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valuation Model on Supply Factors of Urban Park

도시공원의 공급인자 평가모형

  • Received : 2010.02.03
  • Accepted : 2010.04.1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causal effects of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on visitor satisfaction?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he Korean park planning proces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d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452 visitors at 8 urban park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08, based on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fter the elimination of 96 unsuitable samples,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method. We have found that: 1) Whil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accessibility(ACC) on visitor satisfaction(VS) turned out to be 0.184 and 0.220, respectively, the indirect effect of information(IFM) and promotion(PRM) on VS turned out to be 0.101 and 0.177, respectively. 2) Whil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rvice(SVR) on VS turned out to be 0.130 and 0.236, respectively, the direct effect of ACC turned out to be 0.698. 3) While the direct effect of ACC, SVR and attraction(ATT) on VS turned out to be 0.184, 0.130 and 0.698, respectively, composing 67.96% of causal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ACC, IFM, PRM and SVR on VS turned out to be 0.220, 0.101, 0.177 and 0.236, respectively, composing 42.04% of causal effect. 4) The magnitude of causal effect of supply factors on VS turned out to be ATT(39.98%), ACC(23.14%), SVR(20.96%), PRM(10.14%) and IFM(5.78%) in order, and 5) the causal effect of external supply factors of ACC, IFM and PRM compose 39.06% of the causal effect while that of the internal supply factors of SVR and ATT is 69.94%.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 Planning for park marketing strategy and remedial directions for existing urban parks, in order to increase visitor satisfaction, be focused on IFM and PRM, especially. 2) The research approach and path analysis method adopted by this research be valid and highly useful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 other recreation areas. It is recommended that: 1)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upply factors of urban parks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2) Evaluation of supply factors by type of urban park be performed.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공급인자가 도시공원의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에 관한 연구의문에 해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시공원의 공급인자인 매력물, 서비스, 접근성, 정보, 촉진이 도시공원의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도시공원의 공급인자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외부적 공급인자와 내부적 공급인자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하나의 인과모형으로 구성한 개념적 틀을 구성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가설의 실증적 검정을 위한 자료는 8개의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할당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선정된 452명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불성실한 응답과 이상치를 제외한 356매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LISREL for Windows 8.72(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2006)와 SAS Ver. 9.1(SAS Institute Inc., 2002)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공원의 공급인자의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부적 공급인자인 접근성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는 각각 0.184, 0.220으로 나타났다. 정보와 촉진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으나 간접효과는 각각 0.101, 0.177로 나타났다. 2) 내부적 공급인자인 서비스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는 각각 0.130, 0.236인 반면 매력물의 직접효과는 0.698로 나타났다. 3) 도시공원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접근성, 서비스, 매력물의 직접효과의 크기는 각각 0.184, 0.130, 0.698로 57.96%를 구성하는 반면, 접근성, 정보, 촉진, 서비스의 간접효과의 크기는 각각 0.220, 0.101, 0.177, 0.236으로 42.04%이다. 4) 도시공원의 공급인자들이 도시공원의 이용 만족도(100.00%)에 미치는 인과효과의 크기는 매력물(39.98%), 접근성(23.14%), 서비스(20.96%), 촉진(10.14%), 정보(5.78%)의 순이다. 5) 도시공원의 외부적 공급인자인 접근성, 정보, 촉진의 효과는 39.06%인 반면, 내부적 공급인자인 서비스, 매력물의 효과는 69.94%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도시공원의 마케팅전략 수립과 기존의 조성된 도시공원 개량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지식을 얻었다. 특히, 이 연구에 적용된 방법론은 여타의 여가활동 장소의 계획과 설계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차 더 많은 측정변수들을 도입하여 도시공원의 공급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정립과 도시공원의 종류별 공급인자 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부언(2001) 주제공원 서비스의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 한일경상학회 한일경상논집 22(2): 175-187.
  2. 국토해양부(2009) 도시공원.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국토해양부.
  3. 국토해양부(2010)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지침 일부개정안. 국토해양부.
  4. 권상준, 김유일(1991) 도시근린공원의 포착력에 따른 유치권 구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 98-127.
  5. 권상준, 심경구(1993) 도시근린공원간의 포착력에 대한 중력모형 검증. 한국조경학회지 21(2): 1-7.
  6. 권상준, 심경구, 김유일(1994) 도시근린공원의 도달거리와 포착력에 관한 계량모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 149-178.
  7. 권유홍, 이훈(2002) 주제공원 서비스 질이 방문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6(1): 219-236.
  8. 김경완(2001) 미개발 공원의 개발 우선 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대구 광역시 도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기태(2002) 수도권 신도시의 도시공원 이용행태 및 주민 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부식(2000) 도시공원 조정수목의 효율적인 관리에 관한 연구: 서울 올림픽공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1. 김영(1990) 편익시설의 접근성에 따르는 만족도 평가. 생산기술연구소 논문집 6: 75-84.
  12. 김영도, 김억(2004) 커뮤니티 시설에 따른 공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구조계 24(2): 563-566.
  13. 김용수, 임원현(1992) 도시민을 위한 Recreation 공간의 Amenity 자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0(2): 27-42.
  14. 대구광역시(2008) 공원 유원지현황. 대구광역시.
  15. 문창현(2001)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1): 97-118.
  16. 박승범(1990) 이용자 만족에 기초한 도시공원 녹지개발의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장근, 임란희, 지용범, 선희진(2001) 도시공원 이용자들의 형태 분석 및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 만석공원을 대상지로. 한국여가 레크레이션학회지 여가레크레이션연구 21(1): 129-152.
  18. 백재봉(1985) 도시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주환, 김동근(2000) 도시공원 이용프로그램의 만족도 분석: 도쿄도립도시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5): 58-67.
  20.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경기도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2): 83-91.
  21. 신동주(1992) 수도권 내 주제공원의 마케팅측면에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14: 95-110.
  22. 엄서호(1994) 주제공원 서비스 질의 측정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2): 25-38.
  23. 이시영(2004) 도시 근린공원의 방문제약 요인: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1): 23-32.
  24. 이유재(1999) 서비스마케팅. 서울: 학현사.
  25. 이재욱(1997) 테마파크에 있어 서비스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개발논총 6(1): 255-278.
  26. 이혁진, 류재숙(2007) 테마파크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널 21(2): 5-18
  27. 이현주(2002) 도시 공원의 조성 실태와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익산시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환기(1999) 대도시 근린공원 개발을 위한 이용자 행태분석, 한국관광레저학회지 관광 레저연구 13: 75-97.
  29. 임명재, 정강환, 곽용섭(2005) 방문객 만족 측면에서 주제공원 이벤트의 효과: 엑스포 과학공원을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지 관광 레저연구 17(2): 173-192.
  30. 임유라, 추장민, 신지영, 배현주, 박창석(2009) 소득계층요인에 따른 자연녹지와 도시공원의 접근성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4): 135-145.
  31. 임현주(2003) 도시공원의 서비스 평가.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장병문(1976) 공원개발계획의 비판적 고찰, 영남대학교 논문집 10: 391-413.
  33. 장병문(2001) 자연휴양림의 개발인자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3): 19-28.
  34. 장병문, 배민기(2001) 자연공원의 자원과 이용 만족도간의 관계에 관한 인과모형: 국립공원과 도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3): 12-24.
  35. 장병문, 서정희(1999) 휴양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휴양림의 자원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4): 13-28.
  36. 장병문, 서정희(2000) 개발주체별 자연휴양림 시설물의 차이. 한국조경학회지 28(3): 39-52.
  37. 정기회(2005) 근린공원의 여가 시설물 만족도 모형.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117-123.
  38. 조방현, 전형상, 김준희(2008) 국내 테마파크의 서비스품질이 이용객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여가레크레이션연구 32(4): 211-221.
  39. 조우, 유기준(2004) 탐방객 특성에 기초한 도시공원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인천대공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97-305.
  40. 주신하(2008)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36-47.
  41. 최선주(2008) 도시공원 이용프로그램의 만족도 분석: 서울시 내 도시 공원의 생태관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최연철, 김진선(2001) 도시근린공원의 야간이용행태와 조도분포. 산업과학연구 18(2): 89-96.
  43. 최정우(1999)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도시공원 관리운영방안. 건축 도시환경연구 7: 141-149.
  44. 한승엽, 김흥렬, 윤설민(2006)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평가: IP 분석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21: 141-153
  45. 허기남(2001) 도시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홍성권(1993a) 마켓팅 개념을 도입한 도시공원 개발. 한국토지개발공사 토지와 기술 24: 15-24.
  47. 홍성권(1993b) 도시근린공원의 포착력에 따른 유치권 구분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 98-127.
  48. 홍성권, 김유현(1992) 도시공원의 특성에 따른 이용자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농촌자원개발논집 17: 37-45.
  49. Chapin. Stuart F. and Edward J. Kaiser(1979) Urban Land Use Planning( 3rd ed.). Urbana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0. Clawson. Marion and Jack L. Knetsch(1996) The Role and Character of Outdoor Recreation: Economics of Outdoor Recreation. Baltimore: the John Hopkins Press.
  51. Gunn, Clare A.(2002) Tourism Planning(4rd ed.). Washington: Taylor and Francis.
  52. Hendon. William S.(1981) Evaluating Urban Parks and Recreation. New York: Praeger Publishers Division.
  53. Jubenville. Alan(1976) Outdoor Recreation Planning.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54. Satterthwaite. Ann and George T. Marcou(1968) Open Space, Recreation. and Conserv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of Urban Planning. edited by William I. Goodmann, Washington D.C.: International City Managers' Association.
  55. http://en.wikipedia.org/wiki/Service_(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