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in children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건강행동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Han, Su-J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Hwang, Yoon-So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anyang Women's College) ;
  • Paik, Dae-Il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on-Shi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
  • Kim, Young-Soo (Department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 한수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윤숙 (한양여자대학 치위생과) ;
  • 백대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
  • 김윤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김영수 (고려대학교의료원 치과학교실 임상예방치과)
  • Received : 2010.04.09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Objectives.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health behavior of children from a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to build a hypothetical model for this study. The past oral health behavior was added to strengthen the prediction model and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tailored to low income class children.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July 24 to November 23, 2008, from. 634 elementary children in 20 local children's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hildren agreed to be surveyed and participate i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fter the first survey, they participated i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a second survey was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concluded, with a third survey following two weeks later. Incomplete surveyes were excluded, leaving responses from 501 stu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12.0 and AMOS 5.0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ults. The children's intention of oral health behavior was predicted by their attitude to oral health behavior (${\beta}$=.35), subjective norms (${\beta}$=.3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ta}$=.22) and past oral health behavior (${\beta}$=.13). Their actual oral health behavior two weeks later was predicted by past oral health behavior (${\beta}$=.52) and intentionality of oral health behavior (${\beta}$=.24). All goodness values ($x^2$/df=1.910, GFI=.955, AGFI=.937, NFI=.927, NNFI=.955) were good except the $x^2$ value and RMR value (.295), indicating that the model was generally good. Conclusions. The TPB model was a good predictor of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from lower-income classes. The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local children's centers mainly used by low income children are required to help improve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김진범, 김동기, 이흥수 외 1인. 공중구강보건학. 재재개정판. 서울:고문사;2004:1-4.
  2. 오윤배, 이흥수, 김수남. 모친의 사회경제적인 요인과 구강건강신념이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4;18(1):62-83.
  3. Thomson WM, Poulton R, Milne BJ, Caspi A, Broughron JR, Ayers KM.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oral health in childhood and adulthood in a birthcohort.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5):345-353.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4.00173.x
  4. Petersen PE, Bourgeois D, Ogawa H, Estupinan-Day S, Ndiaye C. The global burden of oral diseases and risks to oral health. Bull World Health Organ 2005;83(9):661-669.
  5. Psoter WJ, Pendrys DG, Morse DE, Whang H, Mayne ST. Associations of ethnicity/ race and socioeconomic status with early childhood caries patterns. J Public Health Dent 2006;66(1):23-29. https://doi.org/10.1111/j.1752-7325.2006.tb02547.x
  6. 신선정, 안용순, 정세환. 한국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사회경제적지위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2):223-230.
  7. 구강보건사업지원단. 구강보건발전전략 및 계획(2006-1020). 서울:구강보건사업지원단;2005:19-21.
  8. 보건복지부. 2008년 구강보건사업계획. 서울:보건복지부;2007:23-46.
  9. 아동복지법 제16조 11호.
  10. 지역아동정보센터(http://www.icareinfo.info) 통계자료실. 이용아동 가정 현황. 지역아동정보센터;2005.
  11. 안진구, 김종배. 잇솔질교습 방법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85;9(1):125-133.
  12. 손효현, 김종배. 초등학교 상급학년 아동의 잇솔질 행위에 관한 분석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88;12(1):127-134.
  13. Kay EJ, Locker D. Is dental health education effective?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6;24:231-235.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6.tb00850.x
  14. 김숙진, 안숙희, 김영혜, 정은순. 부산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간의 관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1):69-84.
  15. 신명숙. 초등학생들의 간식습관 및 구강관리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03;21(1):133-143.
  16. 한수진, 황윤숙, 류정숙, 김윤신.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보건인식과 행위 및 치아우식실태 조사(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치위생과학회지 2008;8(3):147-153.
  17. 장덕수, 백대일. 초등학교 구강보건 교육성과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0;14(1):109-124.
  18. 전현자, 송근배, 이성국.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의 변화.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9;12(2):295-303.
  19. 이혜진, 신승철, 조자원, 류 현. 초등학교학생의 구강보건교육효과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4;28(4):449-463.
  20. 홍지원, 이승우, 박덕영, 마득상. 강릉시 초등학교구강보건사업 평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0;24(4):411-420.
  21. 강승훈, 김명섭, 이선미, 배광학, 오막엽, 김진범. 학교구강보건실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 효과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3):231-242.
  22. 강현숙, 김경희, 정혜경. 부모의 아동에 대한 구강관리가 아동의 구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0;13(2):319-329.
  23. 류 경, 정성화, 김지영, 최연희, 송근배. 어머니의 구강보건행동과 지식이 자녀의 우식유치실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4;28(1):105-115.
  24. 김수경, 김영수. 초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 모형.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4):563-574.
  25. 전보혜. 아동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관리행위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6.
  26. 이흥수. 모친과 아동에서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6;20(1):11-30.
  27. 배진순, 장성실. 초등학교 치아우식 아동의 구강검진 후 관리 실태와 어머니의 구강건강신념과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9;12(2):305-319.
  28. 나은영.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 동향:1985-1994. 한국심리학회지 1994;8(2):3-33.
  29. Ajzen I, Fishbein M.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1980.
  30. Ajzen I, Madden TJ. Prediction of goal 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 Exp Soc Psychol 1986;22:453-474. https://doi.org/10.1016/0022-1031(86)90045-4
  31. 지연옥. 군(軍)흡연자의 금연행위 예측을 위한 Theory of planned behavior 검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4.
  32. Norman P, Conner M, Bell R.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 1999;18(1):89-94.
  33. 송미라, 김순례.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의도 및 금연행위 예측을 위한 계획적 행위이론의 검증. 지역간호학회지 2002;13(2):456-470.
  34. 이미라. 중년여성의 운동 예측모형 구축: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 성인간호학회지 2001;13(4):610-619.
  35. Park BH, Lee MS, Hong JY, Bae SH, Kim EY, Kim KK, et al.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behavior: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sia Pac J Public Health 2009;21(1):71-83. https://doi.org/10.1177/1010539508327089
  36. 이건세. 계획된 행동 이론을 이용한 자궁암 조기검진의 예측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1999.
  37. Orbell S, Hagger M, Brown V, Tidy J. Comparing two theories of health behavior: a prospective study of noncompletion of treatment follow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Health Psychol 2006;25(5):604-615.
  38. 안혜영. 대학생의 금연 행위에 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2001;7(3):371-382.
  39. 지연옥. Ajzen의 계획적 행위이론 적용을 위한 도구개발. 간호학탐구 1993;2(2):102-115.
  40. Francis J, Eccles MP, Johnston M, Walker AE, Grimshaw JM, Foy R, et al.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anual for health services researchers. Newcastle upon Tyne: Centre of Health Services Research,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2004:7-24.
  41. 진보형, 문혁수, 백대일, 김진범. 6세 아동의 1년 후 우식경험영구치면수 증가여부 예측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2;16(2):429-451.
  42. 이경림, 박영숙, 황정아, 안수경. 지역아동센터 특성이 이용아동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보건복지부, (사)부스러기사랑나눔회 2007;77-78.
  43. 최준선, 한경순. 우식치아수의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6;6(2):55-63.
  44. 장기완, 황윤숙, 김진범, 송윤신, 백대일, 최부근 외 5인. 구강보건교육학. 4판. 서울:고문사;2007.
  45. 남은숙. Theory of Planned Behavior를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모유수유행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4.
  46. 권선중. 흡연 및 음주행동을 설명하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대안모형의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2.
  47. 한덕웅, 한인순. 과속운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01;6(2):39-62.
  48. 김지환. 지각된 행동중요성이 태도-행동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2.
  49. Chan K. Mass communica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ur:waste recycling in Hong Kong. J Environ Manage 1988;52(4):317-325.
  50. 이민규, 한덕웅. 섭식억제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의 검증: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01;6(2):173-190.
  51. Triandis HC. Interpersonal behavior theory. Monterey, CA:Books.Cole Publishing Co. 1977, 이미라. 중년여성의 운동 예측모형 구축: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 성인간호학회지 2001;13(4):610-619에서 재인용.