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level and educatkonal needs analysi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about the time completed a course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 was the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 survey of 807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 were made of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its priorities of actual vocation and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major. Major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made as follows: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3.3 average(5 full marks).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that educational needs were high respectively, were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 ability to design a system, component, or process to meet desired needs, an ability to function on multi-disciplinary teams, an ability to understand global culture and cooperate internationally, an ability to design and conduct experiment as well as to analyze and interpret data, and an ability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대 졸업생 80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공학기초능력의 대학 졸업 시 수준,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대 학과별 공학기초능력의 수준 및 직업에 따른 업종별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공학기초능력에 대한 교육 요구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 전체적인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3점이었다. 12가지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직업 윤리적 책임 의식의 수준은 비교적 높은 반면에 공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공학적 실무 능력 수준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둘째,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3.7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의사전달능력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학 기초과학 공학 지식과 정보 기술 응용 능력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공학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즉 교육 요구도는 0.48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은 의사전달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한 시스템 요소 공정 설계능력, 복합 학제적 팀워크능력, 세계문화이해와 국제적 협동능력, 그리고 자료 이해 및 분석 능력과 평생학습능력 등이었다. 위 연구 결과는 향후 공학교육 프로그램과 인증기준을 개선할 때에는 이를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영 외 12인(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43-51
  2. 김진수${\cdot}$최유현${\cdot}$김수경(2008). 공과대학 교수들의 공학교육 연수실태와 교육요구 분석. 공학교육연구, 11(2), 50-64
  3. 박강${\cdot}$김정국${\cdot}$박재현(2000). ABEEK 인증을 대비한 프로그램 교육목적 및 학습성과 설정. 공학교육연구, 3(2), 51-60
  4. 이병기${\cdot}$조벽(1998). 미국 공학교육 인증${\cdot}$평가. 공학교육과 기술, 5(3). 49-56
  5.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5). 공학인증기준2005 설명서(KEC2005)
  6. 한국공학교육학회(2008). 공학교육인증제도의 개선방향. 공학교육연구, 15(1), 9-28
  7. 한송엽${\cdot}$서경덕(2002). 공학교육 성과 평가를 위한 졸업생 설문조사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5(1), 34-49
  8. 함승연(2005).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 인증 준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Engineering Accreditation Commission of ABET(2002).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s
  10. Jones, Russel C.(2001). Development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accreditation in the United States. Paper presented at the SEFI Annual Conference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