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귀리의 수분함량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 송태화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한옥규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윤성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태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경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기종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Received : 2010.03.03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pre-wilting time for the high-quality silage production of whole crop oat. Plants were harvested for three time at intervals of 10 days after heading (DAH) and silage production was conducted after the pre-wilting treatment of 0, 4, 8 and 32 hours,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o attain a proper moisture content for profitable silage production, which was an optimal content for making silage, by pre-wilting oat for 4 hours after harvest at either 20 days after heading or harvesting 30 DAH(days after heading). As the feed value of silage, the processing of proper moisture contents showed that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 and the entire feed value showed higher than others. High content of lactic acid and the low content of acetic and butyric acid showed on 60~65% the moisture conditions of silage. There was desired that whole crop oat was pre-wilting on 4 hours and harvested at about 20~30 DAH and after that, even if harvesting at once, it was judged that it could produce good quality silage.

이 연구는 고품질 귀리 사일리지의 제조를 위한 수확시기별 적정 예건시간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국내 육성품종인 삼한귀리를 가을에 파종하고 이듬해 봄인 출수 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동안 예건을 실시하였으며, 각 예건시간별 식물체의 수분변화와 사일리지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귀리는 출수 후 2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고, 출수 후 3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에는 사일리지 제조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여 예건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도 수분함량이 약 55~65% 정도가 도달한 시기에 수확한 처리구나 그 수준에 도달하도록 예건한 처리구에서 전체적인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 품질 평가기준의 중요한 요인인 pH와 유기산은 수분변화에 따라 아주 큰 변이를 보였는데 55~65%의 수분조건에서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초산과 낙산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귀리는 출수 후 20일 경에 수확 시에는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후에는 바로 수확하여 곤포로 제조하여도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2(3):173-177.
  2. 김정갑, 진현주, 신재순, 정의수, 한민수. 1996. 봄재배 연맥의 silage 제조 이용시 예건 및 formic acid 처리에 의한 품질개선효과. 한국초지학회지. 16(2):155-160.
  3. 농촌진흥청. 2009. 유통 사일리지 품질기준 현장 적용 세미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4.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김경훈, 김기종. 2009a. 청보리의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수분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1(4):316-321.
  5.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박기훈. 2009b.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변화.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9(2):129-136.
  6. 신정남. 1975. 예건이 Grass Silag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17(5):539-548.
  7. 신정남, 윤익석. 1983. 예건이 Silag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3(2):92-99.
  8. 양종성, 이상만, 김정갑, 한흥전. 1990. 청예 대맥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1. 대맥과 호맥의 생장 및 건물 축적형태에 대한 비교분석. 농시논문집 32:42-48.
  9. 양창범, 이희석, 백윤기, 지용식. 1989. 사료용 귀리의 생육시기별 수량 및 성분변화. 농시논문집(축산편) 31(1):61-65.
  10. 이광녕, 김동암. 1997. 예건 및 첨가제가 호밀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 및 호기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7(2):187-198.
  11. 최기준, 김원호. 2008. 한국에서 동계사료작물 생산과 이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년도 학술심포지엄 및 제 46회 학술발표회. pp. 19-48.
  12. 한정대, 윤익석. 1978. Silage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요인의 평가. 한국초지연구회보. 1:18-28.
  13. 황종진, 성병렬, 연규복, 안완식, 이종호, 정규용, 김영상. 1985.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 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30:301-309.
  14.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5. Charmley, E., P. Savoe and R.E. McQueen. 1997. Influence of maceration at cutting on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s, silage fermentation and voluntary intake and digestibility of precisionchopped lucerne silage. Grass Forage Sci. 52:110-121. https://doi.org/10.1046/j.1365-2494.1997.00061.x
  16. Delogu, G., N. Faccini, P. Faccioli, F. Reggiani, M. Lendini, N. Berardo and M. Odoardi. 2002.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evaluation at two phenological stage of Sardinia Italy. Field Crops Research 74:207-215. https://doi.org/10.1016/S0378-4290(02)00002-3
  17.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8. Gordon, C.H. 1967. Storage losses in silage as affected by moisture content and structure. J. Dairy Sci. 50:398-402.
  19. Gordon, F.J. 1981. The effect of wilting of herbage on silage composition and its feeding value for milk production. Anim. Prod. 32:171-178. https://doi.org/10.1017/S0003356100024971
  20. Haigh, P.M. and J.W.G. Parker. 1985. Effect of silage additives and wilting on silage fermentation, digestibility and intake, and on liveweight change of young cattle. Grass & Forage Sci. 40:429-436.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5.tb01774.x
  21.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22. Marsh, R. 1979. The effects of wilting on fermentation in the silo and on the nutritive value of silage. Grass Forage Sci. 34:1-10. https://doi.org/10.1111/j.1365-2494.1979.tb01441.x
  23. Wiersma, D.W., Carter, P.R., Albrecht, K.A. and Coors, J. G. 1993. Kernel milkline stage and corn forage yield quality and dry matter content. J. Prod. Agric. 6:94-99. https://doi.org/10.2134/jpa1993.0094

Cited by

  1. Benefici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on Oat Based Silage in South Korea vol.35, pp.3,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3.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