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al Volatile Composition of Daisy Fleaban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꽃의 향기성분 분석

Yu, Jeong-Mi;Park, Yu-Hwa;Kim, Song-Mun
유정미;박유화;김성문

  • Published : 2008090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is to understand the volatil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from flower of daisy fleabane (Erigeron annuus (L.) Pers.). The essential oil was extracted using a steam distillation apparatus, collected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analyzed by GC-MS. The yield of the essential oil was 0.22% and the fragrance was herbal, minty, oily and fruity. Twenty-eight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16 hydrocarbons, 5 alcohols, 5 ethers, 1 nitrogen-containing compound and 1 acid.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1H-cyclopenta[1,3] cyclopropa[1,2]benzene (32.9%), methyl-(Z)-dec-2-en-4,6-diynoate (16.1%), 3,7-dimethyl-(Z)-1,3,6- octatriene (15.1%), 1,2,3,4,4a,5,6,8a-octahydronaphthalene (6.6%), and 1-ethenyl-1-methyl-2,4-bis (1-methylethenyl)-[1S-(1a,2b,4b)]-cyclohexane (6.5%). The overall data showed that floral essential oil of daisy fleabane had unique chemicals with unique fragrance, suggesting the essential oil could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fragrance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꽃으로부터 얻은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성분을 구명하는데 있다. 수증기 정유장치로부터 얻은 정유를 solid-phase microext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GC-MS로 분석하였다. 개망초 꽃에 0.22% 함유된 정유의 향취는 herbal, minty, oily, fruity 하였다. 개망초 꽃 정유는 총 28개의 화학성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를 성분별로 구분하면 탄수화물이 16개, 알코올이 5개, 에테르가 5개, 질소화합물이 1개, 산이 1개이었다. 정유의 함유된 주된 화합물은 1H-cyclopenta[1,3]cyclopropa[1,2]benzene(32.9%), methyl (Z)-dec-2-en-4,6-diynoate(16.1%), 3,7-dimethyl- (Z)-1,3,6-octatriene(15.1%), 1,2,3,4,4a,5,6,8a-octahydro- naphthalene(6.6%), and 1-ethenyl-1-methyl-2,4-bis(1- methylethenyl)-[1s-(1a,2b,4b)]-cyclohexane(6.5%)이었다. 개망초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 또는 그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방향성 화합물은 매우 독특한 향취를 갖고 있어서 향후 다양한 향료제품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유화, raltjdans. 2008.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정유의 성분분석과 독성평가.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51(3):in press
  2. 박유화, 최해진, 왕해영, 김희연, 허수정, 김경희, raldudska, 김성문. 2007. 국내산 망초(Erigeron canadensis L.)의 정유 성분. 한국잡초학회지 27 (3):268-274
  3. 안봉전, 이진태, 이창언, 손준호, 이진영, 박태순. 2005.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 및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8(3):273-279
  4. 오세문. 2003. 한국잡초명집. 서일문화사. p. 173
  5. 유동림, 남춘우, 서종택, 김수정, 전혜경, 정해곤, 박승국. 2004. 향료성 식물자원 개발을 위한 향기산업 연구동향. 농촌진흥청. 207p
  6. 이영로. 2006. 한국식물도감. II권. 교학사. p. 298
  7. 이유선. 2003. 강원도 자생식물로부터 향료자원의 탐색.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4 p
  8.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하권. 향문사. p. 326
  9. 이철희. 2002. 생물산업발전을 위한 자생식물의 활용방향. pp. 27-67. In 기능성 자생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상품화 방안. 농촌진흥청 고령지시험장
  10. 한상길. 2004. 향료와 향수. 신광출판사. pp. 175-216
  11. Cimpian, F., and A. Weston. 2008. Innovations :Development in aroma chemicals . pp. 139-144. (Ed.) A. C. Kozlowski and C. Skaret. In Pregnance for Personal Care. Allured Publishing Co., Caron Stream
  12. Koroch , A. R., H. R. Juliani and J. A. Zygadlo. 2006. Bioactivity of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pp. 87-116. In Flavours and Fragrances. Springer, Berlin , Heidelberg
  13. 仁勝元一. 1996. 合性香料. 化學工業日報社. p. 134
  14. 中島基貴. 1995. 合香と調香の基礎知識. 産業圖書. p.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