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Collected by a Stow Net in the Han River Estuary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한강 하구역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 Hwang, Sun-Do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
  • Rhow, Jin-Goo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 황선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노진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Received : 2010.03.19
  • Accepted : 2010.05.31
  • Published : 2010.05.30

Abstract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in the Han River estuary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near Ganghwa Island by a bag net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Total number of species was 86: 54 species of fishes, 16 species of shrimps of crustacean, 12 species of other crustacean such as craps and so on, 3 species of cephalopods and 1 species of jellyfish. Of a total of 86 species, Palaeman carinicauda (32.6%), Acetes japonicus (15.9%), Palaemon gravieri (9.9%), Portunus trituberculatus (7.7%) and Acetes chinensis (6.9%)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These 5 crustacean accounted for 73% of total. Abundance, biomass and diversity of Han River estuarine fauna were high in spring and autumn, indicating typical pattern of temperate area. Out of dominant species, the brackish residence species such as Coilia nasus, Chelon haematocheilus, Mugil cephalus, Synechogobius hasta, Lophiogobius ocellicauda, Tridentiger barbatus, Palaeman carinicauda, Palaemon gravieri were collected almost year-round and predominated in abundance. Coastal migratory fauna species such as Coilia mystus, Thryssa hamiltonii, Thryssa adelae, Sardinella zunasi, Engraulis japonicus, Portunus trituberculatus, Acetes japonicus, Collichthys lucidus, Pampus argenteus were most plentiful from spring through autumn. Their adult coastal migratory entered the estuary in spring and large numbers of their juveniles were grew in summer and autumn until moving out to deeper waters for over-wintering, indicating they use estuary as nursing ground. Diadromous fish such as Anguila japonica adults were collected in autumn during their downstream migration. Brackish fauna and crustacean, especially shrimps were predominant, and few contaminant indicator species collected in the Han River estuary, indicating this area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estuary ecosystem.

한강 하구의 기수역에서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강화 석모 수로에 설치된 연안개량안강망 1틀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유영생물을 수집하였다. 채집된 유영생물은 총 86종으로 그중 어류가 54종으로 가장 많았고, 새우류 16종, 게류 등의 갑각류 12종, 두족류 3종 그리고 1종의 해 파리가 출현하였다. 전체 유영생물 중 밀새우(Palaeman carinicauda)가 10회 출현에 개체수로 32.6%로 최고 우점 하였으며, 젓새우(Acetes japonicus) 15.9%,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9.9%,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 7.7%, 중국젓새우(Acetes chinensis) 6.9%로 이들 갑각류 5종이 총 개체수의 73.0%를 차지하였다. 한강 하구역 유영생물 군집구조는 봄과 가을에 개체수와 양적으로 번성하였고 높은 다양성을 보이는 전형적인 온대 해역의 특징을 보였다. 우점종을 서식처에 따라 구분하면, 웅어(Coilia nasus),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숭어(Mugil cephalus)와 풀망둑(Synechogobius hasta), 오셀망둑(Lophiogobius ocellicauda), 아작망둑(Tridentiger barbatus), 밀새우, 그라비새우는 기수성 주거종으로, 싱어(Coilia mystus), 풀반지(Thryssa hamiltonii), 풀반댕이(Thryssa adelae), 밴댕이(Sardinella zunasi), 멸치(Engraulis japonicus) 등의 청어목 어류와 꽃게, 젓새우 그리고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 병어(Pampus argenteus) 등은 연안 회유종으로, 뱀장어(Anguila japonica)는 왕복성 어류로 분류된다. 한강 하구의 경우, 기수성 어종이 우점하고, 펄을 서식처로 이용하는 새우류가 어류보다 양적으로 우세하며, 주둥치와 같이 환경이 악화된 해역에 서식하는 종이 채집되지 않음으로써 자연 하구의 생태계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서해 연안어업 자원조사

Supported by :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References

  1. 곽석남, 허성희,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129-135.
  2. 권정노, 김종구, 고태승, 2001. 장기관측자료에 의한 금강하구둑 수문조작에 따른 수질 변화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34: 348-354.
  3. 김익수, 최윤, 이정렬, 이영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pp. 615.
  4. 김종식, 황선도, 2003. 새만금 갯벌의 패류 생산량, 한국수산학회지, 36: 757-761.
  5. 김진구, 유정화, 김정년, 김영혜, 2007. 유사어종 식별가이드. 국립수산과학원, 부산. pp. 101.
  6. 김종구, 유선재, 권정노, 1998. 금강하구둑 건설후의 수질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1: 685-694.
  7. 문형태, 2002. 실뱀장어 이석의 미세구조와 어획 자료를 이용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초기 생활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
  8. 심광수, 이충렬, 1999. 새만금 일대의 어류상. Korean J. Environ. biol., 17(3): 293-303.
  9. 안순모, 이재학, 우한준, 구본주, 이형곤, 유재원, 제종길, 2006. 새만금 방파제 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Ocean. Polar Res., 28: 369-383. https://doi.org/10.4217/OPR.2006.28.4.369
  10. 안용악, 허성희, 2002.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3. 꽃게통발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5: 715-722.
  11. 안용락, 허성희, 2003.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4. 저층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6: 686-694.
  12. 양재삼, 정주영, 허진영, 이상호, 최진용, 1999.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71-79.
  13.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 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255-265.
  14. 이종희, 이재봉, 김정년, 이동우. 신영재, 장대수, 2009.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 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1: 177-190.
  15. 이충렬, 1992. 금강하구의 아구역 건축 이후 어류군집의 변화. Korean J. of Limnol., 25: 193-204.
  16.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채집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 248-254.
  17.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6: 438-445.
  18.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19. 이태원, 1998. 천수만 여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1: 654-664.
  20. 이태원, 문형태, 김광천, 2003. 방조제 건설중인 2001-2003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298-305.
  21. 이태원, 황선완,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1990-1993)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 67-79.
  22. 이태원, 황학빈, 황선완, 2007.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완공 후인 2006-2007년 새만금호 어류 종조성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 191-199.
  23.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이창희, 김종일, 김흥상, 남정호, 이원찬, 우한준, 신성교, 옥곤, 이종명, 황선도, 신용식, 이삼희, 이혜근, 김현태, 이광야, 전승수, 정갑식, 신영규, 강대석, 한동욱),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보고서. 대통령 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pp. 405.
  24. 차형기, 이장욱, 박차수, 백철인, 홍선윤, 박종화, 이동우, 최영민, 황강석, 김장근, 최광호, 손호선, 손명호, 김대현, 최정화, 2001. 한국새우류도감. 국립수산과학원, 부산. pp. 188.
  25. 최진용, 최현용, 서만석, 1995. 하구언 갑문폐쇄 후 금강하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30: 262-270.
  26. 허성희, 정석근, 1999.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5: 178-195.
  27. 허성희, 한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28. 허성회, 안용락, 2002.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통. 2.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5: 366-379.
  29. 황선도, 1998. 서해 고군산군도 연안 낭장망 어획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주야,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0: 155-163.
  30. 황선도, 김종식, 2003. 새만금 간척사업에 따른 갯벌 패류의 군집구조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708-715.
  31. 황선도, 임양재, 김용철, 차형기, 최승호, 1998a.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 주목망 어획자원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31: 727-738.
  32. 황선도, 임양재, 송흥인, 최용석, 문형태, 1998b.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I. Otter trawl 어획자원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31: 739-748.
  33. 황선완, 2006. 금강과 만경강 하구 어류의 출현양상과 서식처 이용.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145.
  34. 황선완, 김종관, 이태원, 2003. 강화도 갯벌 천해의 건간망 어획 어류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 676-685.
  35. 황선완, 황학빈, 노형수, 이태원, 2005. 개량안강망에 채집된 금강하구 어류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8: 39-54.
  36. 황학빈, 2010. 금강과 만경강 하구에서 채집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비, 연령, 성장과 서식처 유형.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95.
  37. 홍성윤, 박경양, 박철원, 한창희, 서해립, 윤성규, 송춘복, 조수근, 임현식, 강영실, 김덕재, 마채우, 손민호, 차형기, 김광봉, 최상덕, 박기열, 오철웅, 김두남, 손호선, 김정년, 최정화, 김미향, 최인영, 2006.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 아카데미 서적, 서울. pp. 479.
  38. Allen, L. G.,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California. Fish. Bull. U.S., 80: 769-790.
  39. Blaber, S.J.M. and T.G Blaber, 1980.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juvenile estuarine and inshore fish. J. Fish Biol., 17: 143-162. https://doi.org/10.1111/j.1095-8649.1980.tb02749.x
  40. Day, J.W., C.A.S. Hall, W.M. Kemp and A.Yanez-Arancibia, 1989. Estuarine Ecology. John Wiley & Sons. U.S.A. pp. 558.
  41. Davis. , J. C., 1978.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Wiley, New York. pp. 550.
  42. Elliott, M. and F. Dewailly, 1995.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European estuarine fish assemblages. Neth. J. Aquat. Ecol., 29: 397-417. https://doi.org/10.1007/BF02084239
  43. Franco, A., P. Franzoi, S. Ma1avasi, F. Riccato, P. Torricelli and D. Mainardi, 2006. Use of shallow water habitats by fish assemblages in a mediterranean coastal lagoon. Estuar. Coast. Shelf Sci., 66: 67-83. https://doi.org/10.1016/j.ecss.2005.07.020
  44. Greenwood, M.F.D. and A.S. Hill, 2003. Temporal, spatial and tidal influences on benthic and demersal fish abundance in the Forth estuary. Estuar. Coast. Shelf Sci., 58: 211-225. https://doi.org/10.1016/S0272-7714(03)00071-4
  45. Hom, M. H., 1980. Diel and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diversity of shallow-water fish populations in Morro Bay, California. Fish. Bull. U.S., 78: 759-770.
  46. Houde, E.D. and E.S. Rutherford, 1993. Recent trends in estuarine fisheries: Predictions of fish production and yield. Estuaries, 16: 161-176. https://doi.org/10.2307/1352488
  47. Jaccard, P., 1908. Nouvelles reche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oise Sci. Nat., 44: 223-270.
  48. Lee, T. W. and K. 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49. Lenarz, W.H. and P.B. Adams, 1980. Some statistical considerations of the design of trawl surveys for rockfish (Scopaenidae). Fish Bull. U.S., 78: 659-674.
  50. Livingston, R. J., 1976. Diurnal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organisms in a north Florida estuary. Est. Coast. Mar. Sci., 4: 373-400. https://doi.org/10.1016/0302-3524(76)90014-1
  51. Ludwig, J.A. and J.F. Reynolds,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pp. 337.
  52. Maes, J., A. Taillieu, P.A. Van Damme, K. Cottenie and F. Ollevier, 1998. Seasonal patterns in the fish and crustacean community of a turbid temperate estuary (Zeeschelde estuary, Belgium). Estuar. Coast. Shelf Sci., 47: 143-151. https://doi.org/10.1006/ecss.1998.0350
  53. Methven, D.A., R.L. Haedrich and GA. Rose, 2001. The fish assemblage of a Newfoundland estuary: diel, monthly and annual variation. Estuar. Coast. Shelf Sci., 52: 669-687. https://doi.org/10.1006/ecss.2001.0768
  54. Potter, I.C., P.N. Claridge and R.M. Warwick, 1986. Consistency of seasonal changes in an estuarine fish assemblage. Mar. Ecol. Prog. Ser, 32: 217-228. https://doi.org/10.3354/meps032217
  55.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Chicago. pp. 117.
  56. Taylor, C.C., 1953. Nature of variability in trawl catches. Fish. Bull. U.S., 54: 14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