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Question Cards for Fossil Exhibition and Comparison of Communication Depending on Whether to Use the Cards in a Fossil Gallery

화석 전시물에 대한 질문카드 개발 및 활용 여부에 따른 관람 중 소통의 특징 비교

  • Received : 2010.04.30
  • Accepted : 2010.08.24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set of question cards for fostering deep understanding and encouraging reasoning about fossil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communication depending on whether to use the question cards in a fossil gallery. Through several steps, a card set consisted of nine generic questions about fossil exhibitions and guidance for using question cards were developed. Data related to visitors' communications were collected from 18 peer groups (from 5th to 9th grade) visiting the fossil gallery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Visiting groups' interactions were videotape recorded and transcribed. 'Holding time,' the types of 'actions,' and the types of 'conversation' were analysed. Visitors' ac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ook’, 'speech', and 'motion.' Furthermore, visitors' conversations categorized as 'speech' were subdivided into four patterns: 'enumerative,' 'consensual,' 'responsive,' and 'argumentative.' Using the question cards contributes to increase holding time and most of the visiting actions. Most of the conversation patterns also increased except the responsive pattern. In conclusion, using question cards in a fossil gallery could facilitate concentrated and meaningful visits by enhancing activ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s between exhibit and visitor or among visitors, encouraging visitors' reasoning about exhibits, and guiding visitors what and how to focus on exhibits.

본 연구의 목적은 화석 전시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추론적인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으로 구성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관람과 그렇지 않은 자유관람 사이의 소통의 특징을 행위 단위 및 대화 유형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몇 단계의 개발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포괄적이면서 추론적 흐름을 가진 아홉 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질문카드세트를 개발하였다. 질문카드의 활용에 따른 소통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국립과천과학관 자연사전시관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또래 관람객 총 열 여덟(18) 그룹(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이며, 이들의 관람을 비디오로 녹화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관람 행태로서 관람 소요 시간(holding time)과 관람 행위(action)를 측정하였는데, 이 중 관람 행위는 크게 '보기(look)', '말하기(speech)', '행동하기 (motion)'로 나누고, 각각 세부적인 요소들로 더 자세히 구분하여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말하기 관련 세부 요소들을 바탕으로 하여 대화 유형(type of conversation)을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크게 '열거 (enumerative),' '합의(consensual),' '응답 (responsive),' '논의(argumentative)'로 나누고, 각각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질문카드를 활용하는 관람에서는 자유관람보다, 전시물 별 관람 소요 시간 및 대부분의 관람 행위들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대화의 빈도도 증가하였는데, 특히 '응답'을 제외한 나머지 대화의 유형은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질문카드는 전시 물-관람객 간 또는 관람객-관람객 간 소통을 활발히하고, 관람객의 추론적 사고 활동을 촉진하며, 관람객에게 무엇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안내함으로써 보다 집중력 있고 의미 있는 관람이 가능하도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순, 김연화 (2007). 몸짓 기호와 손짓 언어. 서울: 한국문화사.
  2. 김우룡, 장소원 (200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서울: (주)나남출판.
  3. 김정률, 이정선 (1999). 지구과학 교사와 고등학생들의 화석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43-150.
  4.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5. 박용익(2003). 수업대화의분석과말하기교육. 서울: 역락.
  6. 백령 (2005). 멀티미디어 시대의 박물관 교육. 서울: 도서출판 예경.
  7. 안희수, 이창진, 박성혜 (1993). 세계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조직 및 운영. 한국지구과학회지, 14(1), 135-151.
  8. 오필석, 김찬종 (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6), 610-623.
  9. 옥현진 (2008). 다중모드 문식성. 노명완, 박영목 외 편(2008). 문식성 교육연구(pp. 224 253.). 서울: 한국문화사.
  10. 유채린 (2006). 관람객 연구를 통한 전시의 학습 효과 평가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상태, 임종덕 (2005). 자연사박물관의 이해. 서울: 형설출판사.
  12. 이상수 (2004).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 63-88.
  13.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76-386.
  14. 이유기 (2005). 이유기 (2005). '(으)ㄴ가, (으)ㄹ까' 의 대우 등급. 한국어문학연구, 44, 151-175.
  15. 이종일, 권오현, 김상룡, 김영민, 김창식, 송명섭, 송언근, 안영자, 이명숙, 장윤수, 조영남, 조용기, 주웅영 (2006). 교육적 질문하기. 서울: 교육과학사.
  16. 임채진, 홍수미 (2006). 과학관 전시레이아웃에 따른 관람행동 분석:국립서울과학관 특별전시관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33-40.
  17. 정원영, 이주연, 박은지, 김찬종, 이선경 (2010).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909-920.
  18. 최규일 (2003). ' 요' 에 관한 총체적 연구. 한국어 의미학, 12, 171-227.
  19. 최지은 (2004).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15-326.
  20. 최지은, 김찬종, 이창진, 임진영,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이선경(2004). 자연사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69-885.
  21. 최지은, 김찬종 (2005). 창의적인 물리적 환경 유형의 탐색: 자연사 박물관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3), 719-743.
  22. 허준영 (2009).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매력도 연구: 관람객의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Allen, S. (2002). Looking for learning in visitor talk: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In Leinhardt, G., Crowley, K. & Knulson, K. (Eds.). Learning conversation in museum (pp. 259-30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4. Ash, D. (2003). Dialogic inquiry in life science conversations of family groups in a muse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38-162. https://doi.org/10.1002/tea.10069
  25. Atkins, L. J., Veleze L., Goudy, D., and Dunbar, K. N. (2008). The unintended effects of interactive objects and Labels in the science museum. Science Teaching, 93(1), 161-184.
  26. Belcher, M. (1991). Exhibitions in museums. Leicester: Leicester University Press.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2006. 신자은, 박윤옥 공역. 서울: 도서출판 예경.
  27. Bitgood, S. (2000). The role of attention in designing effective interpretive labels. Journal of Interpretation Research, 5(2), 31-45.
  28. Clark, H. H. (1996). Using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Cox Petersen, A. M., Marsh, D. D., Kisiel, J., and Melber, L. M.(2003). Investigation of guided school tours, student learning, and science reform recommendations at a museum of natural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200-218. https://doi.org/10.1002/tea.10072
  30. Davis, J. (1996). The MUSE book. Cambridge, MA: Harvard Project Zero.
  31. Diamond, J. (1999). Practical evaluation guide: Tools for museums & other informal educational settings. Walnut Creek, CA: Altamira Press.
  32. Falk, J. H. (1997). Testing a museum exhibition design assumption: Effect of explicit labeling of exhibit clusters on visit or concept development. Science Education, 81, 679-687.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11)81:6<679::AID-SCE5>3.0.CO;2-F
  33. Falk, J. H., and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Walnut Creek, CA: Altamira Press.
  34. Grenier, R. 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2), 142-157. https://doi.org/10.1177/0741713608327369
  35. Gutwill, J. P. (2006). Labels for open ended exhibits: using questions ad suggestions to motivate physical activity. Visitor Studies, 9(1), 1-9.
  36. Hein, G. E. (1998). Learning in the museum. London, New York: Routledge.
  37. Hogan, K., Nastasi, B. K., and Pressley, M. (2000). Discourse patterns and collaborative scientific reasoning in peer and teacher 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38. Hohenstein, J., and Tran, L. U. (2007). Use of questions in exhibit labels to generate explanatory conversation among science museum visi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557-1580. https://doi.org/10.1080/09500690701494068
  39. Leinhardt, G., and Knutson, K. (2004). Listening in on museum conversations. Walnut Creek, CA: Altamira Press.
  40. Manouchehri, A. (2002). Developing teaching knowledge through peer discours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 715-737. https://doi.org/10.1016/S0742-051X(02)00030-6
  41. Mony, P. R. S., and Heimlich, J. E. (2008). Talking to visitors about conservation: exploring message communication through docent visitor interaction at zoos. Visitor Studies, 11(2), 151-162. https://doi.org/10.1080/10645570802355513
  42. Mortensen, M. F., and Smart, K. (2007). Free choice worksheets increase students' exposure to curriculum during museum visi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9), 1389-1414. https://doi.org/10.1002/tea.20206
  43. Novey, L. T. and Hall, T. E. (2007). The effect of audio tours on learning and social interaction: An evaluation at Carlsbad Caverns National Park. Science Education, 91, 260-277. https://doi.org/10.1002/sce.20184
  44. O'donnell, A. M., and King, A. (Eds.). (1999). Cognitive perspectives on peer learning.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Rowe, S. (2004). Discourse in activity and activity as discourse. In R. Rogers (Ed.), An introduction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education (pp. 79-9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46. Shin, M. K., Kim, C. J., and Lee, C. (2004). A study of visitor behaviour in informal learning setting: a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3), 142-151.
  47. Yoon, S., Kim, K., Heo, J., Lee, S. K., and Kim, C. J. (2007). A Case study on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in the panels in natural history museums: Toward educationally meaningful communi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Education for the Next Society, 2, p119. [Abstract]

Cited by

  1. 관람 대화의 흐름과 상호작용의 양상에 기반한 자연사 전시관의 전시물과 관람객 간 상호작용적 학습 사례 연구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51
  2.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using Storytelling for Learning with Natural Heritage Exhibition vol.30, pp.3, 2010, https://doi.org/10.17965/kjee.2017.30.3.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