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ity Image Management for City Marketing - Quantitative Analysis to Derive Management Programs of City Image -

도시마케팅을 위한 도시이미지 관리방안 연구 - 도시이미지 관리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정량적 분석 -

  • Byeon, Jae-Sang (Dept. of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 Cho, Ye-Je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Hyung-Seok (Dept. of Urban Planning & Real Estate Development, University of Suwon) ;
  • Kim, Song-Yi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Urban landscape represents a city's internal identity as well as external form. Therefore, urban landscape and image planning has to involve marketing strategies to deliver the economic growth and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recreating the environmental and cultural value of the cit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practical city image management programs as city marketing tools which consider opinions of local authorities, related experts, and resi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conjoint analysis was applied on three components which symbolically reflects features of assets and resources in Anseong.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consideration for Lake Geumgwang is to develop farm experience Programs on waterside fields. 2. The rot consideration for Bauduki Festival is to make efforts for public relations(PR) to be able to merchandise festival-related goods and develop unique products. 3. The first consideration for Anseong Grapes is to build leisure-oriented theme parks for local farm produc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evelop the efficient and quantitative management method of city image for marketing. The integrated approach to the management programs to reflect opinions of local policies, experts and citizens is expected to become a useful foundation in studying city images and marketing.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05) 친환경적 개발. 보전 모형 및 지침
  2. 김종의. 한동여. 김소영,김숙응. 이희정(2006) 특수마케팅의 이론과사례. 서울: 형설출판사
  3. 김종호. 변재상. 임승빈(2002)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 의 관계. 한국조경학회지 30(4): 9-18
  4. 김현선(1983) 인지지도를 이용한 서울시 도심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현호. 조순철(2004) 축제마케팅과 지역발전-함평 나비축제의 특성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4): 209-232
  6.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4) 지속가능한 농촌지역 개발을 위한 환경자원의 가치평가. 수원: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7. 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변재상(2006) 도시 경관 이미지 분석에서 다차원척도법의 적용. (사) 한국조경학회 경관계획연구회 제8차 정기 세미나 자료집 '행정중심복합도시. 활력있는 경관도시'
  10.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2007a) 초고층 랜드마크의 인지거리 및 인지 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심사중
  11.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b)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 (1): 59-68
  12.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c)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과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63-177
  13.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3) :7-20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이미지에 관한 다차원 분석 연구. 2005년 8월 공개토론회 자료집
  15. 박광배(2006) 범주변인분석. 서울: 학지사
  16.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4) :29-40
  17. 부산발전연구원(2007) 시드니 도시브랜드 가치 1위 차지.2007년 2월. (http://www.bdi.re.kr/publication/pub_view.asp?bbs = B _pub02&num = 1611&s_year =제 131호(2007-02)&s_cate = &s_word = &op=ok)
  18. 심승희(2001) 수변공간(water space)을 활용한 도시 마케팅 사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2): 27-43
  19. 안성시 농업기반공사(2004) 금광호수 농어촌관광휴양단지 기본계획
  20. 오동훈(2006) 도시 마케팅의 개념정립을 위한 소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1) : 53-73
  21. 오순환(1999) 지역축제의 실제와 경제적 효과: 이천. 여주. 광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2: 202-221
  22. 유세준. 이내풍(2001) 도자기 산업의 발전방안: 이천. 여주. 광주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추계학술연구발표문
  23. 윤상호(1993) 결합분석이론에 의한 선도시 주민의 주택선호행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윤장우,박춘근(2001) 도시이미지 형태유형요소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경관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7(3): 147-156
  25. 윤희정(2007) 지역계획을 위한 도시민의 농촌여가 수요와 선택속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건영. 김용기(1984) 서울 도심지의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와 상관변수에 관한 분석적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19(2) : 20-31
  27. 이무용(2002) 도시 마케팅 전략에 대한 문화적 재고찰: 도시공간의 문화적 기반강화를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도시문제 10윌호, 3-15
  28. 이용균(2005) 경기 남동부지역의 장소자산의 특성 파악과 장소마케팅 추진전략.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2): 55-72
  29. 이정훈(2004) 지역개발에서 차별화된 장소이미지 설정을 위한 장소분석 방법론 재구축. 지리학연구 38(4): 479-495
  30. 이학식. 임지훈(2006) SPSS 12.0 매뉴얼. 파주: 법문사
  31. 이현호. 안순희(1988) 서울시 도심부의 공간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2) : 59-65
  32. 이훈(1999) 인지도를 이용한 도시환경의 이미지 인지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6): 3-14
  33. 인천발전연구원(1999) 송도 화교투자구역 개발방안 연구. 인천: 인천 발전연구원
  34.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5-18
  35.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36.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 18-30
  37. 정태일. 오덕성(2003) 우리나라 경관관련법.제도 및 계획 속에 나타난 경관유형과 제어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0) 111-120
  38.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과천,약수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최병대(1998) 농공상지가 어우러진 신도시의 농업공원. 도시문제 33(360) :79-86
  40. 통계청(2000) 시도별 인구통계 자료
  41. 허명회(2006) SPSS 컨조인트 분석. SPSS Korea 2006년 7월 교육자료
  42. 허재완. 김현수. 강동진. 서충원(2005)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지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3): 1-30
  43. 홍성권(2000) Conjoint Choice Model을 이용한 주제공원 이용자들의 선택행동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8(1): 19-28
  44. 홍성권. 김성일. 이태희(2001) 컨조인트 선택모델을 통한 녹색관광 선택행동 연구. 관광학연구 25(1): 215-231
  45. Appleyard. D.(1976) Planning a pluralist city. MA: The MIT Press
  46. Ashworth. G. J. and H. Voogd(1990) Selling the City: Marketing Approaches in Public Sector Urban Planning, London and New York: Belhaven Press
  47. Banai. R.(1999) A methodology for the image of the city. Environmental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 133-144 https://doi.org/10.1068/b260133
  48. Byeon, J. S ., M. T. Kim. and S. B. Im(2004)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Historic Landmarks in the United States. Architectural Research 6(1): 13-24
  49. Byeon, J. S. and S. B. Im(2004) The master plan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of Gwacheon City. The 41st IFLA World Congress Proceeding: 521-542
  50. Carr. S. and D. Schissler(1969) The city as a trip: perceptual selection and memory in the view from the road. Environment and Behavior 1: 7-35 https://doi.org/10.1177/001391656900100102
  51. Cattin, P. and D. R. Wittink(1982) Commercial use of conjoint analysis: a survey. Journal of Marketing 46: 44-53
  52. Gould. P. and R. R. White (l974) Mental maps. Middlesex, UK: Penguin
  53. Green, P. E. and V. Srinivasan(1978) Conjoint analysis m consumer research: issues and outlook.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5: 103-123 https://doi.org/10.1086/208721
  54. Louviere, J. and H. Timmermans(1990) Stated preference and choice models applied to recreation research: a review. Leisure Research 12: 9-32 https://doi.org/10.1080/01490409009513087
  55.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 The MIT Press
  56. Lynch, K.(1985) Reconsidering the image of the city. In T. Banerjee and M. Southworth(Eds.). City sense and city design: 247-256. MA: The MIT Press
  57.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
  58. Noberg-Schulz, C. (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NY: Praeger Publication Co., 김광현 譯. 실존.공간.건축. 서울: 태림문화사.1997
  59. Pina, I. P. A. and M. T. D. Delfa(2005) Rural tourism demand by type of accommodation. Tourism Management 26: 951-959 https://doi.org/10.1016/j.tourman.2004.06.013
  60. Steinitz, C. (1968) Meaning and the congruence of urban form and activity.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4 (4) : 233-248 https://doi.org/10.1080/01944366808977812
  61. Wittink, D. R. and P. Cattin(1989) Commercial use of conjoint analysis: an update. Journal of Marketing 53: 91-96 https://doi.org/10.2307/125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