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amily Values on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정혜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Received : 2010.09.29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family values (attitudes toward marriage, children, and traditional sex roles) and examines how the values influence on their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A sample consists of 5,984 never married men and women drawn from the 2005 and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endorsement on marriage and children has decreased while endorsement on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 has in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Those who have higher values on marriage, children, and traditional sex role have a higher likelihood of marriage intention. However, the effects of the family values on marriage intention have weakened during the period. The endorsement on marriage lowers the mean ages of the expected first marriage.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family values during the period, this study find that normative aspects of the family values have lower effects, whereas individual aspects of the values have stronger effects over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vary across sex, time, and the aspect of the values.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결혼지연 현상을 가치관 접근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2005, 2009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중 미혼남녀 5,98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결혼, 출산, 성역할 규범 등 가족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고, 가족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난 5년 사이 남성의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지고, 전통적 성역할분업과 남성생계부양모델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졌다. 여성의 결혼의 필요성과 혼전 동거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지고,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진 반면, 성역할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화하였다.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이 높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양모델에 동조하는 사람일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았다. 남녀 모두 결혼 필요성에 대해 동조할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빨랐으며, 여성은 혼전동거에 대해 수용적일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높았다. 결혼 및 자녀의 필요성과 같은 당위적 규범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된 반면, 자녀의 정서적 가치가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강화되었다. 가족 가치관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계획연령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 가치관 영역,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신 (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 연구: 노년, 중년, 청소년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2. 김두섭 (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변천과 그 인과구조" 인구와 사회 1(1): 23-53.
  3. 김승권 (2008) 한국인의 행복 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연구보고서.
  4. 김정석 (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5. 김태헌.이삼식.김동회 (2005) 출산력 저하의 원인: 출산행태 및 출산력 차이 보건복지부.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6. 김혜영 (2008) "신자유주의와 다양한 가족" 한국사회 9(2): 55-94.
  7.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 (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 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민중서림 (2010) 엣센스 국어사전(제6판).
  9. 옥선화.성미애.신기영 (2000)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가족 및 친족 관련 가치관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8(9): 1-17.
  10. 유삼현 (2006) "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저출산 인과구조의 이해" 인구와 사회 2(2): 53-76.
  11. 유홍준.홍성민 (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12. 은기수 (1995)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 18(1): 89-117.
  13. 은기수 (1999)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생애사건연쇄분석" 한국인구학 22(2): 46-70.
  14. 은기수 (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이 갖는 의미" 보건복지포럼 2005(4): 25-35.
  15. 은기수 (2006)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8(3): 1-31.
  16. 이삼식 (2005)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38.
  17. 이수진 (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노동정책연구 5(1): 131-156.
  18. 전광희 (2002) "한국의 저출산: 추이와 전망" 사회과학연구 13: 305-323.
  19. 정기선 (2009)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통계청.통계개발원(편) 한국의 사회동향 2009 통계청.통계개발원.
  20. 정성호 (2009)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32(2): 161-183.
  21. 정창무 (2008) "초혼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변인" 국토계획 43(4): 105-118.
  22. 조병구.조윤형.김정호 (2007) 출산지원정책의 타당성 및 지원효과 분석 한국 개발연구원.
  23. 최새은.옥선화 (2003) "30대 기혼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 8(1): 53-73.
  24. 통계청 홈페이지 자료(http://kosis.go.kr)
  25. Bramlett, M. and Mosher, W. (2002) "Cohabitation, Marriage, Divorce, and Remarriage in the United States" Vital and Health Statistics Series 23, No. 22. Hyattsville, MD: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6. Buss, D. M., Shackelford, T. K., Kirkpatrick, L. A. and Larson, R. J. (2001) "A Half Century of Mate Preferences: The Cultural Evolution of Valu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 491-50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491.x
  27. Cherlin, A. (2004) "Deinstitutionalization of America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848-861. https://doi.org/10.1111/j.0022-2445.2004.00058.x
  28. Giddens, A. (2001) Modernity and Self-Identity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9. Goldstein, T. K. (2001) "Marriage Delayed or Marriage Forgone? New Cohort Forecasts of First Marriage for U.S. Wom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4): 506-519. https://doi.org/10.2307/3088920
  30. Jones, G. V. (2009) "Delayed Marriage and Very Low Fertility in Pacific Asia"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3(3): 453-478.
  31. Kalmijn, L. (2005) "Ha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Marriage Changed for Men?" Population Studies 59(2): 211-231. https://doi.org/10.1080/00324720500099587
  32. Lichter, D. and Qian, Z (2004) Marriage and Family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American People: Census 2000 Serie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and Population Reference Bureau.
  33. Raley, R. K. and Bratter, J (2004) "Not Even If You Were the Last Person on Earth! How Marital Search Constraints Affect the Likelihood of Marriage" Journal of Family Issues 25: 167-181. https://doi.org/10.1177/0192513X03256515
  34. Sassler, S. and Goldscheider, F. (2004) "Revisiting Jane Austen's Theory of Marriage Timing: Change in Union Formation among American Men in the Late 20th Century" Journal of Family Issues 25: 139-166.
  35. Sassler, S. and Schoen, R. (1999) "The Effects of Attitudes and Economic Activity o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147-159. https://doi.org/10.2307/353890
  36. Teachman, J. (2003) "Premarital Sex, Premarital Cohabitation, and the Risk of Subsequent Marital Dissolution among Wom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444-455.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44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