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Improvement for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Based on KS X ISO 1548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KS X ISO 15489 표준에 입각하여

  • 정기애 (한국전력기술(주), 중앙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In South Korea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nationwide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Act on public agencies' records management' which was first enacted in 1999. Furthermore, 'the Act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2006' has shifted a paradigm of records management to the digital records world. In this context,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KS X ISO 15489 has a profound significance. Based on the principle of that there should not be any conflict between nationwide records management laws and standard, this study explores a meaning of the standard and discusses contradictive elements between the laws and standard. On the basis of the main contents of the standard's five categories, the study analyzes the law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As a result, the study provides remedies for the current records management law and discusses a prospect of records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21st Century.

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2006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전면 개정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록물관리 발전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전자기록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토대를 다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가 차원의 기록관리에 대한 구체적 지침으로서 법을 보완하는 기능과 역할을 하는 기록관리 표준 KS X ISO 15489의 2007년 제정은 큰 의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적 기록관리 정책과 원칙의 토대가 되는 법률과 표준은 상호배타적이거나 상충되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전제로, KS X 15489 제정의 의의를 살피고, 법률과 표준의 상호성을 논한다. 이를 위해, KS X ISO 15489의 다섯 가지 영역별 주요 내용을 토대로 법률에서의 상호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상호 정렬성을 검토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현행 기록물관리 관련 법령의 개선점을 논의하고, 기록관리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대한 논점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03.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역사비평사
  2. 곽건홍. 2006. 한국 국가기록 관리체제 '혁신'의 성격: 기록관리법 개정안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3, 3-40
  3. 곽정.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2006년 기록관리시스템 혁신을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4, 153-190
  4. 국가기록원 수집관리팀. 2007. 대통령령 공공기관 기록물 관리지침
  5. 국가기록원. 2006. 기록관리 국가표준 KS X ISO 15489 해설
  6. 국가기록원. 2007a.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집: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비교
  7. 국가기록원. 2007b.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표준(NAK-P-2007-06)
  8. 국가기록원. 2007c. 알기 쉬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해설집
  9. 국가기록원. 2007d. 전자기록의 관리와 보존을 위한 국제협력 아젠다 개발
  10. 김세경. 2007. 우리나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규의 변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5-38
  11. 김성수. 2004. 기록관리법의 개정과 관련한 제문제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41-75
  12. 김용. 2007.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61-82
  13. 김유승.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국가기록원의 위상과 국민의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5-25
  14. 김익한. 2002. EDMS와 기록물의 라이프사이클. '기록학연구', 5: 3-38
  15. 김익한. 2006. 전자기록의 진본 평가시스템 모형연구. '기록학연구', 14: 91-117
  16. 방효순. 2003. 한국 자료관 제도의 역할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87-205
  17. 백지원. 2003. 기록관리 분야의 표준 및 표준화 활동 분석. '기록학연구', 7: 3-35
  18. 서혜란, 서은경, 이소연, 오경주, 정원식. 2004, 신뢰성 있는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법적 기반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193-218
  19. 설문원. 2005a. 국가 기록관리 표준 정비의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137-169
  20. 설문원. 2005b. 기록의 품질기준 분석: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1: 41-89
  21. 설문원. 2008. 기록정보서비스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5(3): 249-271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249
  22. 송병호. 2005. 진본성 확보를 위한 전자기록물 관리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43-59
  23. 이경용. 2002. '한국의 근현대 기록관리제도사 연구: 1894-1969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4. 이소연, 김자경. 2004. 전자기록관리시스템(ERMS) 설계표준의 기능요건 분석: ISO 15489를 기준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1(3): 227-250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227
  25. 이영숙, 천권주. 2006. 공공기관 기록관리 평가제도 도입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27-56
  26. 이원규. 2002.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 서울: 진리탐구
  27. 장수용. 2007. 비즈니스 Process Innovation,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109
  28. 전현수. 2006. 한국 현대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1969-1999). '기록학연구', 15: 39-66
  29. 정기애, 남영준. 2008, KM 기반의 기록관리 및 일반 정보관리 통합화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23-43
  30. 조송암. 2008. 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민관 연계 표준화 협력방안. '2008년도 기록관리 세미나 발표자료', 국가기록원, 33-62
  31. 최학열. 2006. 디지털 자료를 장기 보존하기 위한 국제 표준.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학술정보: 주간기술동향', 1270, 정보통신연구진흥원
  32.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기록관리 국가표준의 체계적 확산방안
  33.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4. 한국표준협회. 2008. 글로벌 기업경영의 7가지 조건: 국가 품질상 경영시스템 말콤볼드리니 적용 모델 해설. 서울: 한국표준협회미디어
  35. 한국행정연구원, 한국문헌정보기술. 2006. 공공기관 기록관리 혁신방안 수립 용역의 최종보고서. 국가기록원
  36. State Records New South Wales. 2004. Introducing the NSW recordkeeping framework. Department of Commerce, New South Wales Geovernment, Australia. [citied 2008.12.19].
  37. RMAA. 2007. Course Accreditation Checklist for Course Meetings the Statement of Knowledge for Recordkeeping Professionals Version 1.0(Apr. 2007)

Cited by

  1. An Evaluation of the Standard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vol.43, pp.3, 200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55
  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WBS vol.41, pp.1, 2010, https://doi.org/10.1633/JIM.2010.41.1.173
  3. A Study on the Between Record Management and Management Quality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Malcolm Baldrige Model and ISO 15489 vol.43, pp.3, 200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031
  4. International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the challenges of achieving consensus vol.24, pp.1, 2014, https://doi.org/10.1108/RMJ-01-2014-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