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Contemporary Urban Parks in Korea - Satisfaction and Landscape Images -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

  • Joo, Shin-Ha (Division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Korean parks by on-site park users' reactions, such as satisfaction, preference and cognitive image of the park and park facilities. The park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satisfaction: management status, activity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circulation and density, and landscape facilities. The park users are satisfied with conversation, rest and relaxation in the parks, but not satisfied with studying and nature experience. The behaviors in the park are classified as park activities, emotional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nd nature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ages of the parks are stable, comfortable and natural. There are three factors to classifying the park images: nature-harmony, openness, uniqueness. Preferences for each parks are generally good. According to the criteria such as satisfaction of park facility, behavioral satisfaction, images and preference for each park, the 12 parks are divided into 5 different types: multi-purpose park, well-balanced park with natural elements, urban open space, park to be improved, and ecological park.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k was analyzed and categorized. This study dealt with only the parks in Seoul and its environs, and the survey was only done during the summer seas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nlarge and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dering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s.

본 연구는 국내 현대조경을 대표하는 공원들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 선호도, 이미지 등을 분석하여 개별 공원의 기능적, 경관적인 차이점과 공통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공원시설 유형으로는 관리상태, 공원활동시설, 편의시설, 동선 및 밀도, 조경 및 휴게시설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원이용행태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화, 휴식, 한가로움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학습, 체험, 경험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공원 이용행태의 유형으로는 공원활동, 정서 및 체험, 자연활동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원의 이미지 분석 결과 조사대상 공원은 주로 안정적이고 편안하며 자연적인 느낌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연/조화성 요인, 개방감 요인, 독특성 요인 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선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만족도, 이용행태, 경관이미지,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공원을 유형화한 결과 다목적공원(일산호수공원, 여의도공원, 하늘공원, 양재천, 올림픽공원), 자연적 요소를 가진 종합공원(선유도공원, 평화의 공원), 개방된 도시공간(서울광장, 청계천), 상대적 개선필요 공원(파리공원, 서울숲), 생태공원(길동자연생태공원) 등의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별 특징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도권에 위치한 공원을 대상으로 한 계절 동안 설문조사의 결과로 일반적인 도시공원의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도시공원에 대한 일반적이고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찬용, 김용수(2003)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특징에 따른 유형분류. 한국조경학회 2003 춘계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1-4
  2. 배정한(2006) 공원의 진화, 조경의 변화(환경과 조경 편집부 편, 한국의 공원 Park_scape). 서울: 도서출판 조경
  3.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4.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국토계획 41(3): 7-20
  5. 서울특별시(2004) 서울숲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6. 심준영, 김유일(2006) 도시 자연공원의 중요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3(6): 12-21
  7. 이시영, 허준(2004)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 -성취도 분석 -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3): 114-125
  8.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18- 30
  10. 조경진(2006) 생명과 소통의 도시문화를 위한 터전(환경과 조경 편집부 편, 한국의 공원 Park_scape). 서울: 도서출판 조경
  11. 주신하, 임승빈(1998) 경관 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현장음과 동화상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312-320
  12.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13. 홍성권, 이민우, 이상민, 안명준(2007) 도시공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입시설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5): 29-36
  14. 환경과 조경(2005) 월간 환경과 조경 통권 201호 기념 특별기획 열개의 공간, 다섯가지 시선. 월간 환경과 조경 통권 201호(2005. 01). pp.48-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