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grativ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의 통합적 구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Received : 2009.08.09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nd compare the elementary textbook contents of science in Korea, USA and England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tegrative content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For this study, lessons on living things in the three grade science textbooks of three different count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ive criteria: component elements of the lesson, integration of knowledges and investigations, integration of subject and lif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focus of integration. From this comparative study, five suggestions are infer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irst,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textbooks should present unit objectives and evaluative components in the introductive part and last part of each lesson. Second, Korean textbooks should include scientific knowledges as a way of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s. Third, Korean textbooks are recommended to include integrated contents fitting for students' life context. Fourth, Korean textbooks are recommended to integrate contents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arts, literature and so on. Fifth, issues which can facilitate students to understand contents in the textbooks and to relate to their life should be more employed.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00). 교과서백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재춘.곽병선.박소영.김라경(2005). 초등학교 교과서 개발의 절차와 원리 구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서 2005-5
  4. 김정애.노석구(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2(1), 37-50
  5. 김희령.여성희(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390-397
  6. 김희백.이선경(1996). 과학, 기술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쟁점화된 주제에 대한 중, 고등학생의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61-469
  7. 대한교과서주식회사(2004). 과학 3-1
  8. 대한교과서주식회사(2004). 실험관찰 3-1
  9. 박상태 외(2002). 제7차 교육과정의 7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76-285
  10. 박소영.김대현(2008).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편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68-183
  11. 변효종.백미화(2008). 한국, 일본, 중국 과학교과서의 '실험'내용 비교 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3), 473-486
  12. 양미경(2004). 교육내용 적정화의 방법 및 제약요인의 탐색, 교육과정연구, 22(3), 49-71
  13. 여성희.김희령.김미경(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3), 214-223
  14. 이범홍.김주훈.이양락.홍미영.이미경.이창훈.신일용.심재호.곽영순(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 2005-7
  15. 이양락(2004).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4-29, 177-207
  16. 이양락.박재근.이봉우.한인옥(2005).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초등과학교육, 24(3), 214-225
  17. 이양락.홍미영.정은영.곽영순.김은숙.전경문(2002).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체제 개선 연구(Ⅳ)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12-2
  18. 이용숙.전영미(2003).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열린교육연구, 11(1), 239-273
  19. 이혁규(1998).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의 구성체계와 내용분석, 시민교육연구, 27, 99-124
  20. 전경문.박현주.노태희(2004).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21. 차정호.노정아.노태희(2005). ICT 활용 교육 측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21-229
  22. Burns, R. C. (1995), Dissolving the boundaries. 김대현.강태용.김명선.박소영.이경화.이은화.정혜영 역(2001), 교과경계선 허물기. 서울: 학지사
  23. Fink, L. D. (2003). Creating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An integrated approach to desighning college courses, San Francisco: Jossey-Bass
  24. Ginn(1997). Birds
  25. Harcourt(2002). Harcourt Science
  26. Schmidt, W.Hl., McKnight, C.C. & Raizen, S.A. (1997). A splintered vision: An investigation of U.S.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Tsuchida, I. & Lewis, C. C. (2002). How do Japanese and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iffer? Depth, breadth, and organization of selected physical science units. National standards and school reform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8. Tyler(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이종승(1988). 교육과정과 수업의원리, 서울: 교육과학사
  29. http://nces.ed.gov/timss/
  30. http://qca.or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