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Various Organic Materials on Weed Control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벼 친환경재배에서 다양한 유기자원별 잡초방제효과

  • Kwon, Oh-Do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Park, Heung-Gyu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An, Kyu-Nam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Lee, Yeen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hin, Seo-Ho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hin, Gil-Ho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hin, Hae-Ryoung (Jeon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uk, Yong-In (Dept. of Development in Resource Plants,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Natural Resources)
  • 권오도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박흥규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안규남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이인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신서호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신길호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신해룡 (전남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 국용인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자원식물개발학과)
  • Received : 2010.09.11
  • Accepted : 2010.09.24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weed management techniques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through the study on herbicidal effects and problems of various organic material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weed species and weed densities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edy efficacy on golden apple snail (GAS), paper mulching (PM), and machine weeding (MW) between low and high weed densities. However, the effect of weed control in rice bran (RB) and effective microorganism (EM) + molasses was higher in high weed density than in low weed density. In general, the effect of weed control as affected by various organic materials was in the order of GAS (97-100%) > PM (93-98%) > RB (15-80%) > EM (7-31%). GAS provided excellent control of all weed species tested except for Persicaria hydropiper. PM gave acceptable control of the weed species except for Echinochloa crus-galli, Ludwigia prostrata, and Eleocharis kuroguwai. However, MW gave fair control (70% biomass reduction) of all weed species tested. BR followed by MW or EM followed by MW treatments had similar effect on weed control compared to each treatment alone. However, BR followed by GAS or EM followed by GAS provided 100% control of weed species tested. The level of rice foliar injury caused by various organic materials was in the order of GAS and MW (10-20%) > RB (10-15%) > PM and EM (5-7%). Typical symptoms of organic materials are wilting, inhibition of growth, missing hill, and reduction of tiller. Cost for weed control of GAS, RB, EM, and PM were 2.1, 3.1, 2.3, and 13.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herbicide. These data indicate that GAS was the best method for weed management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ice injury as affected by GAS.

본 연구의 목적은 벼 친환경재배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유기자원들에 대한 잡초방제 효과와 문제점을 구명하여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잡초관리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잡초발생밀도와 종류가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다양한 유기자원을 처리한 결과 왕우렁이, 종이멀칭 및 기계제초의 잡초방제 효과는 유사하였으나 쌀겨 및 EM당밀처리에서는 잡초발생량이 많은 처리구에서 적은 처리구에 비해 잡초방제 효과가 높았다. 일반적으로 유기자원처리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는 왕우렁이(97~100%) > 종이멀칭(93~98%) > 기계제초(73~75%) > 쌀겨(15~80%) > 당밀(7~31%) 순이었다. 왕우렁이는 여뀌를 제외하고 모든 초종에 대하여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고, 종이멀칭도 피와 여뀌바늘, 올방개 등이 다소 발생하나 비교적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기계제초는 잡초종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70%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쌀겨/기계 및 EM/기계의 체계처리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는 각각의 단독처리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쌀겨/ 왕우렁이 및 EM/왕우렁이 체계처리에 의해 100% 방제효과를 보였다. 다양한 유기자원 처리에 의한 벼 피해율은 왕우렁이와 기계제초(10~20%) > 쌀겨(10~15) > 종이멀칭 및 EM당밀(5~7%) 순으로 높았다. 피해증상은 유기자원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생육저해, 분얼경 가해 및 결주 등이다. 왕우렁이, 쌀겨, 당밀 및 종이피복의 잡초방제 비용은 제초제에 사용에 소요된 비용보다 각각 2.1, 3.1, 2.3 및 13.2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유기자원 중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왕우렁이를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왕우렁이 농법 사용시 발생되는 제초비용과 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용인, 신지산, 권오도, 구자욕. 2001. 쌀겨 추출물에 의한 잡초 발아 및 초기생장 억제 효과. 한국환경농학회지 20(2):108-111.
  2. 김도익, 김선곤, 최경주, 강범용, 박종대, 김정준, 최동로, 박형만. 2007. 전남지역 왕우렁이의 발생생태 및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6(1):109-115.
  3. 김석언, 권오도, 유수남, 서상룡, 최영수, 이공인. 2006. 벼 친환경재배를 위한 폿트 묘의 기계체초시기. 한국농업기계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1(2):83-87.
  4. 김제규, 안종웅, 구연충. 2007a. 영남지역 고품질 쌀생산 핵심기술. 농촌진흥청 영남 농업연구소 pp. 39-43.
  5. 김종구, 이상복, 이경보, 이덕배, 김재덕. 2001. 쌀겨시용량 및 시용시기가 벼 생육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0(1):15-19.
  6. 농업과학기술원. 2005. 벼 유기재배 가이드 북. pp. 164-165.
  7. 문영훈, 오동훈, 최정식, 나종성, 한성수. 1998. 벼 재배시 유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한국환경농학회지 17(4):319-323.
  8. 변종영, 구자옥, 구연충. 1997. 잡초관리를 위한 환경친화적인 재배기술. 한국잡초학회지 17(1):124-134.
  9. 안설화, 이상복, 임일빈, 김선, 최만영, 김재덕. 2007. 농산 부산물 및 자생식물이 벼와 잡초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7(3):248-256.
  10. 양원하, 한희석, 전원태, 양창인, 이병석, 윤영환, 최돈향, 박종욱. 2005. 벼 기계이 앙재배의 기술 개선 연구. 제2보 벼 종이멀칭 기계이앙 재배기술. 작물과학연구 논총 제6권:278-291.
  11. 이변우, 최일선, 이학래. 1997. 종이멀칭 이앙재배에서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 및 수량. 한국잡초학회지 17(4):368-374.
  12. 이상범, 고문환, 나영은, 김진호. 2002. 왕우렁이의 생리 .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21(1):50-56.
  13. 이인용, 박남일, 지승환, 권오석, 박재읍, 정경임. 2005. 재생종이 멀칭이 잡초방제와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5(5):98-102.
  14. 임순택, 이인용, 조정래, 문병철, 박재읍. 2002. 중경제초기를 이용한 논 잡초방제. 한국잡초학회지 22(3):259-265.
  15. 전남농업기술원. 2009. 벼 유기재배 첫걸음. 115p.
  16. 황재복, 박성태, 송석보, 이봉춘. 2007. 벼 기계이앙답에서 중경제초기를 이용한 잡초 발생의 년차간변이 및 수량. 한국잡초학회지 27(4):334-340.
  17. Davies, W. J., and Jones, H.G. 1991. Abscisic acid : physiology and biochemistry. Bios. Sci. Pub. Oxford, Uk.

Cited by

  1. Weed Population and Rice Yield in Organic Rice-Green Manure Crops Rotation System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660/KJWS.2011.31.4.360
  2. Effect of Rice Bran and Barley Bran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osum Rottler) and Taro (Colocasia esculenta) and Weed Control vol.31, pp.3, 2011, https://doi.org/10.5660/KJWS.2011.31.3.260
  3. Life Cylcle Assessment (LCA) on Rice Production Systems: Comparison of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 on Conventional, Without Agricultural Chemical and Organic Farming vol.45, pp.6, 2012, https://doi.org/10.7745/KJSSF.2012.45.6.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