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n elderly women'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y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한국무용 참여여성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Nam, Haeng-Woong;Lee, Byung-Kwan;Lee, Ho-Youl
남행웅;이병관;이호열

  • Published : 200907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useful and desirable leisure activity program after finding the value of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as an aged women's physical leisure activity program by grasping self-esteem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examine how does self-esteem effect on satisfaction of life with the rate of participation of aged women who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as a leisure activ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we drew a result through using statistical verification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cluster analysis, and survey data from 244 women who are over 65 and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in Seoul. First, when the ratio of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is high,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 self-esteem was high. and the negative self-esteem was low. Second, when the perception of aged women's positive self-esteem is high, the satisfaction of life is high. This means that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as a leisure, can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which affects positiveness on satisfaction and positive self-esteem of life of aged women by the action as a main activity that exchanging aged women's leisure time.

본 연구는 여가활동으로 한국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여성의 참여정도를 기준으로 참여군집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여성의 신체적 여가활동 프로그램으로써 한국무용 참여의 가치를 밝혀 향후 바람직하고 유용한 여가활동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서울시에서 한국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여성 244명의 설문자료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군집분석과 t-test 및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여성의 한국무용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높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낮다. 둘째,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노인여성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 이는 여가활동으로서 한국무용 참여가 노인여성들에게 여가시간을 대체해주는 주요활동으로 작용하여 노인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분, 송기숙, 석소현(2008). 노인의 자아존중감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7(1), 65-74
  2. 김민희(2005). 댄스스포츠를 통한 여가활동 참가가 노인의 신체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16(5), 451-462
  3. 김영범, 조주란(2005). 댄스스포츠 참여 여성노인의 운동중독성향과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451-461
  4. 김원배(2006). 노인의 운동지속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토론. 초고령 사회를 위한 체육의 역할과 과제(pp. 39-41). 서울: 한국올림픽성화회
  5. 김준희(2005). 댄스스포츠 활동이 노인들의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9, 45-58
  6. 배진희(2004). 노인의 지속적 운동 참여가 건강체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4(2), 13-23
  7. 서수진, 남상우, 이창섭, 오진희, 손정아(2007). 노인의 댄스스포츠 참가와 신체의식 및 자아존중감. 한국체육학회지, 46(4), 95-104
  8. 종순, 김민희(2006). 노인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정서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151-158
  9. 양재근(2006). 고령친화산업으로 본 노인스포츠. 초고령사회를 위한 체육의 역할과 과제(pp. 9-24). 서울: 한국올림픽성화회
  10. 윤형기(2005).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유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293-302
  11. 이건미(2002). 한국무용이 노인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용인
  12. 이민희(2008).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여가 신체활동만족,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목포
  13. 이순림(2005).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가와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9(2), 41-50
  14. 이애덕, 이주립(2003). 한국무용 동작을 통한 노인의 체력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5), 631-637
  15. 이유찬, 한혜원(2001). 노년기 여가참여와 삶의 질 인지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0(3), 309-319
  16.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7. 이혁, 위성식(2007). 사회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여가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799-810
  18. 전병재(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1), 107-130
  19. 정경선(2006).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 최성범(2007). 여가스포츠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6(3), 339-350
  21. 통계청(2006). 고령자 통계. Available[On-line]:http://www.nso.go.kr/
  22. 허만동, 정진욱, 하춘광(2007). 여성노인의 한국무용참여정도와 생활 만족도 및 신체 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9, 673-680
  23. 홍양자, 정경선(2006).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5), 1-11
  24. 황명자(2001). 노인의 생활무용프로그램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5(1), 217-228
  25. 황명자(2003). 한국무용 프로그램의 심리적 효과에 관한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14(5), 1227-1237
  26. Berger, B. G.(1988).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quality of older adults.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Education Papers, 22, 42-55
  27. Brawley, L. R., Rejeski, W. J., & King, A. C.(2003). Promoting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The challenges for changing behavior.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5(3), 172-183 https://doi.org/10.1016/S0749-3797(03)00182-X
  28. Choi, E. H.(2003). The correlation stud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and self-esteem of the eldery in urban area. Health Welfare Institute in Daeguhaneu University, 8, 1-10
  29. Coopersmith, S.(1981). Antecedents of self-esteem(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30. Dishman, R. K.(1985).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y in exercise and sport.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19, 123-143
  31. Dishman, R. K.(1988). Exercise Adherence. IL: Human Kinetics Publisher
  32. Hwang, S. K.(2002).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33. Kelly, J. R.(1982). Leisure in Later Life: Roles and Identities. In N. Osgood(ED), Life after Work: Retirement, Leisure, Recreation and Elderly(pp. 268-292). New York: Praeger
  34. Kim, H. M.(2004). Influence of self-esteem and family-support n powerlessness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35. Kim, J. H., & Jeong, Y. M.(2002). A study on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living alon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4(1), 16-26
  36. Lemon, B. W., Bengston, W. L., & Peterson, J. A.(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 511-523 https://doi.org/10.1093/geronj/27.4.511
  37. Martisen, E. W.(1991). Benefits of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Sport Medicine, 9, 380-389
  38. Morgan, W. P., & Goldston, S. E.(1987). Exercise and mental health. The series in health psychology and behavioral medicine. Washington, DC: Hemisphere Publishing Corp
  39. Neulinger, J.(1981). To Leisure: An Introduction. Boston: Allyn & Bacon
  40. Rog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ecton University Press
  41. Rogenberg, M. G., & Griffith, C. A.(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old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2), 295-306
  42. Russell, R. V.(1987). The importance of recreation satisfaction and activity participation to the life satisfaction of age segregated retir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9, 273-283
  43. Si, Q.(2006). Lif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among elderly people. 초고령 사회를 위한 체육의 역할과 과제(pp. 27-37). 서울: 한국올림픽성화회
  44. Sonstorem, R. J.(1984). Exercise and Self esteem. In R Terjung(Eds.).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 12, 110-130
  45. Tucker, L. A.(1983). Obesity, exercise, somatotyp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factor analytic study. Journal of Human Measurement Studies, 9, 189-194
  46. Won, H. J.(1989). The daily leisure of korean school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 to subjective well-being and leisure fun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