시적으로 대량 채집되어 소수종의 우점도가 높아졌다. 물막이 공사 이전 대량 채집되었던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젓뱅어(Neosalanx jordani), 쉬쉬망둑(Chaeturichthys stigmatias) 등은 거의 채집되지 않았다. 어류 밀도는 물막이 공사 중인 2001-2002년에는 $1,149\;inds./10,000m^2,\;12,644g/10,000m^2$에 비하여, 물막이 공사 후인 2006-2007년에는 $7,467\;inds./10,000m^2,\;44,237g/10,000m^2$로, 개체수밀도는 6배 이상, 생체량 밀도는 3배 이상 높았다. 연간 종풍도지수(R)와 종다양성지수(H')는 2001-2002년에 R=0.0160, H'=2.47에 비하여 2006-2007년에는 R=0.0038, H'=1.11로 낮아졌다. 물막이 공사 후 새만금호의 해수역이 줄어들고 수질이 변하면서 어류 서식에 부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종풍도 지수와 종다양성지수가 낮아지고, 소수 기회종의 우점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군산대학교. 2006. 새만금 수역 수질환경조사 및 관리 방안 연구 (III) 보고서,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326 pp
  2. 김영태, 정용훈, 채윤주, 이충원, 김소영, 최강원, 양재삼, 2006a. 메조코즘을 이용한 갯벌의 담수화 과정 중 수질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49-67
  3.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 pp
  4. 김종만, 유재명, 허형택, 차성식, 1985. 울산만 및 그 주변해역의 치자어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7: 15-22
  5. 김진삼, 김강주, 한찬, 황갑수, 박성민, 이상호, 오창환, 박은규, 2006a.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이용한 추적자 시험: 만경강 유역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82-91
  6. 김창수, 이상호, 손영태, 권효근, 이광희, 김영배, 정우진, 2006b.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2조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37-48
  7. 김태림, 박석광, 2006. 조간대 갯벌 영상 관측 고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109-115
  8. 농어촌진흥공사, 1998. 새만금간척 종합개발. 농어촌진흥공사 새만금 사업단. pp. 1-9
  9. 서승원, 조완희, 유경선. 2006a. 새만금호 수문 개방에 따른 내측의 혼합 수송 및 외해역의 방류 영향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8: 43-52
  10. 서승원, 조완희, 이화영, 2006b. 새만금호 관리 수위 유지를 위한 수문 운영 방안 모의.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 97-108
  11. 안순모, 이재학, 우한준, 구본주, 이형곤, 유재원, 제종길, 2006. 새만금 방조제 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Ocean Polar Res., 28: 369-383 https://doi.org/10.4217/OPR.2006.28.4.369
  12. 우한준, 최재웅, 안순모, 권수재, 구본주, 2006. 새만금 갯벌의 퇴적 환경 변화. Ocean Polar Res., 28: 361-368 https://doi.org/10.4217/OPR.2006.28.4.361
  13.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연구 1,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 129-139
  14. 유재명, 김성, 이은경, 이종수, 1992. 진해만의 부유성 어란과 치자어 분포. 해양연구, 14: 77-87
  15.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 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 248-254
  16.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6: 438-445
  17.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18. 이태원, 1998.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1: 654-664
  19. 이태원, 문형태. 2002. 부안 채석강 해빈 천해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화. 한국어류학회지, 14: 53-60
  20. 이태원, 문형태, 김광천, 2003.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2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298-305
  21. 이태원, 문형태, 최신석, 1997.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2. 대천 해빈 쇄파대 어류. 한국어류학회지, 9: 79-90
  22. 이태원, 황선완,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 67-79
  23. 임양재, 이태원, 1990. 천수만 망둑어과(Family Gobiidae) 어류의 게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와 우점종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 182-202
  24.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25. 정해진, 유영두, 김재성,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 발생연구 2, 1999년도 여름-가을 종속영양성 와편모류와 섬모충류의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 140-147
  26. 차성식, 박광재, 1994. 만경 동진강 하구의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 양상. 한국해양학회지, 26: 47-58
  27. 차성식, 유재명, 김종만, 1990. 황해동부 연안역의 자치어 군집의 계절변동. 한국해양학회지, 25: 96-105
  28. 허성회, 곽성남, 1998.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11-23
  29. 허성회, 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1. 소형기선저인망에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30. 황선완, 2006. 금강과 만경강 하구 어류의 출현 양상과 서식처 이용.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5 pp
  31. 황학빈, 이태원, 1999.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1: 52-61
  32. Allen, L.G.,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Fish. Bull. U. S., 80: 769-790
  33. Allen, L.G. and M.H. Horn, 1975. Abundance, diversity and seasonality of fishes in Colorado Lagoon, Alamitos Bay, California. Estuarine Coastal Mar. Sci., 3: 371-380 https://doi.org/10.1016/0302-3524(75)90035-3
  34. Horn, M.H. 1980. Diel and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diversity ofshallow-water fish populations in Morro Bay. California. Fish. Bull. U. S., 78: 759-770
  35. Lee, T.W., 1983. Age composition and reproducticve period of shad, Konosirus punctatus, in Cheonsu Bay. J. Oceanol. Soc. Korea., 18: 161-168
  36. Lee, T.W. and K.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37. Lenarz, W.H. and P.B. Adams, 1980. Some statistical considerations of the design of trawl surveys for rockfish (Scorpaenidae). Fish. Bull. U. S., 78: 659-674
  38. Livingston, R.J., 1976. Diurnal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organisms in a north Florida estuary. Estuarine Coastal Mar. Sci., 4: 373-400 https://doi.org/10.1016/0302-3524(76)90014-1
  39.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40.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eno and T. Yoshino (eds),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Japan, Text and Plates, 437 pp.+370 plates
  41. McErlean, A.J., S.G. O'Connor, J.A. Mihursky and C.I. Gibson, 1973. Abundance, diversity and seasonal patterns of estuarine fish populations. Estuarine Coastal Mar. Sci., 1: 19-36 https://doi.org/10.1016/0302-3524(73)90054-6
  42.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1477 pp
  43.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117 pp
  44. Taylor, C.C., 1953. Nature of variability in trawl catches. Fish. Bull. U. S., 76: 617-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