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Infiltration System for Stormwater Management from Paved Area

포장지역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침투도랑 기술개발

  • 이정용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
  • 이소영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0.08.13
  • Accepted : 2010.12.2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Recently,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have occurr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oth industry and population grew rapidly which causes a corresponding rise in pollution. The accumulated pollutants are washed-off during rainy days, highly degrad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water body. This is because a lot of non point source (NPS) pollutants were accumulated on the surface during dry period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Eco-Bio Filter (EBF) system that treats NPS pollutants. It is constructed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campus. The EBF is a type of a structured infiltration system that falls under the category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hydrologic design practices. The monitoring of rain events was performed. It includes the development of design,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post-construction testing and the improvements in the renovation made. After a series of monitoring, the MOE will use the results to apply the design to other areas in the country.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및 경제성장으로 다양한 개발사업이 발생하였다. 다양한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각종 오염물질이 발생하였으며, 발생된 오염물질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물순환 시스템이 아닌 인위적으로 형성된 물순환 시스템으로 인하여 하천 및 호소로 직접 유입되어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강우시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이 큰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우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저류 및 침투기능을 포함하는 한국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인 Eco-Bio Filter (EBF)를 개발하고자 한다. EBF 시설은 저류 및 침투기능을 포함하며, EBF Test-bed를 공주대학교 천안 캠퍼스 내에 설치하여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현재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기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EBF 기술을 제시하였다. 오염물질별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입자상 물질, 질소, 인, 중금속에 대하여 70% 이상의 높은 저감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강우특성에 맞으며 도시의 생태를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점오염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저영향개발(LID) 중 하나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원, 김석구, 김영임, 윤상린, 김소정(2005). 도 시지역 불투수면의 오염물질 유출특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005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pp. 813-818
  2. 김이형, 이선하(2005). 주차장 및 교량 강우유출수의 중금속 오염물질 특성과 동적 EMCs, 한국물환경학회지, 21(4), pp. 385-392
  3. 노성덕, 이대근, 전양근(2004). 도로상의 비점오염 물질 저감을 위한 초기 우수유출수 처리에 관 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0(5), pp. 525-523
  4. 양해근 (2006)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에 관한연구; 곡성천 상.하류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1(4), pp. 418-434
  5. 이은주, 정용준, 이소영, 김이형(2007). 친환경 리조트 개발사업을 위한 비점오염원관리: 비점저감시설을 통한 오염물질 삭감량 산정, 한국습지학회지, 9(2), pp. 9-20
  6. 이준호, 조용진, 방기웅(2005). 강우시 도로유출수 수질특성 및 입경분포, 대한환경공학학회지, 27(7), pp. 777-784
  7. 이현동, 배철호(2002). 비점오염원 유출특성과 저감을 위한 최적관리방안, 한국물환경학회지, 18(6), pp. 569-576
  8. 최지용, 신은성, 이동훈(1999). 서울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환국물환경학회지, 15(3), pp. 315-323
  9. 농림부(2007). 농촌지역 비점오염관리 가이드북.
  10. 환경부(2004). 관계부처합동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11. 환경부(2006a).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
  12. 환경부(2006b). 물환경관리기본계획
  13. Booth, D.(1991). Urbanization and the natural drainage system-impacts, solutions, and prognoses, Northwest Environ J., 7, pp. 93-118
  14. Kim, L. H.(2003). Determina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First Flush Criteria in Urban Runoff.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8(4), pp. 163-176 https://doi.org/10.4491/eer.2003.8.4.163
  15. J.H. Lee, K.W. Bang, L.H. Ketchum, J.S. Choe, M.J. Yu(2002). First flush analysis of urban storm runoff,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93, pp. 163-175 https://doi.org/10.1016/S0048-9697(02)00006-2
  1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US EPA), (2005). National Management Measures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Urban Areas. EPA-841-B-05-004.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20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