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ndependent Tendency of Single Women on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Benefits

미혼여성의 독립적 성향에 따른 소비가치와 의복추구혜택에 관한 연구

  • Lee, Mi-Ah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hee, Eun-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11.10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dependent tendency of single women, certainly worthy of study in considering their size, their growth, and their purchasing power, and to examine their effects on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benefi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ith 537 single women in their 20�s and 30�s on May in 2005.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K-means cluster, one way ANOVA and chi-square. Factor analysis on independent tendency resulted in three dimensional structures: marriage-independent tendency, phys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Five dimensions of consumption value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conspicuous, pro-environmental. economic, enjoyable, aesthetic values. Five dimensions of clothing benefit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individuality, well-known brand, practicality, price, social recognition pursuit.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to three groups by three factors of independent tendency: high independent group, social-physical independent group, low independ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group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benefits.

Keywords

References

  1. 인구주택총조사 (2005). 통계청. 자료검색일 2009. 7. 15, 자료출처 http://www.nso.go.kr
  2. 1인 식탁…원룸텔…'싱글산업' 불황 모른다 (2009. 7. 10). 한국경제, p. 1.
  3. 1인 가구 라이프 스타일 (2009. 3. 3) 주간한국. 자료검색일 2009. 7. 1. 자료출처 http://www.weekly.hankooki.com
  4. 우리 시대의 미드필더, 2635세대 (2005. 10. 30).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 7. 22, 자료출처http://www.samsungdesign.net
  5. 장일순 (1995). 신세대의 가치지향 및 행동양식에 대한 연구. 경희대사회과학논총, 14, pp. 159-181.
  6. 홍혜령 (2007). 이야기 있는 브랜드 "모니카" 개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10.
  7. 신세대 소비자 모순의 소비를 읽어라 (2003. 7. 30), LG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09. 8. 3,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8. 김희선 (2008). 양면적 의류 소비집단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소비가치.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52.
  9. 박진아 (2003). 대량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7-83.
  10. 이정연 (2000). 미혼 독신 세대의 실태와 전망. 여성연구, 8. pp. 125-143.
  11. 서민영 (2008). 싱글족을 위한 DIY벽지 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
  12. 옥귀주 (1999). 미혼 독신자의 생활실태와 만족, 불만족 수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36.
  13. 장현숙 (2002). 독신의 심리적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pp. 185-195.
  14. 김소라 (2007). 고학력 비혼 여성의 독신문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9.
  15. 이소영 (2002).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6.
  16. 박효원, 김용숙 (2006). 싱글여성의 쇼핑성향과 패션지향성이 외국산 회장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pp. 150-162.
  17. Linden, F. (1979). Singular. Across the Board, June, pp. 25-27.
  18. Schiffman, L. G. & Kanuk, L. L. (2007). Consumer Behavior(9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pp. 66-71.
  19. 새로운 소비 주역, 싱글을 잡아라 (2005. 4. 25). LG 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09. 8. 3.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20. 백화점 3강의 명품전쟁 (2007. 7. 20).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09. 7. 30. 자료출처 http://www.mk.co.kr
  21. 이승윤, 구인희 (2003). 주거문화, 패션, 미용생활에서 나타나는 트렌드. CHEIL, pp. 52-62.
  22. 박효원 (2004). 신세대 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 및 사용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30.
  23. 정진선 (2007).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결혼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68.
  24. 문희강, 추호정 (2008), 의복소비가치가 양면적 의복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2), pp.1-14.
  25. 소비시장의 양면성 (2002. 9. 24). 삼성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09. 7. 30. 자료출처 http://www.seri.org
  26. 가치 소비자들이 몰려온다 (2005. 1. 21). LG 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09. 8. 3,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27. 유혜경 (2008). 결혼유무와 세대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3-75.
  28. 모현주 (2008). 화려한 싱글과 된장녀: 20, 30대 고학력 싱글직장 여성의 소비의 정치학. 사회연구, 15(1), pp. 41-67.
  29. 이소영 (2002).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0-65.
  30. 이고은 (2009). 30-4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0-70.
  31. 김동원 (1994).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
  32. 박충선 (2002). 독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가정관리 학회지, 20(6), pp. 163-171.
  33. 김경원 (2003). 독신 생활 동기요인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24.
  34. 이소영 (2002).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65.
  35. 김혜영, 선보영, 진미경, 사공은희 (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 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pp. 214-232.
  36. Vinson, D. E., Scott, J. D.,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2), pp. 44-50. https://doi.org/10.2307/1250633
  37. Rokeach, M. J.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The Free Press.
  38. Vinson, D. E., Scott, J. D.,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2), pp. 44-50. https://doi.org/10.2307/1250633
  39. 남승규 (1996). 소비자 의사결정에서 가치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15.
  40. Sheth N. J., Newman, B. L.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pp. 159-170.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41. 김동원 (1994).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시장세분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7
  42. 성영준 (1998). 제품의 소비가치가 총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점포내 소비자 구매행동모형의 설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6.
  43. 유광우, 박철 (1993). 국산품과 외제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경영논총, 15, pp. 36-62.
  44. 권미화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26.
  45. 권미화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1-76.
  46. 김서영 (2009). 20-30대 기혼 여성과 미혼 여성의 소비가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34.
  47. 백선영 (2000).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0-74.
  48. 유희 (1995). 소비자의 가치의식과 의류제품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1-59.
  49. 김선희 (1999). 의복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 선도력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3-93.
  50. 박태희, 이명희 (2003).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3(7), pp.83-94.
  51. Peter, J. P., & Olson, J. C. (2005).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7th ed.). Homewood, IL: Irwin, p. 77.
  52. 류은정 (1997). 수단-목표 이론에 의한 의류제품 평가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
  53. 류은정 (1997). 수단-목표 이론에 의한 의류제품 평가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13.
  54.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pp. 176-179.
  55.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 pp. 1-22.
  56. Peter, J. P., & Olson, J. C. (2005).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7th ed.). Homewood, IL: Irwin, pp. 75-77.
  57. 김미영, 이은영 (1991). 의복평가기준의 이론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3), pp. 321-334.
  58. Abraham, M. L. & Littrel, M. A. (1995). Consumer's conceptualization of apparel attribute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3(2), pp. 65-74. https://doi.org/10.1177/0887302X9501300201
  59. 이진화, 김칠순 (2005).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의복추구혜택과 패션정보원 유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2), pp. 220-230.
  60. 조윤정, 고애란 (2001).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소비자학연구, 12(3), pp. 171-190.
  61. 최일경 (1995). 혜택세분화와 인지도에 의한 진의류브랜드 이미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5-40.
  62. Cassile, N. L. & Drake, M. F. (1987). Apparel selection criteria related to female consumer's lifestyle.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6(1), pp. 20-28. https://doi.org/10.1177/0887302X8700600104
  63. Jekins, M. C. & Dickey, L. E. (1976). Consumer types on criteria underlying clothing decisio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4(3), pp. 150-162. https://doi.org/10.1177/1077727X7600400301
  64. Shim, S. & Bickle, M. C. (1994). Benefit segments of the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e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2(2), pp. 1-12. https://doi.org/10.1177/0887302X9401200201
  65. 고애란, 남미우, 조윤정 (2002). 주부의 가치관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의복추구혜택과 구매 관련 행동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0(5), pp. 119-132.
  66. 김정은 (2008). 성인 남성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른 의복추구혜택과 의복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4.
  67. 류은정, 임숙자 (1998). 소비자 가치체계와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pp. 749-756.
  68. 황진숙 (2003). 인터넷 의류 구매 대학생의 가치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pp. 154-161.
  69. Khale, L. K. Beatty, S.E., & Homer, P. (1986). Alternative measurement approaches to consumer values: The list of values(LOV) and values and life style(V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Dec.). pp. 405-409. https://doi.org/10.1086/209079
  70. 김정은 (2008). 성인 남성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른 의복추구혜택과 의복구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1-50.
  71. 박찬욱, 박미혜, 송미영 (1992). 우리나라 기혼 여성 및 미혼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비교연구. 소비자학연구, 13(2), pp. 75-90.
  72. 장윤정 (2001). X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1-50.
  73. 권미화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1-68.
  74. 조윤정 (2000).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70.
  75. 김미경, 이선재 (1995). 신세대의 의생활 양식과 의복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 24, pp. 217-233.
  76. 박광희, 서민애 (2001). 물질주의 성향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3), pp. 1-10.
  77. 이소영 (2002).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0-33.
  78. 서용한 (2007). 싱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변수와 대인영향력에 대한 민감성이 의류쇼핑 추구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2), pp. 229-236.
  79. 김혜영, 선보영, 진미경, 사공은희 (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 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pp. 224-225.
  80. 서민영 (2008). 싱글족을 위한 DIY벽지 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0.
  81. 김정은 (2008). 성인 남성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른 의복추구혜택과 의복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37.
  82. 이소영 (2002). 20.30대 전문직 독신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57.
  83. 한경미, 나영주 (2002).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과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 pp. 1026-1035.
  84. 박효원 (2004). 신세대 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 및 사용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